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능력 평가 방안 연구 = A STUDY ON KOREAN PROFICIENCY TEST MEASURE ON THE PURPOSE OF COLLEGE ACADEMIC APTITUDE OF INTERNATIONA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37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수학을 위한 언어사용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능력 평가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는 한국의 대학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대학에서 수학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에 대한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한국 대학의 수학 목적 상황에서 학업 과제를 다루는 기반이 되는 한국어의 부족은 한국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해서 공부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에 대한 정의 및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필요하다.
      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한국 대학의 입학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예비적으로 갖추어야 할 한국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실제적인 한국어의 가이드라인 제시는, 한국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과제 및 언어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능력 평가를 통해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다시 말해 대학에서 한국어가 사용되는 영역 즉 TLU(Target Language Use) 영역의 과제와 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평가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험과제 작성을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있는 Bachman & Palmer(1996)의 이론을 연구의 평가이론으로 삼는 한편, 고등 사고력의 언어적 수행 즉 인지능력을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능력의 핵심으로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의사소통능력 평가이론을 기반으로 한 평가 설계와는 다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TLU 과제의 선정은 한국의 실제적인 대학 상황을 기반으로 TLU 과제에 대해 요구분석한 선행연구의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선정된 TLU 과제는 언어기능별로 분류하여 시험과제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언어기능별로 중요하다고 보이는 TLU 과제를 각각 하나씩 시범적으로 뽑아 시험과제 작성에 필요한 기술한 후, 마지막으로 그 기술이 어떻게 시험과제로 구현되는지 표본 예시를 작성하여 시험과제가 선정되고 제작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 과정에는 미리 앞서 분석한 국내외 대학 수학 목적 언어능력 시험의 공통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었다. 이러한 절차는 외국인 유학생이 장래에 접하게 될 실제 대학 수학 목적 TLU 과제가 갖는 특성 즉 언어의 경로 및 길이 등의 형식, 다루어지는 언어와 화제의 특성,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충분히 반영한 시험 과제의 작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수학을 위한 언어사용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능력 평가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는 한국의 대학에서 공부하고...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수학을 위한 언어사용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능력 평가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는 한국의 대학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대학에서 수학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에 대한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한국 대학의 수학 목적 상황에서 학업 과제를 다루는 기반이 되는 한국어의 부족은 한국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해서 공부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에 대한 정의 및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필요하다.
      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한국 대학의 입학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예비적으로 갖추어야 할 한국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실제적인 한국어의 가이드라인 제시는, 한국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과제 및 언어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능력 평가를 통해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다시 말해 대학에서 한국어가 사용되는 영역 즉 TLU(Target Language Use) 영역의 과제와 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평가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험과제 작성을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있는 Bachman & Palmer(1996)의 이론을 연구의 평가이론으로 삼는 한편, 고등 사고력의 언어적 수행 즉 인지능력을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능력의 핵심으로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의사소통능력 평가이론을 기반으로 한 평가 설계와는 다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TLU 과제의 선정은 한국의 실제적인 대학 상황을 기반으로 TLU 과제에 대해 요구분석한 선행연구의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선정된 TLU 과제는 언어기능별로 분류하여 시험과제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언어기능별로 중요하다고 보이는 TLU 과제를 각각 하나씩 시범적으로 뽑아 시험과제 작성에 필요한 기술한 후, 마지막으로 그 기술이 어떻게 시험과제로 구현되는지 표본 예시를 작성하여 시험과제가 선정되고 제작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 과정에는 미리 앞서 분석한 국내외 대학 수학 목적 언어능력 시험의 공통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었다. 이러한 절차는 외국인 유학생이 장래에 접하게 될 실제 대학 수학 목적 TLU 과제가 갖는 특성 즉 언어의 경로 및 길이 등의 형식, 다루어지는 언어와 화제의 특성,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충분히 반영한 시험 과제의 작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ased on the assignments in the use of language for college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college educati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requir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learn when studying at colleges in Korea.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guideline on Korean language suggest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college education.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ability utilized for assignments for college education negatively influences on college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colleges in Korea.
      Therefore, it is needed to define Korean language and provide guidelines of it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study at college in Korea and also lead a satisfying college life.
      Studies dealing with Korean language in academic purpose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2000s accomplishing much of achievement. However, it is still in a beginning phase for detailed review on Korean language that international students need to learn in advance.
      This study identified how it was feasible to suggest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based on assignment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f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evaluation shall be designed based on assignments in the field where Korean language is used, to be specific; TLU (Target Language Use), and the analysis on it. Therefore, this study has utilized theory by Bachman & Palmer (1996) that suggested analytical frame preparing for test assignments and 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 as evaluation theory and had linguistic ability in advanced thinking skills, in other words; cognitive ability as the core part of language ability for college education. Such an attempt is regarded to be different from evaluation design based on previous communication-based skills evaluation theory.
      Selection of TLU assignments was based on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questing and analyzing the TLU assignments according to real situations in education at colleges in Korea.
      Selected TLU assignments were categorized in each of the language functions choosing one of the TLU assignments that were regarded as important in terms of linguistic functions as an example and stating parts needed for test and assignments. Afterwards, examples were prepared showing how such a statement was realized in test assignments suggesting procedures of how test assignments were selected and actually made. Of course, common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ficiency test for college education that was previously analyzed were considered.
      These procedures made it feasible to prepare for tests and assignments that fully reflected features of TLU assignments for college education international students were expected to deal with in the future including language routines and lengths, language used and characteristics of topics, and ognitive ability required for performing the assignment.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ased on the assignments in the use of language for college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college educati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ased on the assignments in the use of language for college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college educati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requir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learn when studying at colleges in Korea.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guideline on Korean language suggest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college education.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ability utilized for assignments for college education negatively influences on college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colleges in Korea.
      Therefore, it is needed to define Korean language and provide guidelines of it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study at college in Korea and also lead a satisfying college life.
      Studies dealing with Korean language in academic purpose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2000s accomplishing much of achievement. However, it is still in a beginning phase for detailed review on Korean language that international students need to learn in advance.
      This study identified how it was feasible to suggest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based on assignment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f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evaluation shall be designed based on assignments in the field where Korean language is used, to be specific; TLU (Target Language Use), and the analysis on it. Therefore, this study has utilized theory by Bachman & Palmer (1996) that suggested analytical frame preparing for test assignments and 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 as evaluation theory and had linguistic ability in advanced thinking skills, in other words; cognitive ability as the core part of language ability for college education. Such an attempt is regarded to be different from evaluation design based on previous communication-based skills evaluation theory.
      Selection of TLU assignments was based on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questing and analyzing the TLU assignments according to real situations in education at colleges in Korea.
      Selected TLU assignments were categorized in each of the language functions choosing one of the TLU assignments that were regarded as important in terms of linguistic functions as an example and stating parts needed for test and assignments. Afterwards, examples were prepared showing how such a statement was realized in test assignments suggesting procedures of how test assignments were selected and actually made. Of course, common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roficiency test for college education that was previously analyzed were considered.
      These procedures made it feasible to prepare for tests and assignments that fully reflected features of TLU assignments for college education international students were expected to deal with in the future including language routines and lengths, language used and characteristics of topics, and ognitive ability required for performing the assig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연구 3
      • 1.3. 연구의 구성 6
      • 2. 이론적 배경 9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연구 3
      • 1.3. 연구의 구성 6
      • 2. 이론적 배경 9
      • 2.1.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9
      • 2.1.1.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의 개념 9
      • 2.1.2.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능력 11
      • 2.2. 언어능력 평가의 설계 14
      • 2.2.1. 언어능력 평가 이론 14
      • 2.2.2. TLU(Target Language Use) 과제와 시험 과제 18
      • 3. 연구 도구 24
      • 3.1. 대학 수학을 위한 인지 능력 24
      • 3.2. TLU 과제와 시험 과제의 분석 28
      • 4. 국내외 대학 수학 목적 언어능력 평가의 시험 과제 분석 32
      • 4.1. TOEFL 33
      • 4.1.1. 평가 방향 33
      • 4.1.2. 시험 과제 분석 36
      • 4.2. 일본유학시험 EJU 49
      • 4.2.1. 평가 방향 49
      • 4.2.2. 시험 과제 분석 53
      • 4.3.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 59
      • 4.3.1. 평가 방향 59
      • 4.3.2. 시험 과제 분석 61
      • 4.4. 영역별 시험 과제의 특성 67
      • 4.4.1. 듣기 영역 67
      • 4.4.2. 읽기 영역 71
      • 4.4.3. 쓰기 영역 74
      • 4.4.4. 말하기 영역 76
      • 5.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능력 평가 방안 79
      • 5.1. 평가 설계의 절차와 방법 79
      • 5.2. TLU 과제 선정 81
      • 5.2.1. 한국 대학의 수학 목적 TLU 과제 81
      • 5.2.2. 언어기능별 대학 수학 목적 TLU 과제 선정 84
      • 5.3. 시험 과제 선정 88
      • 5.3.1. 듣기 영역 88
      • 5.3.2. 읽기 영역 97
      • 5.3.3. 쓰기 영역 102
      • 5.3.4. 말하기 영역 108
      • 5.3.5. 간접적 요소 113
      • 5.4. 시험 과제 및 평가의 실제 117
      • 6. 결론 126
      • 6.1. 연구의 요약 126
      • 6.2. 연구의 의의와 한계 128
      • 【참고문헌】 130
      • 【부록】 140
      • 【Abstract】 1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