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 야구선수 견관절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Muscular Functions of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6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견관절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청소년 야구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부상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소재 K중학교 재학중인 중학교 야구선수 총 15명(운동군7명, 비운동군 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운동은 총 8주간 주 3회씩 9가지 견갑골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시작 전 등속성근기능 검사기(Biodex system 3)를 이용하여 피험자들의 근 파워를 측정하였 고,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Goniometer를 사용하여 ROM을 측정, 상사 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정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후 8주간운동을 실시하고 실험 시작 전 측정과 동일한 측정을 반복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운동의 수행여부와 시간경과에 따른 각 변인의 변화를 관찰하기위해 이원변량분석(그룹vs시간)을 이용하였으며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을 시 각 요인에 대한 주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서로 다른 그룹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단일 요인내 평균차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t 검정과 대응 t검정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발생한 경우 Tukey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좌·우측 견관절 관절가동범위(ROM)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좌·우측 견관절 근 파워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견갑골 안정화 운동으로 좌·우측 내회전 60°/sec와 좌측 내회전 180°/sec에서 운동을 통해 근 파워의 향상이 나타났고, 우측 외회전 운동으로 60°/sec에서 근 파워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우측 내회전·외회전 180°/sec에서 근지구력의 향상을 나타냈다.

      셋째,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통증자각도(VAS)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견관절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청소년 야구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부상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연...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견관절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청소년 야구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부상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소재 K중학교 재학중인 중학교 야구선수 총 15명(운동군7명, 비운동군 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운동은 총 8주간 주 3회씩 9가지 견갑골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시작 전 등속성근기능 검사기(Biodex system 3)를 이용하여 피험자들의 근 파워를 측정하였 고,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Goniometer를 사용하여 ROM을 측정, 상사 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정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후 8주간운동을 실시하고 실험 시작 전 측정과 동일한 측정을 반복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운동의 수행여부와 시간경과에 따른 각 변인의 변화를 관찰하기위해 이원변량분석(그룹vs시간)을 이용하였으며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을 시 각 요인에 대한 주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서로 다른 그룹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단일 요인내 평균차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t 검정과 대응 t검정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발생한 경우 Tukey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좌·우측 견관절 관절가동범위(ROM)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좌·우측 견관절 근 파워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견갑골 안정화 운동으로 좌·우측 내회전 60°/sec와 좌측 내회전 180°/sec에서 운동을 통해 근 파워의 향상이 나타났고, 우측 외회전 운동으로 60°/sec에서 근 파워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우측 내회전·외회전 180°/sec에서 근지구력의 향상을 나타냈다.

      셋째,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청소년 야구선수들의 통증자각도(VAS)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muscular functions of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event their injuri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15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exercise group: 7, non-exercise group: 8) attending K Middle School in Daegu. Nine type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administered to the exercise group three times per week over total eight weeks. The subjects were measured for muscular power with a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tester(Biodex System 3) before the experiment. ROM was measured with a goniometer made of metal.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gree of pain with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After the completion of eight-week exercise regime, the subjects were measured once again in the same way as before the experiment. For data treatment, two-way ANOVA(group vs. time) was performed to observe changes to each variable according to exercise and passage of time.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factors. W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a main effect test was carried out for each factor. In addition, independent- and paired-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test changes to mean differences in a single factor according to the groups and passage of time. Whe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 turnkey post hoc test was perfo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Those procedure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did not cause any differences in the range of motion(ROM) of right and left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Second,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did not cause any differences in the muscular power of right and left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However, there was an improvement in muscular power in right and left internal rotation 60°/sec, left internal rotation 180°/sec, and right external rotation 60°/sec and also in muscular endurance in right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180°/sec after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Finally,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made a positive improvement to the pain awareness(VAS) of youth baseball player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muscular functions of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event their injuries. Th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muscular functions of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event their injuri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15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exercise group: 7, non-exercise group: 8) attending K Middle School in Daegu. Nine type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administered to the exercise group three times per week over total eight weeks. The subjects were measured for muscular power with a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tester(Biodex System 3) before the experiment. ROM was measured with a goniometer made of metal.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gree of pain with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After the completion of eight-week exercise regime, the subjects were measured once again in the same way as before the experiment. For data treatment, two-way ANOVA(group vs. time) was performed to observe changes to each variable according to exercise and passage of time.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factors. W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a main effect test was carried out for each factor. In addition, independent- and paired-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test changes to mean differences in a single factor according to the groups and passage of time. Whe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 turnkey post hoc test was perfo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Those procedure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did not cause any differences in the range of motion(ROM) of right and left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Second,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did not cause any differences in the muscular power of right and left shoulder joint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However, there was an improvement in muscular power in right and left internal rotation 60°/sec, left internal rotation 180°/sec, and right external rotation 60°/sec and also in muscular endurance in right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180°/sec after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Finally,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made a positive improvement to the pain awareness(VAS) of youth baseball play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3. 연구 가설 3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3. 연구 가설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야구의 이해 4
      • 1) 국내 야구의 태동과 발전 4
      • 2) 야구선수 포지션별 상해 5
      • 2. 견관절의 이해 7
      • 1) 견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7
      • 2) 견갑골의 역할과 움직임 8
      • 3) 견갑골의 기능이상 10
      • 3. 등속성 운동의 이해 10
      • 1) 등속성 운동의 개념 10
      • 2) 견관절의 등속성 운동능력 11
      • 4. 주관적 통증 자각도(VAS) 12
      • Ⅲ. 연구방법 13
      • 1. 연구대상자 13
      • 2. 실험 프로토콜 13
      • 3. 운동방법 14
      • 4. 실험 측정방법 18
      • 1) Biodex system 3 18
      • 2) Goniometer (관절각도계) 18
      • 3)주관적 통증자각도(VAS) 20
      • 5. 통계 처리 방법 21
      • Ⅳ. 연구결과 22
      • 1. 견갑골 안정화 운동에 따른 견관절 ROM의 변화 22
      • 1) 우측 내회전 ROM의 변화(Table 3; Figure 12) 22
      • 2) 우측 외회전 ROM의 변화(Table 4; Figure 13) 23
      • 3) 좌측 내회전 ROM의 변화(Table 5; Figure 14) 24
      • 4) 좌측 외회전 ROM의 변화(Table 6; Figure 15) 25
      • 2. 견갑골 안정화 운동에 따른 견관절 파워의 변화 26
      • 1) 우측 내회전 60deg/sec 파워의 변화 26
      • 2) 우측 외회전 60deg/sec 파워의 변화 27
      • 3) 좌측 내회전 60deg/sec 파워의 변화 28
      • 4) 좌측 외회전 60deg/sec 파워의 변화 29
      • 5) 우측 내회전 180deg/sec 파워의 변화 30
      • 6) 우측 외회전 180deg/sec 파워의 변화 31
      • 7) 좌측 내회전 180deg/sec 파워의 변화 32
      • 8) 좌측 외회전 180deg/sec 파워의 변화 33
      • 3. 견갑골 안정화 운동에 따른 통증자각도(VAS)의 변화 34
      • 1) 통증자각도(VAS)의 변화(Table 15; Figure 24) 34
      • Ⅴ. 논 의 35
      • 1.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견관절 ROM에 미치는 영향 36
      • 2.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견관절 근 파워에 미치는 영향 37
      • 3.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견관절 통증자각도(VAS)에 미치는 영향 39
      • Ⅵ. 결론 및 제언 40
      • 참고문헌 41
      • 영문초록 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