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녀가 있는 맞벌이가정의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09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amily strength scale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existing theories of family strength and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e draw on 80 items to measure the strength of dual-earner families. Using a sample of 747 people, all members of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e examined the itemsʼ factor structures.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we check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item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four domains with a total of 49 items : basic foundation (basic structure, economic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parenting, soci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citizenship, volunteer, leisure, network), work–life balanc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sharing the family role, equal division of role). The developed scale can be used in the field, such as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or Family Cent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counseling, or consulting for dual-earner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the usefulness and efficiency of the scale, the adequate education system for the professionals who handle this scale in the field and updated data are requir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amily strength scale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existing theories of family strength and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e draw on 80 items to measure the strength of dual-earner families. Usi...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amily strength scale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existing theories of family strength and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e draw on 80 items to measure the strength of dual-earner families. Using a sample of 747 people, all members of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e examined the itemsʼ factor structures.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we check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item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four domains with a total of 49 items : basic foundation (basic structure, economic life, and resource management), parenting, soci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citizenship, volunteer, leisure, network), work–life balanc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sharing the family role, equal division of role). The developed scale can be used in the field, such as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or Family Cent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counseling, or consulting for dual-earner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the usefulness and efficiency of the scale, the adequate education system for the professionals who handle this scale in the field and updated data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척도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맞벌이가정의 특성에 주목하여 맞벌이가정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주제로서 이론적 근거와 다양한 내용이 축적되어 있다.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가정의 건강성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업에 반영되어, 그 실천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취업과 함께 맞벌이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맞벌이가정의 특성상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요소에서의 건강성 측정 그리고 건강성 증진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가정의 건강성, 맞벌이가정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80개 문항으로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초안을 마련하였다.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유아기/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과 남성 8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747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4개 영역 49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척도는 기본토대(기본생활, 경제생활, 자원관리), 부모역할(나와 배우자의 부모역할), 사회적 관심과 참여(시민의식과 자원봉사, 여가공유, 지역사회 네트워크) 그리고 일생활균형(일가정 조화, 가족역할공유 및 평등한 역할분담)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건강가정지원센터/가족센터 등 현장에서 맞벌이가정 대상 사업을 실시할 때 초기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 컨설팅, 교육, 상담, 다른 프로그램 연계 등이 이루어져, 현장의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여러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위한 맞춤형의 건강성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 척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담당자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나아가 일상생활의 역동적 변화를 반영, 척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자료의 보완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척도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맞벌이가정의 특성에 주목하여 맞벌이가정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이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척도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맞벌이가정의 특성에 주목하여 맞벌이가정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주제로서 이론적 근거와 다양한 내용이 축적되어 있다.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가정의 건강성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업에 반영되어, 그 실천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취업과 함께 맞벌이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맞벌이가정의 특성상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요소에서의 건강성 측정 그리고 건강성 증진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가정의 건강성, 맞벌이가정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80개 문항으로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초안을 마련하였다.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유아기/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과 남성 8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747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4개 영역 49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척도는 기본토대(기본생활, 경제생활, 자원관리), 부모역할(나와 배우자의 부모역할), 사회적 관심과 참여(시민의식과 자원봉사, 여가공유, 지역사회 네트워크) 그리고 일생활균형(일가정 조화, 가족역할공유 및 평등한 역할분담)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건강가정지원센터/가족센터 등 현장에서 맞벌이가정 대상 사업을 실시할 때 초기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 컨설팅, 교육, 상담, 다른 프로그램 연계 등이 이루어져, 현장의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여러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위한 맞춤형의 건강성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 척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담당자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나아가 일상생활의 역동적 변화를 반영, 척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자료의 보완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선강 ; 송혜림 ; 강은주,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7 (27): 25-39, 2023

      2 송혜림 ; 고선강 ; 강은주,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6 (26): 53-70, 2022

      3 유영주 ; 이인수 ; 김순기 ; 최희진,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Ⅱ (KFSS-Ⅱ)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9, 2013

      4 윤소영 ; 박두용,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문화학회 12 (12): 149-173, 2014

      5 김지현,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21(한국아동패널 II)" 육아정책연구소 2021

      6 이현아 ; 김선미 ; 이승미,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231-261, 2016

      7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8 유지은 ; 김현수,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의 가족 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1-33, 2022

      9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2015

      10 이혜자,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30) : 1-20, 2021

      1 고선강 ; 송혜림 ; 강은주,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7 (27): 25-39, 2023

      2 송혜림 ; 고선강 ; 강은주,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6 (26): 53-70, 2022

      3 유영주 ; 이인수 ; 김순기 ; 최희진,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Ⅱ (KFSS-Ⅱ) 개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13-129, 2013

      4 윤소영 ; 박두용,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문화학회 12 (12): 149-173, 2014

      5 김지현,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21(한국아동패널 II)" 육아정책연구소 2021

      6 이현아 ; 김선미 ; 이승미,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231-261, 2016

      7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8 유지은 ; 김현수,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의 가족 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1-33, 2022

      9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2015

      10 이혜자,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취업모의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30) : 1-20, 2021

      11 하쾌남 ; 정민자, "유아기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균형,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22 (22): 111-134, 2017

      12 유혜승,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 탐색"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113-1136, 2021

      13 이소현, "부부 의사소통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어머니의 결혼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의 가정 내 노동 분담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30 (30): 29-47, 2021

      14 김유경, "미취학자녀를 둔 아버지의 근무일과 비근무일의 자녀돌봄시간과 영향 요인 - 맞벌이 여부 및 돌봄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6 (26): 71-84, 2022

      15 서지원 ; 이정은,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모의 평일여가에서 나타난 변화(2004-201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6 (26): 39-52, 2022

      16 김외숙 ; 송혜림 ; 조희금 ; 김주희,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25-43, 2016

      17 이재림 ; 손서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93-114, 2013

      18 윤대혁, "맞벌이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87-109, 2008

      19 정서린 ; 장윤옥, "맞벌이부부의 배우자 지지, 직장 지지 및 일-가족 전이가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1 (21): 97-119, 2017

      20 조희금,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49-68, 2016

      21 김주희 ; 이기영,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 (19): 101-125, 2015

      22 유계숙 ; 강학중, "맞벌이 부부의 가사 및 자녀 양육 분담에 관한 연구 - 억제 및 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17 (17): 187-219, 2005

      23 김수향 ; 윤헌철, "맞벌이 부모의 양육효능감, 일-가정 양립 및 아동의 행복감 간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37-252, 2022

      24 윤소영 ; 김혜진,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19-35, 2013

      25 박주희,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3 (23): 23-39, 2019

      26 김경미 ; 계선자,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양립과 행복수준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103-119, 2018

      27 유영주,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25-42, 1994

      28 송혜림, "건강가정지원센터 1인가구사업 담당자 대상 워크숍 : 1인가구 건강성 척도 활용" 2021

      29 조희금, "건강가정론" 출판사 2018

      30 최환규 ; 김성희, "개인, 가족, 조직 관련 요인이 일-삶 균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33-60, 2018

      31 유영주,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9 (9): 119-151, 2004

      32 정영금 ; 박정윤 ; 송혜림,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77-197, 2011

      33 정영금,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0

      34 유호실 ; 양세정, "가계재무종합지수(HFCI)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FP학회 12 (12): 133-159, 2019

      35 어은주, "ʻ가족의 건강도ʼ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145-156, 1995

      36 Lyubomisky, H. S.,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46 (46): 137-155, 1999

      37 송혜림 ; 박정윤 ; 진미정 ; 고선강, "1인가구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5 (25): 35-45,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