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근접성 없는 공동체와 친밀성의 테크놀로지 -『아주 오래된 농담』을 중심으로- = The Community without Proximity and the Technology of Intimacy Represented in the Novels of Park, Wan-Suh: Centered on The Very Old Jo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4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rative aspect of the technology of intimacy and community without proximity in Park Wan-Suh’s novel The Very Old Joke. In this novel, a family form that transcended proximity as a physical condition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rative aspect of the technology of intimacy and community without proximity in Park Wan-Suh’s novel The Very Old Joke. In this novel, a family form that transcended proximity as a physical condition of family ideology appeared. And the role of technology to mediate this family relationship was described in detail. Ultimately, the proper distance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e proper way of communication within them were explored.
      In Chapter 2, we looked at how video technology is used as an image to replace a absent father.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restoring absent family members in a fantastic way and creating a complete family image eventually resulted in pressure on the subject.
      In Chapter 3, we confirmed that in The Very Old Joke, the proper distancing between families serves as a key to maintaining individual autonomy and family intimacy. We also saw that e-mail is not being used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families, but rather is used as a technique to properly maintain it.
      Through The Very Old Joke, Park Wan-Suh revealed that while the family was wary of excessive proximity, the weakened proximity was working as a paradoxical condition that reinforced intimacy. This shows a node in the Park Wan-seo novel, which repeatedly reproduces the pain of losing a family, while repeatedly capturing the pain from the fami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 『아주 오래된 농담』에 나타난 근접성 없는 공동체와 친밀성의 테크놀로지의 서사적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소설에서는 공동체의 물리적 조건인 근접...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 『아주 오래된 농담』에 나타난 근접성 없는 공동체와 친밀성의 테크놀로지의 서사적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소설에서는 공동체의 물리적 조건인 근접성이 사라진 가족 형태가 주로 다루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가족 관계를 매개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이 상세히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족 사이의 적정한 거리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적절한 방식이 탐구되었다.
      이 글은 2장에서 비디오 영상이 죽은 아버지를 보충하는 이미지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부재하는 가족 구성원을 환상적인 방식으로 복원하고, 완전한 가족의 이미지를 연출하려는 것이, 결국 주체를 압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아주 오래된 농담』에서 가족 사이의 적당한 간격이, 개인의 자율성과 가족의 친밀성을 유지하는 핵심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이메일이 가족 간 거리를 좁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적절히 유지하는 기술로 활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박완서는 가족의 지나친 밀접을 경계하면서도, 근접성의 약화가 친밀성의 강화로 이어지는 역설을 서사화했다. 이것은 가족을 잃은 고통을 계속해서 재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족으로부터 오는 고통을 반복적으로 포착했던, 박완서 소설의 한 결절점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완서, "휘청거리는 오후 2" 세계사 2012

      2 이평전, "한국전쟁의 기억과 장소 연구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5) : 869-895, 2013

      3 권명아, "한국 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 레이몬드 윌리엄스, "텔레비전론" 현대미학사 1996

      5 우현주, "탈주와 회귀의 미국 이민 서사 -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 이화어문학회 (43) : 171-201, 2017

      6 이상길, "전화의 활용과 근대성의 경험 벤야민의 텍스트〈전화〉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0 (10): 111-143, 2002

      7 이재원, "장거리 사랑 :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속편" 새물결 출판사 2012

      8 에릭 홉스봄, "자본의 시대" 한길사 1983

      9 조형래, "워드프로세서 · 글쓰기 · 문학, 1980 · 1990 : 한국의 초기 워드프로세서 보급과 작가의 글쓰기 Ⅰ" 동악어문학회 (73) : 57-94, 2017

      10 박완서, "오만과 몽상" 세계사 2012

      1 박완서, "휘청거리는 오후 2" 세계사 2012

      2 이평전, "한국전쟁의 기억과 장소 연구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5) : 869-895, 2013

      3 권명아, "한국 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 레이몬드 윌리엄스, "텔레비전론" 현대미학사 1996

      5 우현주, "탈주와 회귀의 미국 이민 서사 -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 이화어문학회 (43) : 171-201, 2017

      6 이상길, "전화의 활용과 근대성의 경험 벤야민의 텍스트〈전화〉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0 (10): 111-143, 2002

      7 이재원, "장거리 사랑 :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속편" 새물결 출판사 2012

      8 에릭 홉스봄, "자본의 시대" 한길사 1983

      9 조형래, "워드프로세서 · 글쓰기 · 문학, 1980 · 1990 : 한국의 초기 워드프로세서 보급과 작가의 글쓰기 Ⅰ" 동악어문학회 (73) : 57-94, 2017

      10 박완서, "오만과 몽상" 세계사 2012

      11 박완서, "아주 오래된 농담" 세계사 2012

      12 김미현, "아주 오래된 농담" 세계사 2012

      13 레이몬드 윌리엄스, "시골과 도시" 나남 2013

      14 에드워드 홀, "숨겨진 차원" 한길사 2002

      15 박완서, "서 있는 여자" 문학동네 2013

      16 차미령, "생존과 수치 - 1970년대 박완서 소설과 생존주의의 이면 (1)" 한국현대문학회 (47) : 445-480, 2015

      17 박완서, "살아있는 날의 시작" 세계사 2012

      18 수잔 손택, "사진에 관하여" 이후 2005

      19 주형일, "사진과 죽음: 한국 영정사진의 문제" 동아인문학회 (37) : 723-754, 2016

      20 송명희, "박완서의 자전적 근대 체험과 토포필리아-『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43-70, 2003

      21 김선미, "박완서 장편 소설의 아버지 극복 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2 우현주,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23 김양선, "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1980년대 여성문제 소설 다시 읽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215-234, 2012

      24 오자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주술의 양상과 변화의 의미" 한국현대문학회 (52) : 147-185, 2017

      25 최선영,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 · 자본주의 양상과 극복의 가능성"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431-455, 2012

      26 신샛별,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먹는 인간’의 의미" 동국대학교 2019

      27 정미숙, "박완서 소설 『서있는 여자』의 젠더 지리학과 정체성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17): 23-48, 2016

      28 박완서, "도시의 흉년 1" 세계사 2012

      29 우찬제, "농담의 진실과 진담의 허위" 문학과지성사 2001

      30 박완서, "그리움을 위하여" 문학동네 2013

      31 권보드래, "그 천편일률로서의 새로움" 창비 2001

      32 박완서,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세계사 2012

      33 박완서, "그 남자네 집" 2012

      34 정현주, "공간, 장소, 젠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35 김문정, "『도시의 흉년』에 나타난 여성상과 중산층의 형성" 한국문학연구소 (49) : 190-218, 2015

      36 이주희, "『나목』의 토포필리아 연구" 우리말글학회 81 : 379-411, 2019

      37 구동회, "[단행본]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2008

      38 심승희, "Space and Place" 대윤 2007

      39 Hillery, G., "Definition of Community : Areas of Agreement" 20 : 195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