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저 선량 베타선의 조사에 의한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the Plant Growth under Beta-Rays Irradiation at Low Do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0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 선량 베타선의 장기간(31일) 조사에 의한 춘향이 열무와 알타리 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은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에 대하여 각각 1개 샘플의...

      본 연구는 저 선량 베타선의 장기간(31일) 조사에 의한 춘향이 열무와 알타리 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은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에 대하여 각각 1개 샘플의 대조군과 11개 샘플의 실험군으로 구성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종자들은 각각의 샘플에서 8개씩 선택되어 같은 조건의 배양토에 파종하였다. 실험군 샘플의 누적선량은 31일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생장과정과 발아율은 매주 2회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잎사귀 수, 초장의 길이와 생체중은 파종 후 20일과 25일에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25일 동안 측정된 실험군의 결과에서, 알타리 무의 길이와 무게는 누적선량 0.01 Gy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5%와 36%로 증가하였다. 또한 춘향이 열무에서 길이는 누적선량 0.01~0.08 Gy와 0.3 Gy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13~17%와 1%, 무게는 누적선량 0.05 Gy와 0.23 Gy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36%와 2%로 증가하였다. 잎 수에 대하여, 알타리 무는 누적선량 0.01~0.32 Gy에서 대조군보다 0~50%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춘향이 열무는 0.01~0.0.62 Gy에서 대조군보다 0~67%로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는 대체적으로 낮은 누적선량영역(0.01~0.2 Gy)에서 길이와 무게 그리고 잎 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의 세포의 크기,핵의 위치와 세포의 조밀도는 대조군과 거의 유사하게 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베타선에 조사된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는 방사선 호메시스 이론과 부합되어 낮은 누적선량영역에서 더 많은 생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후 연구에서 방사선 호메시스와 식물생장의 관련성을 확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growth of Chunhyang Young Radish (CYR) and Altari Radish (AR) according to the exposure for 31 days at low dose β-rays. This test has one contrast sample and eleven test samples each as to AR and CYR. The seeds...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growth of Chunhyang Young Radish (CYR) and Altari Radish (AR) according to the exposure for 31 days at low dose β-rays. This test has one contrast sample and eleven test samples each as to AR and CYR. The seeds from contrast and test sample were planted in the culture soil after 8 seeds were chosen from each with identical condition. The accumulated dose of test samples has been measured at consistent time on a daily basis for 31 days. The growing process and germination have been measured twice at consistent time in each week. The number of leaves, length of first leave and weight have been acquired average value by measuring for 20 and 25 days, respectively after being planted. The result of test sample in case of 25 days shows that 5% increase in length and 36% increase in weight for AR each at accumulated dose 0.01 Gy compared to the contrast sample. And the length of CYR has increased by 13~17% and 1% at accumulated dose 0.01~0.08 Gy and 0.3 Gy compared to the contrast sample. For the weight at accumulated dose 0.05 Gy and 0.23 Gy has increased by 36% and 2% compared to contrast sample. As to the number of leaves, AR has increased by 0~50% at accumulated dose 0.01-0.32 Gy compared to contrast sample. It also shows that the CYR has increased to 0~67% at accumulated dose 0.01-0.62 Gy compared to contrast sampl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ndicates that both AR and CYR has generally increased in their length, w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at low level accumulated dose part 0.01~0.2 Gy. The size of cell, area of nucleus and density of cell for test sample has been observed quite similar to the ones from contrast sample through microscope. In conclusion, AR and CYR irradiated by β-rays have estimated that they are achieved a rapid growth at low level accumulated dose region corresponding to its radiation hormesis theory. Further studies ne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ation hormesis and the growth of the pl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 과
      • Ⅳ. 논 의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 과
      • Ⅳ. 논 의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성, "저선량 전리방사선에 의한 작물의 활성증진" 17 (17): 76-85, 1998

      2 이영근, "저선량 이온화방사선이 대두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18 (18): 66-69, 1999

      3 이은경, "저선량 감마선이 채소 발아 종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19 (19): 2000

      4 김재성, "저선량 감마선이 땅콩 생장에 미치는 영향" 17 (17): 257-261, 1999

      5 김재성, "저선량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고추 역병 저항성 유기" 18 (18): 47-51, 2000

      6 이은경, "저선량 감마선 조사가 파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17 (17): 346-351, 1998

      7 김재성, "배추 유식물의 생장과 황산화 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 18 (18): 247-253, 2000

      8 Lamb MJ,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Longevity of Female Drosophilasu bob scura" 10 : 48-97, 1964

      9 Zainullin VG, "Radiation-induced Changes in the Lifespan of Laboratory Drosophila Melanogaster strain" 37 (37): 1304-1306, 2001

      10 Luckey TD, "Physiological Benefits from Low Level of Ionizing Radiation" 43 : 771-789, 1982

      1 김재성, "저선량 전리방사선에 의한 작물의 활성증진" 17 (17): 76-85, 1998

      2 이영근, "저선량 이온화방사선이 대두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18 (18): 66-69, 1999

      3 이은경, "저선량 감마선이 채소 발아 종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19 (19): 2000

      4 김재성, "저선량 감마선이 땅콩 생장에 미치는 영향" 17 (17): 257-261, 1999

      5 김재성, "저선량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고추 역병 저항성 유기" 18 (18): 47-51, 2000

      6 이은경, "저선량 감마선 조사가 파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17 (17): 346-351, 1998

      7 김재성, "배추 유식물의 생장과 황산화 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 18 (18): 247-253, 2000

      8 Lamb MJ,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Longevity of Female Drosophilasu bob scura" 10 : 48-97, 1964

      9 Zainullin VG, "Radiation-induced Changes in the Lifespan of Laboratory Drosophila Melanogaster strain" 37 (37): 1304-1306, 2001

      10 Luckey TD, "Physiological Benefits from Low Level of Ionizing Radiation" 43 : 771-789, 1982

      11 Joiner MC, "Induced Radioresistance: an Overview and Historical Perspective" 65 (65): 79-84, 1994

      12 Parsons PA, "Hormesis: an Adaptive Expectation with Emphasis on Ionizing Radiation" 20 : 103-112, 2000

      13 Cuttler JM, "Health Effect of Low Level Radiation When Will We Acknowledge the Relality?" 2006

      14 Sacher GA., "Effects of X-rays on the Survival of Drosophila imagoes" 36 : 295-311, 1963

      15 Kim JS,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Germin Ation and Yield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 17 (17): 274-278, 1999

      16 Dendy PP, "Commentary, Low Dose Radiation Risk" 76 : 674-677, 2003

      17 Dorr W, "Cancer Induction by Radiotherapy : Dose Dependence and Spatial Relationship to Irradiated volu" 22 : A117-A121,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대한방사선과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Radiologial 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1 0.48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