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송 김동삼과 국민대표회의 = Kim Dong-sam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40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born as a result of the March 1st Revolution in 1919. However, as various problems were revealed, a view to find a solution emerged. As a result, from January 3 to June 7, 1923,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was held in Shanghai attended by 125 delegates. The two lines collided. Reformation theory that recogniz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extensive reforms, and Creationism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be dissolved and reorganized. Kim Dongsam, a reformist, was elected as the chairman, and Yoon Hae, a creationist, was elected as the vice-chairman.
      At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the Reform faction had a numerical superiority. However, the Creationists prevented the reform agenda from being adopted in a way that hindered the progress of the conference.
      On May 15, when Kim Dong-sam was recalled from Manchuria's West Road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People's Club, which dispatched Kim Dong-sam, Kim Dong-sam resigned as chairman. Vice Chairman Yoon Hae became the chairman. On June 7, only the Creationists got together and passed a new constitution, but it was an agreement of their own faction. The Conference was held by the consensus of the entire nation, ended without any results. However, it was an event worthy of becoming a milestone in Korean democracy in that representatives of the entire nation gathered to discuss the future of the nation.
      번역하기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born as a result of the March 1st Revolution in 1919. However, as various problems were revealed, a view to find a solution emerged. As a result, from January 3 to June 7, 1923, the National Rep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born as a result of the March 1st Revolution in 1919. However, as various problems were revealed, a view to find a solution emerged. As a result, from January 3 to June 7, 1923,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was held in Shanghai attended by 125 delegates. The two lines collided. Reformation theory that recogniz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extensive reforms, and Creationism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be dissolved and reorganized. Kim Dongsam, a reformist, was elected as the chairman, and Yoon Hae, a creationist, was elected as the vice-chairman.
      At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the Reform faction had a numerical superiority. However, the Creationists prevented the reform agenda from being adopted in a way that hindered the progress of the conference.
      On May 15, when Kim Dong-sam was recalled from Manchuria's West Road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People's Club, which dispatched Kim Dong-sam, Kim Dong-sam resigned as chairman. Vice Chairman Yoon Hae became the chairman. On June 7, only the Creationists got together and passed a new constitution, but it was an agreement of their own faction. The Conference was held by the consensus of the entire nation, ended without any results. However, it was an event worthy of becoming a milestone in Korean democracy in that representatives of the entire nation gathered to discuss the future of the 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3·1혁명의 결과로 탄생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자 그 해결책을 찾자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그 결과 1923년 1 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상해에서 125명의 대표가 참석한 국민대표회의가 열렸다. 국민대표회의는 두 노선이 충돌했다. 임시정부를 인정하면서 대대적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개조론과 임시정부를 해산하고 다시 조직해야 한다는 창조론이었다. 의장에는 개조파인 김동삼, 부의장에는 창조파 윤해가 선출되었다.
      국민대표회의는 개조파가 수적으로 우세했다. 그러나 창조파는 회의진행 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개조 안건이 채택되는 것을 막았다. 5월 15일 김동삼을 파견한 만주의 서로군정서와 한족회에서 소환하자 김동삼은 의장직을 사임했다. 부의장 윤해가 의장이 되었다. 6월 7일 창조파만이 모여서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켰으나 이는 자신들 파벌만의 합의였다. 온 민족의 총의가 모여서 개최했던 국민대표회의는 성과 없이 종료되었다. 그러나 온 민족의 대표들이 모여서 민족의 미래를 논의했다는 점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이정표가 될만한 사건이었다.
      번역하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3·1혁명의 결과로 탄생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자 그 해결책을 찾자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그 결과 1923년 1 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상해에서 125명의 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3·1혁명의 결과로 탄생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자 그 해결책을 찾자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그 결과 1923년 1 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상해에서 125명의 대표가 참석한 국민대표회의가 열렸다. 국민대표회의는 두 노선이 충돌했다. 임시정부를 인정하면서 대대적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개조론과 임시정부를 해산하고 다시 조직해야 한다는 창조론이었다. 의장에는 개조파인 김동삼, 부의장에는 창조파 윤해가 선출되었다.
      국민대표회의는 개조파가 수적으로 우세했다. 그러나 창조파는 회의진행 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개조 안건이 채택되는 것을 막았다. 5월 15일 김동삼을 파견한 만주의 서로군정서와 한족회에서 소환하자 김동삼은 의장직을 사임했다. 부의장 윤해가 의장이 되었다. 6월 7일 창조파만이 모여서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켰으나 이는 자신들 파벌만의 합의였다. 온 민족의 총의가 모여서 개최했던 국민대표회의는 성과 없이 종료되었다. 그러나 온 민족의 대표들이 모여서 민족의 미래를 논의했다는 점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이정표가 될만한 사건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 7" 1990

      2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7"

      3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6"

      4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3"

      5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

      6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연구" 지식산업사 1995

      7 "조선일보"

      8 "조선민족운동연감"

      9 "이승만문서 16권"

      10 조철행, "안창호와 국민대표회의 운동" 도산상연구회 7 : 2001

      1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 7" 1990

      2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7"

      3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6"

      4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3"

      5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

      6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연구" 지식산업사 1995

      7 "조선일보"

      8 "조선민족운동연감"

      9 "이승만문서 16권"

      10 조철행, "안창호와 국민대표회의 운동" 도산상연구회 7 : 2001

      11 송남헌, "시베리아의 투사 원세훈" 천산산맥 1990

      12 "석주유고 권6"

      13 "매일신보"

      14 "동아일보"

      1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4" 1973

      16 "독립신문"

      17 독립기념관, "도산안창호자료집 3권"

      18 이명화, "도산 안창호와 국민대표회의" 도산상연구회 6 : 2000

      19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 6"

      20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2권"

      21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1권"

      22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문서 3"

      23 이현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 상" 국가보훈처 1999

      24 반병률, "대한국민의회의 성립과 조직" 46 : 1993

      25 반병률, "대한국민의회와 상해임시정부의 통합정부 수립운동" 2 : 1988

      26 이현주, "국민대표회의에서의‘개조론’연구: 상해파를 중심으로" 도산상연구회 6 : 2000

      27 임경석, "국민대표회의 폐막이후 창조파의 동향" 국학연구원 (163) : 183-210, 2013

      28 윤대원, "국민대표회의 이후 개조파의 정국쇄신운동과 국무령제의 성립" 역사학연구소 (7) : 75-110, 2000

      29 임경석, "국민대표회의 원내 대표원단 연구" 고려사학회 (51) : 267-289, 2013

      30 이현희, "국민대표회의 소집 문제" 백산학회 18 : 1975

      31 조철행, "국민대표회(1921~1923) 연구:개조파, 창조파의 민족해방운동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44 : 1995

      32 조철행, "국민대표회 전후 민족운동 최고기관 조직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33 林京錫, "高麗共産黨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34 국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運動史 資料 3" 1973

      35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獨立運動史 三" 1967

      36 국회도서관, "韓國民族運動史料 : 中國編"

      37 국회도서관, "韓國民族運動史史料, 中國編"

      38 "韓國民族運動史史料, 中國編"

      39 坪江汕二, "派爭の激化と李承晚の米國への脫出"

      40 "朝鮮民族運動年鑑 《朝鮮獨立運動 第2卷 民族主義運動篇》"

      41 국회도서관, "島山安昌鎬資料集(Ⅰ)"

      42 尹大遠, "大韓民國臨時政府의 組織·運營과 獨立方略의 분화(1919-1930)"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43 국회도서관, "大韓民國臨時政府議政院文書" 1974

      44 여운형, "夢陽呂運亨全集(2)" 한울 1991

      45 오창환, "國民代表會議의 經過事情" 1923

      46 김광재, "上海 국민대표회의 개최지 三一堂 위치 고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9) : 121-152, 2014

      47 박윤재, "1920년대 초 민족통일전선운동과 국민대표회의" 연세사학연구회 17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