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시스템 DB"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DB"
3 오용원, "여헌학의 전개와 수용" 409-429, 2010
4 오용원, "간송 조임도의 현실인식과 그 시적 형상화"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원 10 : 69-90, 2007
5 김소연,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회 (84) : 107-140, 2020
6 박순남, "간송 조임도의 〈三綱九絶句〉에 대하여" 국제지역통상학회 2 : 21-49, 2005
7 김학수, "船遊를 통해 본 洛江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17세기 寒旅學人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8) : 41-98, 2010
8 조임도, "澗松集" 민족문화추진회 3-249, 1992
9 김우형, "澗松 趙任道의 학문과 사상 - 旅軒 張顯光과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9) : 29-56, 2007
10 조임도, "國譯 澗松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시스템 DB"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DB"
3 오용원, "여헌학의 전개와 수용" 409-429, 2010
4 오용원, "간송 조임도의 현실인식과 그 시적 형상화"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원 10 : 69-90, 2007
5 김소연,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회 (84) : 107-140, 2020
6 박순남, "간송 조임도의 〈三綱九絶句〉에 대하여" 국제지역통상학회 2 : 21-49, 2005
7 김학수, "船遊를 통해 본 洛江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17세기 寒旅學人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8) : 41-98, 2010
8 조임도, "澗松集" 민족문화추진회 3-249, 1992
9 김우형, "澗松 趙任道의 학문과 사상 - 旅軒 張顯光과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9) : 29-56, 2007
10 조임도, "國譯 澗松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11 허권수, "南冥․退溪 兩學派의 融和을 위해 노력한 澗松 趙任道"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11 : 358-38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