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머리말
- II. 동아시아 역사 갈등과 역사 화해의 현주소
- III. 우호협력과 공동번영을 지향하는 역사교육
- IV. 맺음말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7635
2013
Korean
374
KCI등재
학술저널
5-35(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일본 중학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서술의 변화 - 재일조선인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
한국 '국사' 교과서 전근대사에 나타난 일본 관련 서술의 변화 -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고등학교 교과서를 증심으로 -
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지속 가능한 세계시민교육
대구가톨릭대학교 홍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