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 잠재계층 분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 Classific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by Specialized School Program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운영 특색사업(교과교실제, 수준별 이동수업, 자율학교, 영어교육프로그램)의 시행 여부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

      본 연구는 일반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운영 특색사업(교과교실제, 수준별 이동수업, 자율학교, 영어교육프로그램)의 시행 여부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잠재계층별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EDSS(Edu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2015년 일반고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잠재계층회귀분석(Latent Class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의 잠재계층은 3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계층의 특성에 따라 실시형(engaged), 미실시형(disengaged), 수준별 수업 중점 혼합형(mixed)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잠재계층 분류에는 학교소재지역, 학교규모, 주당 평균 수업시수, 자율동아리 참여율, 방과후학교 참여율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잠재집단별로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시실형 집단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가 실시형 집단과 혼합형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계층별 학업성취도에는 학비감면율, 교사 1인당 학생 수, 학생 · 학부모 상담실적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고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교 특색에 맞는 맞춤형 교육사업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which implemented four different specialized school programs to enhance their academic performance. Futhermore, the study explored what school factors affected the class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which implemented four different specialized school programs to enhance their academic performance. Futhermore, the study explored what school factors affected the classific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ed latent classes and distal outcom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In order to do this, we used the 2015 high school data provided by EduData Service System (EDSS) and applied a new 3-step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latent class regression analysis (LCRA).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and named as ‘engaged group’, ‘disengaged group’, and ability tracking centered ‘mixed group’. In addition, these classifications were influenced by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location, school size, average class hours per week, club activity and after-school program participation rate. As for distal outcomes, high schools classified into the disengaged group were lower in academic achievements scor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a tuition discount rate’s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does not exist in the engaged group and it implies the effect of school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specialized and customized school programs for general high school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better school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Ⅱ. 교육운영 특색사업 및 관련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I. 서론
      • Ⅱ. 교육운영 특색사업 및 관련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호, "학업성취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3-20, 2006

      2 김희삼,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초중등교육의 개선방향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2

      3 차성현,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설명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중학교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12): 335-356, 2011

      4 김영철, "학급규모의 교육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175-202, 2004

      5 오세희, "학교자율화 정책이 학교현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25, 2010

      6 우명숙,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39-162, 2013

      7 강영혜, "학교 자율화·다양화 정책의 신뢰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8 박수정, "초·중등학교 정보공시 자료개방 확대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9 김희란, "중학생의 수준별 수업과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41-64, 2015

      10 박현정, "중등학교에서의 방과후학교 효과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573-596, 2014

      1 양정호, "학업성취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3-20, 2006

      2 김희삼,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초중등교육의 개선방향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2

      3 차성현,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설명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중학교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12): 335-356, 2011

      4 김영철, "학급규모의 교육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175-202, 2004

      5 오세희, "학교자율화 정책이 학교현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25, 2010

      6 우명숙,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39-162, 2013

      7 강영혜, "학교 자율화·다양화 정책의 신뢰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8 박수정, "초·중등학교 정보공시 자료개방 확대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9 김희란, "중학생의 수준별 수업과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41-64, 2015

      10 박현정, "중등학교에서의 방과후학교 효과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573-596, 2014

      11 김민조, "자율학교 제도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2011

      12 나민주, "자율학교 성과분석 연구: 혁신학교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13 이재덕, "자율학교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14 김흥주, "일반고등학교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15 차성현, "일반고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5

      16 상경아,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교과교실 운영 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165-1185, 2013

      17 송영아,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과학과 수준별 교과교실제의 운영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20 (20): 1-12, 2014

      18 김영식, "이중차분모형(DID)을 활용한 교과교실제 학업성취 수준 제고 효과 분석" 804-825, 2012

      19 이재돈, "수준별 이동식 수업이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2 (2): 71-97, 2006

      20 황여정,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14 (14): 71-101, 2008

      21 홍순상,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한국학교수학회 18 (18): 149-167, 2015

      22 김대석,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26 (26): 1-24, 2013

      23 김소영, "수준별 교육과정(이동수업) 운영의 효과성 탐색 : 다층자료 분석모형 이용" 교육연구소 12 (12): 135-158, 2011

      24 변수용,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39-66, 2008

      25 정혜경,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기초학력미달’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0 (40): 49-69, 2013

      26 변수용,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57-85, 2011

      27 이수정, "목적사업학교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53-74, 2014

      28 김성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지역간 학력 차이에 따른 초·중·고 학교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51-72, 2011

      29 권용웅, "교과교실제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2012

      30 우명숙, "교과교실제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모색" 교육부 2015

      31 홍미영, "교과교실 수업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32 남창우,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18, 2015

      33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0

      34 Magnusson, D., "Methods and models for studying the individual: Essays in honor of Marian Radke-Yarrow" Sage 33-64, 1998

      35 Vermunt, J. K., "Latent class modeling with covariates: Two improved three-step approaches" 18 (18): 450-469, 2010

      36 Collins, L. M.,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Wiley 2010

      37 Lubke, G., "Investigating population heterogeneity with factor mixture models" 10 (10): 21-39, 2005

      38 Muthén, B. O.,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 Sage 345-368, 2004

      39 Petras, H., "Handbook of quantitative criminology" Springer 2010

      40 Bolck, A., "Estimating latent structure models with categorical variables : One-step versus three-step estimators" 12 (12): 3-27, 2004

      41 Nylund, K.,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14): 535-569, 2007

      42 Asparouhov T.,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21 (21): 329-341, 2014

      43 한국교육개발원, "2015 교육통계연보"

      44 교육부, "2014년도 교과교실제 추진계획(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4-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3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