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가뭄사상에 대한 3차원적 시공간 분석을 통한 가뭄지도 개발 =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Spatio-temporal Analysis of Dr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5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drought event is characterized by duration, severity and affected area. In general, after calculating a drought index using hydrometeorologicaltime series at a station, a drought event is defined based on the run theory to identify the beginning and...

      A drought event is characterized by duration, severity and affected area. In general, after calculating a drought index using hydrometeorologicaltime series at a station, a drought event is defined based on the run theory to identify the beginning and end time. However, this one-dimensional analysis has limitations for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paths of drought.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fine a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 using a simple clustering algorithm and to develop a drought map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drought severity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expansion of drought.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two-dimensional monitoring information to show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index, a proposed drought map is able to showthree-dimens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inclusing drought duration, spatial cumulative severity, and centroid of drought. The analysisof drought map indicated that there was a drought event which had the affected area less than 10 % while on occations while there were 11 drought events (44 %) which had the affected area more a than 90 % of the total area.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ariation of drought affected area and severity corresponding to various drought durations. The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drought analysis is useful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patterns of regional drought which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mitigation measures for future extreme drou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뭄사상은 지속기간, 심도, 피해면적 등으로 특성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뭄사상은 관측소별로 구축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한 후, 연속이론에 따라 가뭄의 시작과...

      가뭄사상은 지속기간, 심도, 피해면적 등으로 특성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뭄사상은 관측소별로 구축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한 후, 연속이론에 따라 가뭄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파악하여 정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1차원적 분석방법은 가뭄의 시공간적인 발생특성 및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3차원(경도, 위도, 시간)적 가뭄사상을 정의하고, 가뭄의 시공간적 확장에 따른 가뭄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가뭄지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가뭄지도는 가뭄지수를 공간적으로 표출하는 2차원적 가뭄 모니터링 정보와 비교하여 3차원적 가뭄사상에 대한 특성(지속기간, 공간적 누적심도, 가뭄의 중심)을 모두 표출하는 것이다. 그 결과 가뭄 지속기간 내 가뭄 발생면적이 최소 10 % 미만인 국소면적인 경우도 있는 반면, 최대 90 % 이상으로 확장되는 비율도 44%(25개 사상 중 11개 사상)로 확인되었다. 이는 3차원적으로 해석한 다양한 가뭄 지속기간 변화에 따른 공간적인 가뭄의 면적 변화와 심도(강도) 변화에 대한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 하는 것이다. 3차원 시공간적 가뭄분석을 통한 가뭄지도 개발을 위한 연구는 미래 극한가뭄 대응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지역적 가뭄의 시공간적 발생특성 및 패턴을 해석하는 데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헌,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5대강 유역의 가뭄빈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48 (48): 1011-1021, 2015

      2 경민수,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문의 가뭄심도-가문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7 (27): 267-276, 2007

      3 유지영, "군집분석과 이변량 확률분포를 이용한 가뭄빈도해석" 대한토목학회 30 (30): 599-606, 2010

      4 유지영, "가뭄해갈 가능성을 고려한 가뭄사상의 결정 및 확률 가뭄심도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49 (49): 275-282, 2016

      5 김보경,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가뭄심도-가뭄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6 (26): 69-78, 2006

      6 Liu, Y., "Understanding the spatiotemporal links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from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124 (124): 3090-3109, 2019

      7 Wilhite, D. A.,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efinitions" 10 (10): 111-120, 1985

      8 Andreadis, K. M., "Twentieth-century drought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6 (6): 985-1001, 2005

      9 Xu, K., "Spatio-temporal variation of drought in China during 1961-2012 : A climatic perspective" 526 : 253-264, 2015

      10 Oladipo, E. O., "Spatial patterns of drought in the Interior Plains of North America" 6 (6): 495-513, 1986

      1 이주헌,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5대강 유역의 가뭄빈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48 (48): 1011-1021, 2015

      2 경민수,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문의 가뭄심도-가문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7 (27): 267-276, 2007

      3 유지영, "군집분석과 이변량 확률분포를 이용한 가뭄빈도해석" 대한토목학회 30 (30): 599-606, 2010

      4 유지영, "가뭄해갈 가능성을 고려한 가뭄사상의 결정 및 확률 가뭄심도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49 (49): 275-282, 2016

      5 김보경,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가뭄심도-가뭄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6 (26): 69-78, 2006

      6 Liu, Y., "Understanding the spatiotemporal links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from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124 (124): 3090-3109, 2019

      7 Wilhite, D. A.,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efinitions" 10 (10): 111-120, 1985

      8 Andreadis, K. M., "Twentieth-century drought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6 (6): 985-1001, 2005

      9 Xu, K., "Spatio-temporal variation of drought in China during 1961-2012 : A climatic perspective" 526 : 253-264, 2015

      10 Oladipo, E. O., "Spatial patterns of drought in the Interior Plains of North America" 6 (6): 495-513, 1986

      11 Wang, A., "Soil moisture drought in China 1950-2006" 24 (24): 3257-3271, 2011

      12 Dai, A., "Global variations in droughts and wet spells" 25 (25): 3367-3370, 1998

      13 Sheffield, J., "Global and continental drought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 Severity-area-duration analysis and temporal variability of large-scale events" 22 (22): 1962-1981, 2009

      14 Hisdal, H., "Estimation of regional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 A case study for Denmark" 281 (281): 230-247, 2003

      15 Cook, E. R., "Drought reconstructions for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12 : 1145-1162, 1999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rought monitoring, South Korea"

      17 National Drought Information Analysis Center, "Drought information, South Korea"

      18 Yoo, J.,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cluster analysis and biva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420-421 : 102-111, 2012

      19 Lloyd-Hughes, B., "A spatio-temporal structure-based approach to drought characterization" 32 (32): 406-418, 2012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5 drought investigation report" 2016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1 climate change white paper"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