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자유적은 국내성 밖에 위치하는 대형 건축지로서, 다종다양한 와당이 출토되어서 그 성격과 시기는 고구려 고고학뿐만 아니라, 발해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이 글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89727
강현숙 (동국대학교)
2010
Korean
Jian Toungtaiz site ; Goguryeo ; Balhae ; Gugnaesung ; Hwandosansung ; Royal ritual compound ; Roof tiles with lotus flower design ; Roof tiles with honeysuckle design ; Roof tiles with monster-mask design ;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 집안 동대자유적 ; 고구려 ; 발해 ; 국내성 ; 환도산성 ; 국사 ; 종묘사직 ; 연화문와당 ; 귀면문와당 ; 인동문와당 ; 쪽구들
KCI등재
학술저널
170-199(30쪽)
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대자유적은 국내성 밖에 위치하는 대형 건축지로서, 다종다양한 와당이 출토되어서 그 성격과 시기는 고구려 고고학뿐만 아니라, 발해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이 글에서...
동대자유적은 국내성 밖에 위치하는 대형 건축지로서, 다종다양한 와당이 출토되어서 그 성격과 시기는 고구려 고고학뿐만 아니라, 발해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이 글에서는 동대자유적의 성격과 그 시기에 대하여 재검토하였다.
중국에서는 발굴 조사에서 드러난 유구를 모두 동시기로 파악하여 동대자유적을 국내성 시기의 국사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발굴보고 내용을 검토한 결과, 동대자유적 I실과 II실 사이, II실 내에서도 중복이 확인되어서, 동시기 건물이라는 전제하에 국사로 본 견해는 고고학적 근거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동대자유적의 시기와 관련하여서는 유적에서 출토된 와당과 국내성과 환도산성 및 평양 일대 와당 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와당 제 형식 간에도 4단계 정도의 시간에 따른 상대서열이 확인되었다. 와당에 비추어 볼 때, 동대자유적은 5세기 말 이후에 초축되어 발해까지 사용되었으며, 이는 국내성 일대의 유적 토층이나 쪽구들의 구조, 동대자유적에서 수습된 발해 유물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대자유적에 대한 재검토 결과, 동대자유적을 포함한 집안 일대 유적을 고구려 국내성 시기의 유적으로 보려는 전제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나아가 집안 일대 유적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賀云翱,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2 송기호, "한국 고대의 온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리화선, "조선건축사 I"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9
4 방학봉, "발해건축" 연변대학출판사 1996
5 고구려연구재단, "고구려안학궁조사보고서 2006"
6 백종오,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 주류성 2006
7 강현숙, "고구려 고분 출토 와당의 변천 연구" 한국고고학회 (64) : 34-73, 2007
8 魏存成,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9 尹國有, "高句麗瓦當硏究" 吉林人民出版社 2001
10 張福有, "高句麗王陵通考要報" 4 : 2007
1 賀云翱,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2 송기호, "한국 고대의 온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리화선, "조선건축사 I"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9
4 방학봉, "발해건축" 연변대학출판사 1996
5 고구려연구재단, "고구려안학궁조사보고서 2006"
6 백종오,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 주류성 2006
7 강현숙, "고구려 고분 출토 와당의 변천 연구" 한국고고학회 (64) : 34-73, 2007
8 魏存成,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9 尹國有, "高句麗瓦當硏究" 吉林人民出版社 2001
10 張福有, "高句麗王陵通考要報" 4 : 2007
11 朝鮮總督府, "高句麗時代遺蹟(上)"
12 吉林省文物志編纂委員會, "集安縣文物志" 1983
13 方起東, "集安東台子高句麗建築遺址的性質和年代" 1 : 1982
14 林至德, "集安出土高句麗瓦當及其年代" 7 : 1985
15 김도경, "集安 東臺子遺蹟의 建築的 特性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19 (19): 119-128, 2003
16 池內宏, "通溝(上)" 日滿文化協會 1938
17 錢國祥, "漢魏洛陽古城出土瓦當的分期與硏究" 10 : 1996
18 關野貞, "滿洲輯安縣於高句麗時代遺蹟. In: 朝鮮建築藝術"
19 關野貞, "滿洲輯安縣及平壤附近於高句麗時代遺蹟(2)" 5 (5): 1914
20 魏存成, "渤海考古" 文物出版社 2008
21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洞溝古墓群-1997年度測繪報告" 科學出版社 2002
22 王銀田, "山西大同市北魏平城明堂遺址1995年的發掘" 3 : 2001
23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國內城-2000~2003年集安國內城與民主遺址試掘報告" 文物出版社 2004
24 吉林省博物館, "吉林輯安高句麗建築遺址的淸理" 1 : 1961
25 賀云翱, "南京鍾山2號寺遺址出土瓦當初探" (創刊) : 2005
26 金日成綜合大學, "五世紀高句麗文化" 雄山閣 1985
27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丸都山城-2001~2003年集安丸都山城調査試掘報告" 文物出版社 2004
28 申云艶, "中國古代瓦當硏究" 文物出版社 2006
삼국시대 종장판갑 부착 유기질 연구-동래 복천동고분군 출토품을 중심으로-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9 | 1.49 | 1.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2 | 1.4 | 2.51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