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 과제물 표절 방지를 위해 필요한 교수-학습 차원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A, B 대학교 재학생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74726
2013
-
대학생 ; 과제수행 ; 과제물 표절 ; college students ; course assignments ; course ethics
370
KCI등재
학술저널
95-125(31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 과제물 표절 방지를 위해 필요한 교수-학습 차원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A, B 대학교 재학생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 과제물 표절 방지를 위해 필요한 교수-학습 차원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A, B 대학교 재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일반적인 과제물 수행 성향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과제물 수행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은 1) 과목구분(교양/전공), 평가방식(절대/상대), 이수학점, 수강인원 및 동료 수강생의 태도 등의 과목 변인; 2) 과제물의 난이도 및 분량, 과제물의 수행주체(팀/개인), 과제물의 성적반영률, 과제물의 형식 등의 과제물 변인; 그리고 3) 교수자의 성향 및 과제지원 정도, 표절에 대한 인식, 학습자와 교수자와의 관계 등의 교수자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교수자 관련 변인이 대학생의 과제물 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수자의 교수-학습 차원의 통제와 노력이 대학생의 윤리적인 과제물 수행 태도 함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생의 윤리적인 과제물 수행을 위해 필요한 교수자 차원의 노력과 개선 방향을 정리하면, 첫째, 교수자는 학습자 간에 과제물을 표절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며,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과제물의 난이도와 분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학습자에게 스스로 과제물을 수행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교수자는 학습자가 쉽게 표절할 수 없는 형태와 주제로 과제물을 설계하여 학습자가 본인의 생각과 의견을 담은 차별화된 과제물을 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넷째, 교수자는 과제물 표절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표절 과제물 적발 시 엄격하게 처벌함으로써 학습자가 정직하게 과제물을 수행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과제물에 대한 구체적 설명, 예시, 중간 점검, 피드백 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과제물 수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a survey with 401 college stud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5 college students on their misuse of information resource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the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a) what are the maj...
Based on a survey with 401 college stud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5 college students on their misuse of information resource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the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a) what ar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and (b) what are the con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indicate that (a) three factors (i.e., course-related, assignment-related, and instructor-related factors) seemed to affect college student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and (b) the instructor-related factor seemed to be most significant incluenging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while completing course assignm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a set pf guidelines for college instructors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phenomenon of student plagiarism and improve our educational practice to promote academic integr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연, "학습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학수업에서의 과제표절" 한국교육공학회 28 (28): 879-905, 2012
2 이윤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윤리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이중언어학회 45 (45): 167-188, 2011
3 하병학, "탐구와 소통의 학문하기와 학습윤리교육"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 (2): 7-35, 2009
4 최정윤,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25-58, 2009
5 최용훈, "위키 기반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참여도와 의사소통 과정 차이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1-21, 2010
6 이영민, "웹기반 상황학습 환경에서 과제유형과 협력방식이 학습자의 과제수행력과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37 (37): 47-75, 2006
7 김재웅, "원격교육기관의 질 확보 체제" 6 (6): 89-108, 2000
8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9 박민혜, "영어논술시험에서 표절방지교육의 효과와 표절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영어학회 10 (10): 785-805, 2010
10 Gagné, R. M., "수업설계의 원리" 아카데미프레스 2007
1 이지연, "학습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학수업에서의 과제표절" 한국교육공학회 28 (28): 879-905, 2012
2 이윤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윤리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이중언어학회 45 (45): 167-188, 2011
3 하병학, "탐구와 소통의 학문하기와 학습윤리교육"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 (2): 7-35, 2009
4 최정윤,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25-58, 2009
5 최용훈, "위키 기반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참여도와 의사소통 과정 차이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1-21, 2010
6 이영민, "웹기반 상황학습 환경에서 과제유형과 협력방식이 학습자의 과제수행력과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37 (37): 47-75, 2006
7 김재웅, "원격교육기관의 질 확보 체제" 6 (6): 89-108, 2000
8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9 박민혜, "영어논술시험에서 표절방지교육의 효과와 표절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영어학회 10 (10): 785-805, 2010
10 Gagné, R. M., "수업설계의 원리" 아카데미프레스 2007
11 최정임, "상황의 맥락성과 복잡성이 학습성취와 태도, 지식의 전이에 미치는 효과: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12 (12): 213-229, 1996
12 이지연, "동일 강좌의 이러닝과 면대면 분반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수업경험" 한국교육공학회 28 (28): 53-78, 2012
13 고전, "대학의 학습윤리 관련 규정 및 교육 개선 방안" 대한교육법학회 21 (21): 1-25, 2009
14 신현석,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대학원 교육의 질 만족요인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1 (31): 49-77, 2008
15 권성연,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51-78, 2011
16 서윤경, "대학생의 표절 지식 및 행위에 대한 조사 연구" 22 : 1-17, 2007
17 황성근, "대학생의 글쓰기 윤리와 표절 문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 (1): 231-266, 2008
18 고휘석, "대학생의 글쓰기 과제물의 표절 실태와 표절 검사시스템의 표절 예방 및 적발 효과 연구-COPYLESS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실험보고서를검사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4 (4): 157-182, 2011
19 오영희, "대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1 (11): 51-78, 1995
20 이혜영, "대학생들의 인용 및 표절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175-198, 2010
21 이희원,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8 (8): 52-63, 2005
22 이혜정, "대학 ‘교수(teaching)’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평가지표 개선 방안 연구" 교육연구소 9 (9): 173-204, 2008
23 박성익, "교육공학의 원리와 적용" 교육과학사 2012
24 민혜리, "교수-학습 자격과정을 통한 대학에서의 교수-학습 질 관리 : 영국 대학의 사례"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139-157, 2004
25 이지연, "과제표절과 관련한 대학생의 디지털 정보원 활용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103-121, 2008
26 빙성준, "WBI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방법과 학습과제의 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7 Sherry, L., "Transformative communication as a stimulus to web innovations, In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67-73, 1997
28 Gagné, R. M., "The conditions of learning" Holt Rienehart & Winston 1970
29 Shirk, E., "The academic setting of the dishonest student" 9 : 130-134, 1961
30 Choi, J., "Situated cogni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 Roles, structures, and implications for design" 43 (43): 53-70, 1995
31 Reigeluth, C. M.,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32 McCabe, D. L.,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academic dishonesty : A multicampus investigation" 38 (38): 379-397, 1997
33 Singhal, A. C., "How to halt student dishonesty" 17 (17): 13-19, 1983
34 Jonassen, D., "Designing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ume Ⅱ):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Lawrence Erlbaum 215-239, 1999
35 Merrill, M. D., "Component display theory, In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33-279, 1983
36 Steininger, M., "Cheating on college examinations as a function of situationally aroused anxiety and hostility" 55 : 317-324, 1964
37 Montor, K., "Cheating in high school" 99 : 96-98, 1971
대학 수업 평가환경에 따른 성취목표의 차이와 유능감과의 관계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 학업몰입 간의 관계
고등교육에서 이러닝 공개교육자료의 현 사용 실태를 통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6-1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4 | 1.94 | 2.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23 | 2.35 | 2.393 | 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