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현대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과교육 방향 연구 =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 Contemporary Aesthetic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137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은 개인의 행복 역량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사회 전반의 복리를 증진시키려는장기적 과업이기 때문에 그 방향성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과교육을 촉진하는논리적 적합성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비교적 가까운 시기의 하이데거, 벤야민, 아도르노, 리오타르의 미학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지각 방식과 다양한 기술 매체를 활용한 융⋅복합적 예술활동을 통해 주체적 자의식을 길러주어야 한다. 둘째, 예술의 본질에 충실한 기술의 예술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게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자의 존재가 은폐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기술의 편의성에 학습자가 함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미학적 사고를 통한 비판적 안목의 육성으로 기존 것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음악문화를일구게 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예술적 경험이 다원적 관점에서 공유되고 향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번역하기

      학교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은 개인의 행복 역량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사회 전반의 복리를 증진시키려는장기적 과업이기 때문에 그 방향성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은 개인의 행복 역량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사회 전반의 복리를 증진시키려는장기적 과업이기 때문에 그 방향성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과교육을 촉진하는논리적 적합성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비교적 가까운 시기의 하이데거, 벤야민, 아도르노, 리오타르의 미학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지각 방식과 다양한 기술 매체를 활용한 융⋅복합적 예술활동을 통해 주체적 자의식을 길러주어야 한다. 둘째, 예술의 본질에 충실한 기술의 예술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게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자의 존재가 은폐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기술의 편의성에 학습자가 함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미학적 사고를 통한 비판적 안목의 육성으로 기존 것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음악문화를일구게 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예술적 경험이 다원적 관점에서 공유되고 향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택, "하이데거의 과학 비판" 한국하이데거학회 (38) : 155-183, 2015

      2 최진경,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 - 기술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50 (50): 175-197, 2021

      3 정진원,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46 (46): 153-174, 2017

      4 유현주, "아도르노 미학에서 Technik과 예술의 문제 - 하이데거의 ‘기술’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48) : 135-164, 2006

      5 주대창, "쉴러의 ‘미적 교육’과 쇼펜하우어의 ‘해탈’ 및 아도르노의 ‘부정의 변증법’에 나타난 음악의 교육적 가치" 세계음악학회 (20) : 151-182, 2009

      6 하선규, "발터 벤야민의 역사적-변증법적 예술철학에 관한 고찰 - ‘복제가능성’, ‘기술’, ‘개선가능성’, ‘전시가능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칸트학회 (47) : 87-132, 2021

      7 김태선 ; 안혜신,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정의를 통해 본 상품아우라에 관하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128-137, 2011

      8 김지만 ; 이선영 ; 이대현, "발터 벤야민의 매체 미학으로 바라본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 쇼 - JTBC <슈퍼밴드>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145-184, 2019

      9 김남시, "발터 벤야민 예술론에서 기술의 의미 -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다시 읽기" 한국미학회 81 (81): 49-86, 2015

      10 이참슬 ; 정영근, "문화예술교육 교육목표의 교육학적 분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1125-1148, 2019

      1 이유택, "하이데거의 과학 비판" 한국하이데거학회 (38) : 155-183, 2015

      2 최진경, "포스트 디지털 시대를 위한 음악교육의 과제 - 기술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50 (50): 175-197, 2021

      3 정진원,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46 (46): 153-174, 2017

      4 유현주, "아도르노 미학에서 Technik과 예술의 문제 - 하이데거의 ‘기술’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48) : 135-164, 2006

      5 주대창, "쉴러의 ‘미적 교육’과 쇼펜하우어의 ‘해탈’ 및 아도르노의 ‘부정의 변증법’에 나타난 음악의 교육적 가치" 세계음악학회 (20) : 151-182, 2009

      6 하선규, "발터 벤야민의 역사적-변증법적 예술철학에 관한 고찰 - ‘복제가능성’, ‘기술’, ‘개선가능성’, ‘전시가능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칸트학회 (47) : 87-132, 2021

      7 김태선 ; 안혜신,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정의를 통해 본 상품아우라에 관하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128-137, 2011

      8 김지만 ; 이선영 ; 이대현, "발터 벤야민의 매체 미학으로 바라본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 쇼 - JTBC <슈퍼밴드>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145-184, 2019

      9 김남시, "발터 벤야민 예술론에서 기술의 의미 -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다시 읽기" 한국미학회 81 (81): 49-86, 2015

      10 이참슬 ; 정영근, "문화예술교육 교육목표의 교육학적 분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1125-1148, 2019

      11 배철영,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 미술론- 숭고의 미학, 차이의 존재론 그리고 비판 -" 새한철학회 1 (1): 115-136, 2002

      12 심혜련, "디지털 매체 시대의 아우라 문제에 관하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13-343, 2010

      13 Adorno, T. W., "Ästhetische Theorie. Ges. Schriften, Bd. 7" Suhrkamp 1972

      14 Benjamin, W., "Walter Benjamin's literary art theory" Minumsa 2005

      15 Shin, H. K., "Walter Benjamin & Theodor W. Adorno: The deceit or liberation of popular culture" Kimyoungsa 2009

      16 Benjamin, W., "Walter Benjamin selection II: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Book Publishing Gil 2007

      17 Shim. H. R., "Uber den Aurabegriff von Walter Benjamin" 12 (12): 145-176, 2001

      18 Sobral, C., "Truth in music on the thought of Martin Heidegger" 15 (15): 167-175, 2015

      19 Heidegger, M.,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Leehaksa 2011

      20 Lyotard, J. F.,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4

      21 Shiner, L., "The invention of art: A cultural histo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22 Adorno, T. W., "Stichworte. Kritische Modelle 2, 3" Aufl 1970

      23 Adorno, T. W., "Soziologische Schriften I, Ges. Schriften, Bd. 8" Suhrkamp 1972

      24 Heidegger, M., "Sein und Zeit" Aufl 1929

      25 Harari, Y. N.,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Vintage 2014

      26 Lyotard, J. F, "Postmodern explained: Correspondence 1982-1985"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2

      27 Adorno, T. W., "Philosophische Früschriften, Ges. Schriften, Bd. 1" Suhrkamp 1973

      28 Adorno, T. W., "Philosophie der neuen Musik. Ges. Schriften Bd. 12" Suhrkamp 1975

      29 Shim. H. R., "On the problem of art and technology-Focusing on the discussion between Benjamin and Heidegger" 17 (17): 7-37, 2006

      30 Heidegger, M., "NietzscheⅡ" Neske 1961

      31 Adorno, T. W., "Negative dialektik" Suhrkamp 1975

      32 Lemmermann, H., "Musikunterricht. Hinweise - Bemerkungen: Erfahrungen - Anregungen" Julius Klinkhardt 1978

      33 Phillips, W., "Metaphysics and music in Adorno and Heidegger" Springer 2015

      34 Nietzsche, F., "Kritische Gesamtausgabe. Bd. 5-2" Die frohlich Wissenschaft 1993

      35 Malpas. S., "Jean-François Lyotard. Routledge critical thinkers" lpbook 2008

      36 Kim, H. S., "Heidegger's technique" 11 : 63-92, 2000

      37 Lee, K. D., "Extended art" 21 (21): 20-29, 2016

      38 Adorno, T. W., "Erziehung zur mündigkeit" Suhrkamp 1970

      39 Heidegger, M., "EinfÜhrung in die Mataphysik" Aufl 1966

      40 Adorno, T. W., "Dissonanzen" Vandenhoeck & Ruprecht 1972

      41 Wietusch, B., "Die Zielbestimmung der Musipädagogik bei Theodor W. Adorno" Gustav Bosse 1981

      42 Heidegger, M., "Die Technik und die Kehre" Seokwangsa 1993

      43 김경화, "AI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교육적 재음미 - 음악교사 역할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교육학회 51 (51): 55-75, 2022

      44 Kim, Y. Y., "A study on Martin Heidegger’s art theory: The overcoming and retrieval of modern metaphysical aesthe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

      45 김경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음악교육 방향에 관한 철학적 고찰 - 발터 벤야민의 매체미학에 의거한 교육적 소고" 한국음악교육학회 50 (50): 1-17,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