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건강 인식의 향상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건강관리 앱은 행동 개입의 주요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앱은 기능 구현에 집중하면서 시각 및 청각 인터랙션에서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75087
2025
-
600
KCI등재
학술저널
877-892(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건강 인식의 향상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건강관리 앱은 행동 개입의 주요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앱은 기능 구현에 집중하면서 시각 및 청각 인터랙션에서의 ...
디지털 건강 인식의 향상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건강관리 앱은 행동 개입의 주요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앱은 기능 구현에 집중하면서 시각 및 청각 인터랙션에서의 감성 경험을 간과하여 사용자 지속 이용 동기 유발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먼의 감성 디자인 3단계 이론을 바탕으로, SD법과 Kano 모델을 결합해 건강관리 앱의 10개 기능 화면을 6개 감성 차원에서 평가하였다. ‘운동 계획 설정’과 ‘소셜 챌린지’는 본능적 차원에서 우수한 반응을 보였고, ‘목표 달성 알림’은 행동 차원에서 개선 여지가 있었다. Kano 분석 결과, 일부 기능은 매력적 속성을 지니며 사용자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능성과 감성성을 아우르는 3단계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감성 디자인이 건강관리 앱의 사용자 감성 경험과 지속적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increasing digital health awareness and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health management apps have become vital tools for behavioral intervention. However, most apps prioritize functionality while neglecting emotional experiences in visual...
With increasing digital health awareness and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health management apps have become vital tools for behavioral intervention. However, most apps prioritize functionality while neglecting emotional experiences in visual and auditory interactions, limiting long-term engagement. This study adopts Don Norman’s emotional design theory, integrat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and Kano model to evaluate 10 key interfaces across six affective dimensions. Results show that “exercise planning” and “social challenge” features excel in visceral design, while “goal achievement reminder” needs improvement at the behavioral level. Kano analysis further identifies attractive attributes that enhance user retention. A three-level design strategy is proposed to integrate functionality with emotional engagement.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emotional design positively influences users' emotional experience and continued use of health management apps.
해양 문화 관광에서의 몰입형 체험 디자인 적용 평가 연구
초현실주의의 특성과 작가연구 -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 M. C에셔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 디자인 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적용 방안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특성화고등학교에서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