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 7" 1990
2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7"
3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6"
4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3"
5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
6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연구" 지식산업사 1995
7 "조선일보"
8 "조선민족운동연감"
9 "이승만문서 16권"
10 조철행, "안창호와 국민대표회의 운동" 도산상연구회 7 : 2001
1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 7" 1990
2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7"
3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6"
4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3"
5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
6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연구" 지식산업사 1995
7 "조선일보"
8 "조선민족운동연감"
9 "이승만문서 16권"
10 조철행, "안창호와 국민대표회의 운동" 도산상연구회 7 : 2001
11 송남헌, "시베리아의 투사 원세훈" 천산산맥 1990
12 "석주유고 권6"
13 "매일신보"
14 "동아일보"
1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4" 1973
16 "독립신문"
17 독립기념관, "도산안창호자료집 3권"
18 이명화, "도산 안창호와 국민대표회의" 도산상연구회 6 : 2000
19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 6"
20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2권"
21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1권"
22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문서 3"
23 이현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 상" 국가보훈처 1999
24 반병률, "대한국민의회의 성립과 조직" 46 : 1993
25 반병률, "대한국민의회와 상해임시정부의 통합정부 수립운동" 2 : 1988
26 이현주, "국민대표회의에서의‘개조론’연구: 상해파를 중심으로" 도산상연구회 6 : 2000
27 임경석, "국민대표회의 폐막이후 창조파의 동향" 국학연구원 (163) : 183-210, 2013
28 윤대원, "국민대표회의 이후 개조파의 정국쇄신운동과 국무령제의 성립" 역사학연구소 (7) : 75-110, 2000
29 임경석, "국민대표회의 원내 대표원단 연구" 고려사학회 (51) : 267-289, 2013
30 이현희, "국민대표회의 소집 문제" 백산학회 18 : 1975
31 조철행, "국민대표회(1921~1923) 연구:개조파, 창조파의 민족해방운동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44 : 1995
32 조철행, "국민대표회 전후 민족운동 최고기관 조직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33 林京錫, "高麗共産黨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34 국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運動史 資料 3" 1973
35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獨立運動史 三" 1967
36 국회도서관, "韓國民族運動史料 : 中國編"
37 국회도서관, "韓國民族運動史史料, 中國編"
38 "韓國民族運動史史料, 中國編"
39 坪江汕二, "派爭の激化と李承晚の米國への脫出"
40 "朝鮮民族運動年鑑 《朝鮮獨立運動 第2卷 民族主義運動篇》"
41 국회도서관, "島山安昌鎬資料集(Ⅰ)"
42 尹大遠, "大韓民國臨時政府의 組織·運營과 獨立方略의 분화(1919-1930)"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43 국회도서관, "大韓民國臨時政府議政院文書" 1974
44 여운형, "夢陽呂運亨全集(2)" 한울 1991
45 오창환, "國民代表會議의 經過事情" 1923
46 김광재, "上海 국민대표회의 개최지 三一堂 위치 고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9) : 121-152, 2014
47 박윤재, "1920년대 초 민족통일전선운동과 국민대표회의" 연세사학연구회 17 :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