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송 조임도의 교유 문학 연구 -교유시(交遊詩)와 선유(船遊)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Kansong Cho Imdo’s companionship literature: Focusing on the poetry of companionship and boa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93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Kansong Cho Imdo’s (1585–1664) companionship literature. Kansong has been evaluated as a scholar who attempted to combine the Toegye and Nammung Schools during his lifetime, adopting the advantages of each school. This research applies the concept of companionship literature, which comprises a major portion of Kansong’s works, to highlight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is research limited its scope to literature related to companionship and boating.
      The sources related to Kansong’s boating record his plays with companions on boat and is regarded as important material that shows his attitude toward companions. Kansong tried to overcome his prejudiced and imprudent character by meeting valuable friends. Based on trustworthiness in human relationships, he placed greater importance on spiritual friendship and the Seon-bi (선비) Spirit than on their relative age or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m.
      Kansong’s literature can be characterized into three aspects. The first is his respect for the holy man and perception of his era. The second is his Pungryu (풍류) spirit and targeting for spiritualizers. The third is his intimate friendships and strong team spirit. These aspects show the ways of communication and shared awareness among literary writers of the 17th century. They did not participate in political issues as public officials; however, they continuously responded to the ongoing issues as intellectuals through ties of friendship and striving for unity. In addition, Kansong’s companionship literature realized the Seon-bi spirit. He described the will to brighten the world according to the way of the holy man, maintaining an interest in the real world but remaining spiritual by natur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Kansong Cho Imdo’s (1585–1664) companionship literature. Kansong has been evaluated as a scholar who attempted to combine the Toegye and Nammung Schools during his lifetime, adopting the advantages of each school. This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Kansong Cho Imdo’s (1585–1664) companionship literature. Kansong has been evaluated as a scholar who attempted to combine the Toegye and Nammung Schools during his lifetime, adopting the advantages of each school. This research applies the concept of companionship literature, which comprises a major portion of Kansong’s works, to highlight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is research limited its scope to literature related to companionship and boating.
      The sources related to Kansong’s boating record his plays with companions on boat and is regarded as important material that shows his attitude toward companions. Kansong tried to overcome his prejudiced and imprudent character by meeting valuable friends. Based on trustworthiness in human relationships, he placed greater importance on spiritual friendship and the Seon-bi (선비) Spirit than on their relative age or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m.
      Kansong’s literature can be characterized into three aspects. The first is his respect for the holy man and perception of his era. The second is his Pungryu (풍류) spirit and targeting for spiritualizers. The third is his intimate friendships and strong team spirit. These aspects show the ways of communication and shared awareness among literary writers of the 17th century. They did not participate in political issues as public officials; however, they continuously responded to the ongoing issues as intellectuals through ties of friendship and striving for unity. In addition, Kansong’s companionship literature realized the Seon-bi spirit. He described the will to brighten the world according to the way of the holy man, maintaining an interest in the real world but remaining spiritual by n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간송(澗松) 조임도(趙任道:1585〜1664)의 교유 문학을 고찰하였다. 간송은 퇴계학파와 남명학파의 장점을 흡수하여, 두 학파의 관계를 융화시키려고 평생 노력한 학자라고 평가받고 있다. 본고는 간송 작품 중에 교유 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에 착안하여 그 특징과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간송집』 소재 작품 중에서 교유 인물과 관련된 교유시(交遊詩), 선유(船遊) 관련 작품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간송이 저술한 선유록(船遊錄)은 교유 인물들과 즐겼던 뱃놀이의 기록만이 아니라, 그의 교유관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주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간송은 편벽되고 경박한 본인의 단점을 벗의 유익함을 통해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교유 인물과의 나이 차이나 물리적 거리 등과 같은 요인보다는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신적인 교유와 선비정신을 강조하였다.
      간송 조임도의 교유 문학에 나타난 인식 양상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존현(尊賢) 정신과 시대(時代) 인식이 나타난다. 둘째, 풍류(風流) 정신과 처사(處士)적 지향성이 나타난다. 셋째, 지음(知音)과 연대(連帶) 의식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었다.
      간송 조임도의 교유 문학에 나타난 특징은 17세기에 산림처사(山林處士)로 지냈던 문사(文士)의 소통 방식과 그들의 문화적 공유 양상을 살필 수 있게 한다. 출사(出仕)를 하여 현실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당대 지식인으로서 그들만의 소통망을 확보하면서 지속적으로 연대하고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였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도의 교유 문학에는 선비정신이 구현되어 나타난다. 자연 속에서 수양하며 산림처사로 지내면서도 현실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였고, 성현의 도를 따라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간송(澗松) 조임도(趙任道:1585〜1664)의 교유 문학을 고찰하였다. 간송은 퇴계학파와 남명학파의 장점을 흡수하여, 두 학파의 관계를 융화시키려고 평생 노력한 학자라고 평가...

      본 연구에서는 간송(澗松) 조임도(趙任道:1585〜1664)의 교유 문학을 고찰하였다. 간송은 퇴계학파와 남명학파의 장점을 흡수하여, 두 학파의 관계를 융화시키려고 평생 노력한 학자라고 평가받고 있다. 본고는 간송 작품 중에 교유 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에 착안하여 그 특징과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간송집』 소재 작품 중에서 교유 인물과 관련된 교유시(交遊詩), 선유(船遊) 관련 작품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간송이 저술한 선유록(船遊錄)은 교유 인물들과 즐겼던 뱃놀이의 기록만이 아니라, 그의 교유관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주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간송은 편벽되고 경박한 본인의 단점을 벗의 유익함을 통해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교유 인물과의 나이 차이나 물리적 거리 등과 같은 요인보다는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신적인 교유와 선비정신을 강조하였다.
      간송 조임도의 교유 문학에 나타난 인식 양상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존현(尊賢) 정신과 시대(時代) 인식이 나타난다. 둘째, 풍류(風流) 정신과 처사(處士)적 지향성이 나타난다. 셋째, 지음(知音)과 연대(連帶) 의식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었다.
      간송 조임도의 교유 문학에 나타난 특징은 17세기에 산림처사(山林處士)로 지냈던 문사(文士)의 소통 방식과 그들의 문화적 공유 양상을 살필 수 있게 한다. 출사(出仕)를 하여 현실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당대 지식인으로서 그들만의 소통망을 확보하면서 지속적으로 연대하고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였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도의 교유 문학에는 선비정신이 구현되어 나타난다. 자연 속에서 수양하며 산림처사로 지내면서도 현실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였고, 성현의 도를 따라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시스템 DB"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DB"

      3 오용원, "여헌학의 전개와 수용" 409-429, 2010

      4 오용원, "간송 조임도의 현실인식과 그 시적 형상화"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원 10 : 69-90, 2007

      5 김소연,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회 (84) : 107-140, 2020

      6 박순남, "간송 조임도의 〈三綱九絶句〉에 대하여" 국제지역통상학회 2 : 21-49, 2005

      7 김학수, "船遊를 통해 본 洛江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17세기 寒旅學人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8) : 41-98, 2010

      8 조임도, "澗松集" 민족문화추진회 3-249, 1992

      9 김우형, "澗松 趙任道의 학문과 사상 - 旅軒 張顯光과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9) : 29-56, 2007

      10 조임도, "國譯 澗松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시스템 DB"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DB"

      3 오용원, "여헌학의 전개와 수용" 409-429, 2010

      4 오용원, "간송 조임도의 현실인식과 그 시적 형상화" 금오공과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원 10 : 69-90, 2007

      5 김소연,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회 (84) : 107-140, 2020

      6 박순남, "간송 조임도의 〈三綱九絶句〉에 대하여" 국제지역통상학회 2 : 21-49, 2005

      7 김학수, "船遊를 통해 본 洛江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17세기 寒旅學人을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18) : 41-98, 2010

      8 조임도, "澗松集" 민족문화추진회 3-249, 1992

      9 김우형, "澗松 趙任道의 학문과 사상 - 旅軒 張顯光과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9) : 29-56, 2007

      10 조임도, "國譯 澗松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11 허권수, "南冥․退溪 兩學派의 融和을 위해 노력한 澗松 趙任道"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11 : 358-387,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