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이데거 초기 사유에서 기분(Stimmung)의 의미 = The meaning of ‘mood’ in Hedegger’s early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3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적 정초의 이념’(Idee der Begrundung der Wissenschaft)을 구현하고자 했던 초기의 하이데거는 그 이념의 실현을 위해 기초 존재론을 펼친다.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기초 존재론,...

      ‘학적 정초의 이념’(Idee der Begrundung der Wissenschaft)을 구현하고자 했던 초기의 하이데거는 그 이념의 실현을 위해 기초 존재론을 펼친다.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기초 존재론, 즉 인간 존재의 구조 해명에서, ‘이해’와 ‘기분’은 매우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그러나 이해에 비해, 그와 등근원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기분은 학적으로 충분히 조명되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기분은 심리학적 개념인 ‘감정’과 혼동되어 사용된다. ‘이성적인 존재자로서의 인간’이라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인간관에 기반한 기존 심리학은 사고, 의욕, 감정을 구분하면서 특히 감정을 삼류의 체험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이 구분과 평가에 동원된 저 의심스러운 기준에 대한 엄밀한 학적 문제제기 없이 기분을 심리학적 지시에 따라 이해하게 되면 심리학을 포함한 기존 형이상학의 거대한 흐름에 맞서고자 했던 하이데거 사유의 진의는 드러나지 못하고 우리는 여전히 형이상학의 무제한적 월권에 함몰된 채로 머물게 된다. 기분에 대한 올바르고 보다 적극적인 학적 해명은 이해의 해명에 비해 주변적인 일이 결코 아니다.
      이 글은 하이데거의 초기 저작 속에서 발견되는 ‘기분’ 개념의 존재론적 의의를 세 측면에서 규명함으로써 그가 염두에 두고 있었던 전통 형이상학과의 결별에 기분이 어떻게 기여했는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기분의 삼중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분은 이성적 인식의 이전 단계에 속하는 ‘존재론적 개시성’에 속한다.(이 부분은 이미 기존에 충분히 연구되었다) 둘째, 이 개시성은 존재하는 상황의 ‘수동적 반영’에 그치지 않고, 기투적 이해와 더불어 존재의 ‘능동적인 수행’과 연관되어 있다. 셋째, 기분의 존재론적 수행에 내포된 ‘유한성’은 이성적 인식의 보편성과는 ‘다른 차원의 보편성’의 가능성을 지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arly Heidegger who aimed to actualize ‘the idea of establishing the basis for Sciences’ has developed the fundamental ontology in advance. In his fundamental ontology found at time around the Being and Tim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for ex...

      The early Heidegger who aimed to actualize ‘the idea of establishing the basis for Sciences’ has developed the fundamental ontology in advance. In his fundamental ontology found at time around the Being and Tim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for explication of structure of human being’s being include ‘understanding’ and ‘mood’. But in contrast to the ‘understanding’ which has been illuminated in academic context frequently, the ‘mood’ which is equally fundamental has been relatively out of the attention. In general mood is confused with one of the psychological concepts, ‘emotion’. The psychology that is founded on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view of the human beings as rational beings, deals with the emotion as third class experience separating the three, thinking, willing and emotion. However, without raising a question about that doubtful criterion with which they are separated, we can never obtain correct access to Heidegger’s genuine thought which was a protest against the traditional metaphysic including psychology, Furthermore, this tragedy allows us to stay under the unlimited arrogation of what in fact is just the forgetting of something. Therefore the positive explication of mood can never be subordinate to that of understanding.
      This paper purposes to show in what aspects Heidegger has broken with tradition, especially with modern subjectivism, in indicating the threefold meaning of ‘mood’: firstly, mood belongs to the ‘disclosure’ which is prior to rational recognition.(this meaning’s already well known) Secondly, this disclosure does not end in the ‘passive reflection’ but is related to the ‘positive accomplishment’ with the understanding. Thirdly, the ‘finitude’ which is predicated in the ontological accomplishment allows a ‘Universality’ which differs from that of rational recogni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