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F. Chopin의 Ballade No.1, Op.23의 연구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56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6.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Ballade No.1, Op.23 by Fiederick Chopin

      • 형태사항

        vi, 38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양옥
        참고문헌 :36 p.

      • 소장기관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레데릭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고전주의 시대에 연결된 초기 낭만주의 시대를 열었던 폴란드 작곡가이다. 그는 프랑스의 문학가, 예술가들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고전적 전통과 유럽사상의 음악 양식을 융합하여 고전적 소나타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낭만적 요소들을 가지고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음악적 표현의 가능성을 실현시켰고, 피아노의 시인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그의 작품의 중심에는 늘 피아노 작품이 있었다.

      쇼팽의 피아노 음악의 표현법은 매우 독창적이고 창조적이다. 그는 조국을 열정적으로 사랑한 음악가로 폴란드 민속적 음악 정신이 담은 마주르카, 폴로네즈, 녹턴, 즉흥곡 등 성격 소품의 피아노 작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식의 곡을 작곡하였다. 그를 통하여 19세기이전부터 성악곡으로 현존하던 발라드가 기악곡인 피아노곡의 새로운 장르를 이끌어간 것도 작곡가 쇼팽이다.

      쇼팽은 39세의 짧은 인생을 통해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21살이 되는 1831년부터 1842년까지 10여 년에 걸쳐 4곡의 발라드를 작곡했다. 그의 4곡의 발라드는 낭만파 음악을 대표하는 성격 소품의 작품으로 설화적인 성격의 작품이다. 그 중에서도 쇼팽 발라드 제1번은 음악어법의 핵심인 화성, 리듬, 선율, 음계에 이르기까지 슬라브 특유의 감성이 녹아져 있는 수작(秀作)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쇼팽의 생애와 그의 피아노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중세 프랑스 시(詩) 형식에서 유래한 피아노 발라드 작품의 유래와 발달사를 살펴보고, 또한 그의 피아노 발라드가 갖는 시대적 중요성과 그의 피아노 음악만이 가지는 독창적인 세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쇼팽의 네 곡의 발라드 작품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중에 「발라드 No. 1, Op.23」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였고, 자유로운 소나타형식으로 작곡된 이 작품은 역시 시와 함께 줄거리를 가진 발라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역시 자유스러운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되어 전형적인 소나타형식에서 볼 수 없는 서주부와 코다를 가진 제시부와 발전부 그리고 재현부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선율과 리듬은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 벨리니(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 1801~1835)의 벨칸토 양식인 아름답고 풍부한 서정적인 주선율과 반음계적 진행과 동형 진행을 사용하고 있으며, 선율의 변형과 장식, 템포, 복합 리듬의 변화, 루바토, 페달 등을 사용하여 자유로운 변화를 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급격한 나폴리 6화음 등의 사용과 비화성음, 경과음, 불협화음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조 변화와 이명동음을 이용한 조바꿈 그리고 12음계의 반음계적 화성 진행을 사용한 점으로 고전주의 전통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곡 기법으로 변형 발전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피아노 음악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쇼팽「발라드 No. 1, Op.23」을 분석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의 틀을 자유로운 낭만주의 음악을 담는 도구로 승화시켰고, 피아노 시인으로 불리어진 쇼팽은「발라드 No. 1, Op.23」의 분석 연구를 통해 연주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프레데릭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고전주의 시대에 연결된 초기 낭만주의 시대를 열었던 폴란드 작곡가이다. 그는 프랑스의 문학가, 예술가들과...

      프레데릭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고전주의 시대에 연결된 초기 낭만주의 시대를 열었던 폴란드 작곡가이다. 그는 프랑스의 문학가, 예술가들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고전적 전통과 유럽사상의 음악 양식을 융합하여 고전적 소나타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낭만적 요소들을 가지고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음악적 표현의 가능성을 실현시켰고, 피아노의 시인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그의 작품의 중심에는 늘 피아노 작품이 있었다.

      쇼팽의 피아노 음악의 표현법은 매우 독창적이고 창조적이다. 그는 조국을 열정적으로 사랑한 음악가로 폴란드 민속적 음악 정신이 담은 마주르카, 폴로네즈, 녹턴, 즉흥곡 등 성격 소품의 피아노 작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식의 곡을 작곡하였다. 그를 통하여 19세기이전부터 성악곡으로 현존하던 발라드가 기악곡인 피아노곡의 새로운 장르를 이끌어간 것도 작곡가 쇼팽이다.

      쇼팽은 39세의 짧은 인생을 통해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21살이 되는 1831년부터 1842년까지 10여 년에 걸쳐 4곡의 발라드를 작곡했다. 그의 4곡의 발라드는 낭만파 음악을 대표하는 성격 소품의 작품으로 설화적인 성격의 작품이다. 그 중에서도 쇼팽 발라드 제1번은 음악어법의 핵심인 화성, 리듬, 선율, 음계에 이르기까지 슬라브 특유의 감성이 녹아져 있는 수작(秀作)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쇼팽의 생애와 그의 피아노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중세 프랑스 시(詩) 형식에서 유래한 피아노 발라드 작품의 유래와 발달사를 살펴보고, 또한 그의 피아노 발라드가 갖는 시대적 중요성과 그의 피아노 음악만이 가지는 독창적인 세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쇼팽의 네 곡의 발라드 작품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중에 「발라드 No. 1, Op.23」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였고, 자유로운 소나타형식으로 작곡된 이 작품은 역시 시와 함께 줄거리를 가진 발라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역시 자유스러운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되어 전형적인 소나타형식에서 볼 수 없는 서주부와 코다를 가진 제시부와 발전부 그리고 재현부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선율과 리듬은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 벨리니(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 1801~1835)의 벨칸토 양식인 아름답고 풍부한 서정적인 주선율과 반음계적 진행과 동형 진행을 사용하고 있으며, 선율의 변형과 장식, 템포, 복합 리듬의 변화, 루바토, 페달 등을 사용하여 자유로운 변화를 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급격한 나폴리 6화음 등의 사용과 비화성음, 경과음, 불협화음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조 변화와 이명동음을 이용한 조바꿈 그리고 12음계의 반음계적 화성 진행을 사용한 점으로 고전주의 전통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곡 기법으로 변형 발전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피아노 음악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쇼팽「발라드 No. 1, Op.23」을 분석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의 틀을 자유로운 낭만주의 음악을 담는 도구로 승화시켰고, 피아노 시인으로 불리어진 쇼팽은「발라드 No. 1, Op.23」의 분석 연구를 통해 연주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yderyk Chopin(1810~1849) is a Polish composer and leading musician of the early Romantic era in the 19th century that followed the Classical era. To realize musical possibilities through the piano, he went beyond the classical sonata form and instilled free romantic elements into his compositions by integrating the classical tradition and European style by the influence of his friendships with French writers and artists. The piano was always at the center of his works, which earned him the title the 'poet of piano.'

      The piano music of Chopin is very creative and original. He, as a passionate lover of Poland, wrote various forms of piano character pieces such as Mazurkas, Polonaises, Nocturnes, and impromptus in which the spirit of Polish folk music is alive. It was Chopin who established instrumental ballade though vocal ballade had been around for long.

      He left a number of works for his short life of 39 years. Especially, he composed four ballades during the decade from 1831(when he became 21 years old) to 1842. They are narrative character pieces which exemplify the Romantic music. Among them, his Ballade No.1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that contains unique Slavic in all aspects of harmony, rhythm, melody and scale.

      This paper intends to look into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piano ballades that came from the French poetic style in the Middle age as well as Chopin's
      lif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It aims to explore the timely significance of Chopin's piano ballades and the creative world of his piano music, too.

      This paper is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eatures of Chopin's four ballades with a focus on his Ballade No. 1, Op.23.
      Ballade No. 1 includes a story associated with a poem and takes on a free, rare form of sonata that consists of the exposition with the introduction and coda, the development and the recapitulation.

      The melody and rhythm of Chopin's Ballade No. 1 adopted the Belcanto style of the 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1801~1835). So, Ballade No.1 is characterized with a beautiful, lyrical main melody and chromatic sequences that bring about melodic change and decoration, tempo and rhythmic transition and free alteration using rubato and pedal techniques. It also uses a radical Neapolitan sixth chord and dissonant chords such as non-harmonic tone and a passing tone along with modulation harnessing enharmonic keys and chromatic sequences of 12 major scales. Through his Ballade No. 1, Chopin developed his distinctive composing techniques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traditional frame of Classism.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analyze Chopin's Ballade No. 1 as the culmination of piano music. The author hopes that the paper on the masterpiece of the poet of the piano who took the classical form of sonata into a new level of free Romantic music will be helpful to pianists.
      번역하기

      Fryderyk Chopin(1810~1849) is a Polish composer and leading musician of the early Romantic era in the 19th century that followed the Classical era. To realize musical possibilities through the piano, he went beyond the classical sonata form and instil...

      Fryderyk Chopin(1810~1849) is a Polish composer and leading musician of the early Romantic era in the 19th century that followed the Classical era. To realize musical possibilities through the piano, he went beyond the classical sonata form and instilled free romantic elements into his compositions by integrating the classical tradition and European style by the influence of his friendships with French writers and artists. The piano was always at the center of his works, which earned him the title the 'poet of piano.'

      The piano music of Chopin is very creative and original. He, as a passionate lover of Poland, wrote various forms of piano character pieces such as Mazurkas, Polonaises, Nocturnes, and impromptus in which the spirit of Polish folk music is alive. It was Chopin who established instrumental ballade though vocal ballade had been around for long.

      He left a number of works for his short life of 39 years. Especially, he composed four ballades during the decade from 1831(when he became 21 years old) to 1842. They are narrative character pieces which exemplify the Romantic music. Among them, his Ballade No.1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that contains unique Slavic in all aspects of harmony, rhythm, melody and scale.

      This paper intends to look into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piano ballades that came from the French poetic style in the Middle age as well as Chopin's
      lif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It aims to explore the timely significance of Chopin's piano ballades and the creative world of his piano music, too.

      This paper is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eatures of Chopin's four ballades with a focus on his Ballade No. 1, Op.23.
      Ballade No. 1 includes a story associated with a poem and takes on a free, rare form of sonata that consists of the exposition with the introduction and coda, the development and the recapitulation.

      The melody and rhythm of Chopin's Ballade No. 1 adopted the Belcanto style of the 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1801~1835). So, Ballade No.1 is characterized with a beautiful, lyrical main melody and chromatic sequences that bring about melodic change and decoration, tempo and rhythmic transition and free alteration using rubato and pedal techniques. It also uses a radical Neapolitan sixth chord and dissonant chords such as non-harmonic tone and a passing tone along with modulation harnessing enharmonic keys and chromatic sequences of 12 major scales. Through his Ballade No. 1, Chopin developed his distinctive composing techniques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traditional frame of Classism.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analyze Chopin's Ballade No. 1 as the culmination of piano music. The author hopes that the paper on the masterpiece of the poet of the piano who took the classical form of sonata into a new level of free Romantic music will be helpful to piani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악보 목차 ⅲ
      • 표 목차 ⅳ
      • 국문 초록 ⅴ
      • 제1장 서 론 1
      • 악보 목차 ⅲ
      • 표 목차 ⅳ
      • 국문 초록 ⅴ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의의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제2장 본 론 3
      • 제1절 쇼팽의 생애와 피아노 음악 3
      • 1. 쇼팽의 생애 3
      • 2. 쇼팽 피아노 음악의 특징 5
      • 제2절 쇼팽 발라드 7
      • 1. 쇼팽 발라드 유래 7
      • 2. 쇼팽 발라드에 대하여 9
      • 제3절 쇼팽 발라드 No. 1, Op. 23 작품 분석 14
      • 1. 악곡의 형식과 작품 분석 14
      • 가. 악곡의 형식 14
      • 나. 작품 분석 15
      • 1) 서주부 15
      • 2) 제시부 16
      • 3) 발전부 22
      • 4) 재현부 26
      • 5) 코 다(Coda) 30
      • 제3장 결 론 34
      • 참고 문헌 36
      • Abstract 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