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유형별 특징과 의미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Types of <Yangssiami Bonpu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4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wo types of Jeju Island Josangsin Bonpuri <Yangssiami Bonpuri> were compared and examined. <Yangssi Bonpuri> has so far reported a total of eight episodes, whi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f classified acc...

      In this paper, two types of Jeju Island Josangsin Bonpuri <Yangssiami Bonpuri> were compared and examined. <Yangssi Bonpuri> has so far reported a total of eight episodes, whi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f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First, <Yechon Yangssiami Bonpuri> is an example that explains how ‘Yangssiami’, born in Simbang(shaman)’s fate, was enshrined as ‘Ancestral God’. It’s God’s Origin Story, and the function is to relieve his grudges by appeasing an unjustly dead soul and honoring him as an ancestral god.
      In comparison, <Nunmi Yangssiami Bonpuri> shows people who treat ‘Yangssiami’ completely differently, and shows how ‘Yangssiami’ affects them.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Miracle Story’, which is designed to show that ‘Yangssiami’ has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its offspring and to consolidate its function as ‘Ancestral God’.
      In order for <Yangssi Bonpuri> to continue to function as Josangsin Bonpuri, we can summarize the significant points that caused epic variation. First, to reaffirm his ability, his spirituality, he is punishing those who distrust him. In other words, by creating a new, remarkable punishment, it reduces the opposition to having him as Ancestral God and shows that it can still exert its influence on the offspring. Second, by speaking of having the most powerful function of Ancestral God, ‘prosperity of a family’ or ‘extermination of a family’, we can see that the ‘universal trait’ is strengthened.
      This, in turn, is a good source of evidence for identifying the key elements of Josangsin Bonpuri’s tradition. In other words,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raised about ancestral gods, myths are about to secure legitimacy by highlighting the most basic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that ancestral gods should have, rather than adding special abiliti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also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ors in Confucian ritu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두 유형을 비교 고찰하여, 유형별 특징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씨아미본풀이>는 지금까지 총 8편이 채록 보고되었는...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두 유형을 비교 고찰하여, 유형별 특징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씨아미본풀이>는 지금까지 총 8편이 채록 보고되었는데, 이를 서사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예촌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조상신으로 모시게 된 경위를 설명하는 본풀이이다. 이는 좌정 유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억울하게 죽은 영혼을 달래주고 그를 조상신으로 모심으로써, 그를 해원 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비해 <눈미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대하는 대조적 사람들을 보여주고, 양씨아미가 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는 영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양씨아미가 후손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조상신으로의 기능을 공고히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양씨아미본풀이>가 조상신본풀이로 계속해서 기능하기 위해, 서사적 변이를 일으킨 유의미한 지점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능력, 영험함을 재확인시키기 위해, 그를 불신하는 세력에게 응징을 가하고 있다. 즉 뚜렷한 징치 대상을 새롭게 만듦으로써, 그를 조상신으로 모시는 것에 대한 반발심을 줄이고, 자손에게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조상신의 가장 강력한 직능인 후손을 번영시키거나 혹은 대(代)를 끊을 수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보편적 특성’을 강화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조상신본풀이의 전승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근거 자료가 된다. 즉 조상신에 대한 근원적 물음이 제기될 때, 신화는 시대․환경 변화에 따른 특수한 능력을 추가하기보다, 조상신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 특성을 부각함으로써, 정통성을 확보하려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유교식 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의 특성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정, "황도 당제 및 당신화의 전승과 변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혜정,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 (사)제주전통문화연구소, "제주큰굿" 제주특별자치도 2010

      4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도서출판 각 2007

      5 김헌선, "제주도 큰심방 이중춘의 삶과 제주도 큰굿" 민속원 2013

      6 류진옥, "제주도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 제주대학교 2018

      7 강정식,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보고사 2006

      8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9 김헌선, "제주도 <조상신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역사적 의의" 한국무속학회 (11) : 201-235, 2006

      10 장주근저작집간행위원회, "장주근저작집 Ⅱ: 서사무가 편–제주도 무속과서사무가, 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157-168, 2013

      1 김혜정, "황도 당제 및 당신화의 전승과 변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혜정,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3 (사)제주전통문화연구소, "제주큰굿" 제주특별자치도 2010

      4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도서출판 각 2007

      5 김헌선, "제주도 큰심방 이중춘의 삶과 제주도 큰굿" 민속원 2013

      6 류진옥, "제주도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 제주대학교 2018

      7 강정식,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 보고사 2006

      8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9 김헌선, "제주도 <조상신본풀이>의 신화적 성격과 역사적 의의" 한국무속학회 (11) : 201-235, 2006

      10 장주근저작집간행위원회, "장주근저작집 Ⅱ: 서사무가 편–제주도 무속과서사무가, 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157-168, 2013

      11 김혜정, "자식 점지 기원 신화의 측면에서 살핀 이공본풀이 신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38) : 41-84, 2019

      12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이용옥 심방 본풀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9

      13 정제호, "오누이 대립 서사의 전개양상과 계승의 문제"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34 : 206-, 2015

      14 천혜숙, "안동 지역의 ‘산할매’ 신앙과여성 조상의 신격화 전통" 실천민속학회 25 : 171-206, 2015

      15 강소전, "심방 관련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 탐라문화연구원 (36) : 147-184, 2010

      16 권선경, "서울 지역 당신화 중 영험담의 유형과 생성․전승의 문제" 남도민속학회 (32) : 35-68, 2016

      17 정제호, "서사무가의 고전소설 수용 양상과 의미" 고려대학교 2015

      18 강진옥, "변신설화에 나타난 ‘여우’의 형상과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9 : 14-, 1994

      19 천혜숙, "민속신화의 범주와 그 민속사회적 가치 : 마을신화와 당신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28): 197-210, 1998

      20 최원오, "동아시아 서사문학에서의 ‘여우[狐]’와 그 ‘인간-동물’ 문화적 특징" 국문학회 (31) : 255-280, 2015

      21 강진옥, "구조와 분석Ⅱ.소설" 窓 252-, 1993

      22 천혜숙, "花庄마을 堂神話의 要素 및 構造 분석"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6 : 57-81, 1996

      23 유달선, "濟州道 口碑神話의 關聯樣相" 우리말글학회 14 : 18-, 1996

      24 이경화, "<양씨아미본풀이>의 장르 교섭 양상과 그 의미" 한국무속학회 (36) : 311-330, 2018

      25 이현정, "<고전적본풀이>의 형성과 전승의 문제" 한국구비문학회 (52) : 93-13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