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작품 필사본을 읽다 보면, 방각본이나 창본 등 다른 이본에는 보이지 않는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드물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해당 이본의 작가는 어떠한 목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7017444
2011
Korean
판소리 독서물 ; 기반 사유 ; 지식 현시 ; 연희판 재현 ; 양반권력 ; 풍자 ; 지식문화 ; Pansori reading text ; basic thinking ; knowledge show ; festivities field reappearance ; yangban authority ; Lampoon ; knowledge culture
680.5
KCI등재
학술저널
313-346(3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판소리작품 필사본을 읽다 보면, 방각본이나 창본 등 다른 이본에는 보이지 않는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드물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해당 이본의 작가는 어떠한 목적...
판소리작품 필사본을 읽다 보면, 방각본이나 창본 등 다른 이본에는 보이지 않는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드물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해당 이본의 작가는 어떠한 목적으로 그처럼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설정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다른 이본에는 존재하지 않아 공유성이 거의 없는 내용이나 장면은 해당 이본의 작가가 새롭게 창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본은 대개 독서물로 유통된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일부 <춘향전> 필사본을 대상으로,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에 초점을 맞춰, 판소리 독서물 탄생에 개재된 기반 사유를 추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춘향전> 독서물 중에는 작가가 자신의 지식을 현시하기 위해 전에 없던 사설과 장면을 창조한 예를 볼 수 있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김광순소장28장본 <별춘향가>, 사재동소장87장본 <춘향전>, 홍윤표소장154장본 <춘향전> 등이 있다. 이들 이본에 나타난 지식의 현시는 19세기 전후에 폭넓게 부상한 지식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일부 <춘향전> 이본을 보면 마치 조선후기의 연희 현장을 재현한 듯한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경상대소장75장본 <춘향전>과 계명대소장52장본 <춘향전>이다. 전자에는 주점 여객들의 이야기판, 판소리명창의 판소리판이 장면화되어 있고, 후자에는 왈자들의 연희판이 장면화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해당 이본의 작가가 조선후기 당대에 흔히 접할 수 있었던 연희판을 자신의 작품 속에 재현해 보려는 목적이 있었기에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조선후기 연희 현장에는 판소리가 다른 예능들과 늘 함께 있었다. 판소리의 이러한 존재 환경이 판소리 작가에게 주목되었고, 그 결과로 독서물에 연희판을 재현한 듯한 장면이 등장할 수 있었다고 본다. 셋째, 일부 <춘향전>에는 양반권력을 풍자·비판하려는 목적이 좀 더 강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충남대소장72장본 <춘향전>과 그 계열, 박순호소장59장본 <춘향전>과 그 계열이 있다. 양반권력에 대한 퐁자와 비판은 판소리작품이면 거의 모두 공유하는 것인데, 위 계열의 작가는 다른 이본에는 없는 내용과 장면을 새롭게 설정하여 그 점을 좀 더 강화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d basic thinking of Pansori reading text appearance. Among Pansori reading texts, it is versions include unfamiliar contents and scenes in text. They was created by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Why created a writers of Panso...
This thesis investigated basic thinking of Pansori reading text appearance. Among Pansori reading texts, it is versions include unfamiliar contents and scenes in text. They was created by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Why created a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them? First,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show their knowledge.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28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im Kwang-sun, 87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Sa Jae-dong, 154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Hong Yun-pyo etc. This reading texts was effected on knowledge culture of Chosun later period. Second,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reenact festivities field.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75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yungsang university, 52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eimyung university etc. the former shows story field and Pansori field, the latter shows play field of Walja. Third,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lampoon yangban authority.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72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Chungnam university and it`s affiliation, 59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Park Sun-ho and it`s affiliation etc.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민, "?삼강명행록?의 창작 방식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35 (35): 71-95, 2005
2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3 차충환,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전> 연구" 판소리학회 (17) : 367-400, 2004
4 전상욱, "홍윤표 교수 소장 <춘향전>(154장본)에 대하여" 동방고전문학회 5 : 2003
5 최원경, "항해 홍길주의 『숙수념(孰遂念)』:지식과 공간의 인식" 성균관대 2008
6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7 정충권,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용적 지식 담론의 문화적 의미" 판소리학회 (31) : 361-394, 2011
8 차충환, "판소리 독서물의 출현과 연희판의 간접 체험" 판소리학회 (31) : 395-422, 2011
9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2004
10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2004
1 서정민, "?삼강명행록?의 창작 방식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35 (35): 71-95, 2005
2 진재교, "李朝後期 箚記體 筆記 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회 (39) : 387-425, 2007
3 차충환,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전> 연구" 판소리학회 (17) : 367-400, 2004
4 전상욱, "홍윤표 교수 소장 <춘향전>(154장본)에 대하여" 동방고전문학회 5 : 2003
5 최원경, "항해 홍길주의 『숙수념(孰遂念)』:지식과 공간의 인식" 성균관대 2008
6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7 정충권,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용적 지식 담론의 문화적 의미" 판소리학회 (31) : 361-394, 2011
8 차충환, "판소리 독서물의 출현과 연희판의 간접 체험" 판소리학회 (31) : 395-422, 2011
9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2004
10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2004
11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2004
12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1999
13 김진영, "춘향전전집" 박이정 2001
14 김경미, "조선후기 한문소설의 의론적 대화 양상과 그 의미-<정생전>, <삼한습유>, <옥선몽>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8 : 1999
15 서정민, "조선조 한글대하소설의 위상 提高 방식 연구" 국문학회 (13) : 129-152, 2005
16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1999
17 김동건, "장편화 방식을 통해 본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전>의 성격" 판소리학회 (23) : 235-264, 2007
18 이우성, "이조한문단편집" 일조각 1973
19 이우성, "이조한문단편집" 일조각 1978
21 안민영, "역주 금옥총부" 박이정 2003
23 차충환, "국문필사본 <춘향전>의 계열과 성격" 판소리학회 (18) : 221-279, 2004
24 김종철, "게우사" 일지사 65 : 1991
25 이혜구, "宋萬載의 觀優戱" 판소리학회 1 : 1989
26 윤덕진, "『남원고사』계 『춘향전』의 시가 수록과 시가사의 관련 모색" 한국시가학회 27 : 307-350, 2009
27 이강옥, "<두껍전>의 말하기 전략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2 : 5-162, 2002
28 전성운, "19세기 장편 한문소설과 청말 재학소설의 지식 제시 방식 - <옥선몽(玉仙夢)>과 <경화연(鏡花緣)> 비교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58 : 395-412, 2008
29 장예준,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5) : 99-132, 2010
30 진재교, "19세기 箚記體 筆記의 글쓰기 양상智水拈筆을 통해 본 지식의 생성과 유통" 한국한문학회 (36) : 1-, 2005
수험도(修驗道)와 노(能) -노 <다니코(谷行)>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6-04-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5-03-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Research of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71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