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드세라믹 통전에 의한 마루판의 표면온도 변화 = Surface Temperature of Flooring Board Using Woodceramics with Sending an Electric Curr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1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xamine possibilities to make use of woodceramics for the lower material of hot-floored ondol boards, woodceramics made from sawdust board with Pinus densiflora, put them in a wood frame and concrete block and heated them sending an electric curren...

      To examine possibilities to make use of woodceramics for the lower material of hot-floored ondol boards, woodceramics made from sawdust board with Pinus densiflora, put them in a wood frame and concrete block and heated them sending an electric current, and measured changes in surface temperature of a laminated floor board and a plywood floor board. As the sending an electric current to time passed, their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rapidly up to 20 minutes, and then gradually ascended. In terms of the surface temperature in the wood frame, the beginning temperature of a plywood floor board was higher than that of laminated floor one; however, as time passed, a laminated floor board's temperature rose, and after 60 minutes, it showed similar to the temperature of a floor board of la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temperature in a concrete block showed that the laminated floor board was higher than the plywood floor board in both early and 60-minute later temperatures. With the lapse of time after switching off, the surface temperature of floor boards slowly dwindled up to 9 minutes, and from that time on, began to drop sharply. In terms of the descent speed of surface temperature, when woodceramics' surface temperature was adjusted at 70℃, the laminated floor board was the highest; when it was at 80℃, the plywood floor board was the highest, resulting in rapid descent speed of he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나무 톱밥보드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에 전선을 연결하여 목재 틀과 콘크리트 블록 속에 넣고 통전하여 강화마루판과 합판마루판의 표면온도 상승과 하강변화를 조사 하여 우드세라믹을 ...

      소나무 톱밥보드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에 전선을 연결하여 목재 틀과 콘크리트 블록 속에 넣고 통전하여 강화마루판과 합판마루판의 표면온도 상승과 하강변화를 조사 하여 우드세라믹을 온돌마루판 하부소재로 이용할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통전시간 60분 후 마루판의 표면온도와 처음 시작온도 차이는 강화마루판이 크게 나타나 합판마루판보다 열전달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목재 틀에서 우드세라믹 표면설정온도가 70℃와 80℃일 때 60분 후 강화마루판의 표면온도는 각각 37.8℃와 39.4℃로 높게 나타나 열전달이 우수하였다. 각 우드세라믹 표면설정온도별 처음 시작온도와 30분후의 표면온도 하강차이는 목재 틀이 콘크리트 블록보다, 강화마루판이 합판마루판보다 커서 온도하강이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우드세라믹 자체의 표면온도 하강은 목재 틀보다 콘크리트 블럭에서 하강속도가 빨랐으며, 마루판의 하강속도가 우드세라믹의 하강속도보다 느려 마루판이 오랜 시간 열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목재신문, "한국 온돌마루시장 현재와 미래" 한국목재신문사 2004

      2 오승원, "톱밥과 왕겨 혼합보드로 제조된 세라믹의 표면 온도변화 -수지함침율 및 탄화온도의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38 (38): 43-48, 2010

      3 차정훈, "목질마루바닥재와 벽체용 재료를 이용한 평판열류계법과 MTPS (Modified Transient Plane Source)법의 열전도율 상관관계 분석" 한국가구학회 22 (22): 118-125, 2011

      4 한국목재신문, "국내 마루시장의 과거와 미래" 한국목재신문사 2002

      5 Hokkirigawa, K, "Wear properties of new porous carbon materials: woodceramics" 2 : 229-235, 1996

      6 Kano, M, "Thermo-gravimetric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f woodceramics" 20 : 40-43, 1996

      7 Okabe, T, "The examina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woodceramics(Ⅰ) -Structural changes affected by burning temperature-" 1-4, 1995

      8 Kasai, K, "Humidity sensor characteristics of woodceramics" 20 : 92-95, 1996

      9 Hokkirigawa, K, "Friction properties of new porous carbon materials: woodceramics" 2 : 237-243, 1996

      10 Okabe, T,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stic of porous carbon material "woodceramics"" 9-12, 1995

      1 한국목재신문, "한국 온돌마루시장 현재와 미래" 한국목재신문사 2004

      2 오승원, "톱밥과 왕겨 혼합보드로 제조된 세라믹의 표면 온도변화 -수지함침율 및 탄화온도의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38 (38): 43-48, 2010

      3 차정훈, "목질마루바닥재와 벽체용 재료를 이용한 평판열류계법과 MTPS (Modified Transient Plane Source)법의 열전도율 상관관계 분석" 한국가구학회 22 (22): 118-125, 2011

      4 한국목재신문, "국내 마루시장의 과거와 미래" 한국목재신문사 2002

      5 Hokkirigawa, K, "Wear properties of new porous carbon materials: woodceramics" 2 : 229-235, 1996

      6 Kano, M, "Thermo-gravimetric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f woodceramics" 20 : 40-43, 1996

      7 Okabe, T, "The examina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woodceramics(Ⅰ) -Structural changes affected by burning temperature-" 1-4, 1995

      8 Kasai, K, "Humidity sensor characteristics of woodceramics" 20 : 92-95, 1996

      9 Hokkirigawa, K, "Friction properties of new porous carbon materials: woodceramics" 2 : 237-243, 1996

      10 Okabe, T, "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stic of porous carbon material "woodceramics"" 9-12, 1995

      11 Okabe, T, "Development of woodceramics" 18 : 681-684, 1995

      12 Hokkirigawa, K, "Development of porous carbon material "woodceramics"-Fundamental wear properties under unlubricated condition on air, under base-oil impregnated condition and in water-" 44 : 800-804, 1995

      13 Okabe, T, "Development of porous carbon material "woodceramics"-Electromagnetic shielding characteristics-" 44 : 288-291, 1995

      14 Oh, S. W,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in woodceramics made from MDF(Ⅰ) - Effect of density and burning temperature" 21 : 1-6, 2002

      15 Oh, S. W, "Change in surface temperature woodceramics manufactured by sawdust board - Effect of the rate of resin impregnation and burning temperature-" 22 : 24-2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