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규환, "한국형 암각화 내몽고서 첫 발견"
2 이유표, "하가점하층문화와 상문화의 계승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74) : 79-119, 2021
3 이호관, "팔당·소양댐 수몰지구 유적발굴 종합조사 보고" 문화재관리국 1974
4 복기대, "최근 발견된 내몽고 적봉 이도정자 유적에 관하여" 41 : 2018
5 성경당 ; 서소강, "최근 20년 간 중국 동북지역에서 발견된 청동기의 조사와 연구" 숭실사학회 (46) : 239-264, 2021
6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중국동북지역 고고조사현황, 2011~20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7 김봉근, "중국 동북지역 청동기시대 토성의 현황과 과제" 고조선단군학회 44 (44): 139-168, 2021
8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중국 동북지역 고고조산현황_내몽고자치구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9 박진호, "중국 내 하가점하층문화 연구 동향과 문제점-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9) : 343-372, 2020
10 강승우, "요서지역 하가점하층문화 취학 유적의 특징 분석" 50 : 2023
1 김규환, "한국형 암각화 내몽고서 첫 발견"
2 이유표, "하가점하층문화와 상문화의 계승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74) : 79-119, 2021
3 이호관, "팔당·소양댐 수몰지구 유적발굴 종합조사 보고" 문화재관리국 1974
4 복기대, "최근 발견된 내몽고 적봉 이도정자 유적에 관하여" 41 : 2018
5 성경당 ; 서소강, "최근 20년 간 중국 동북지역에서 발견된 청동기의 조사와 연구" 숭실사학회 (46) : 239-264, 2021
6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중국동북지역 고고조사현황, 2011~20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7 김봉근, "중국 동북지역 청동기시대 토성의 현황과 과제" 고조선단군학회 44 (44): 139-168, 2021
8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중국 동북지역 고고조산현황_내몽고자치구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9 박진호, "중국 내 하가점하층문화 연구 동향과 문제점-연구사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9) : 343-372, 2020
10 강승우, "요서지역 하가점하층문화 취학 유적의 특징 분석" 50 : 2023
11 복기대, "요서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연구" 백산자료원 2002
12 복기대, "요서 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와 황하 유역 문화의 관계"
13 경기도박물관, "요녕고대문물전"
14 요녕성문물고고연구소, "요녕 북표시 강가둔 성지 발굴 간보" 2001
15 최몽룡, "영암 장천리 거주지 2"
16 이융조, "양평 앙덕리 고인돌 발굴보고" 11 : 1975
17 복기대, "시론 주거유적으로 본 하가점하층문화의 사회성격" 한국고대학회 (29) : 133-153, 2008
18 곽대순, "동북문화와 유연문명 상" 동북아역사재단 2008
19 김성수,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의 민족문화공정(民族文化工程), 연혁과 전망" 동북아역사재단 (68) : 85-150, 2020
20 내몽고물물고고연구소, "내몽고 적봉시 이도정자유적의 발굴" 2010
21 윤내현, "고조선연구" 일지사 2004
22 임재해,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 지식산업사 2007
23 기획편집위원회, "고구려유적의 어제와 오늘" 동북아역사재단 2009
24 복기대, "고고학 성과로 본 동북 아시아고대문화 -환발해만 전기 청동기시대문화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17) : 49-76, 2008
25 張福有, "高句麗王陵通考" 香港亞洲出版社 2007
26 백종오, "夏家店下層文化의 最近 調査成果- 赤峰 二道井子遺蹟을 中心으로 -" 고조선단군학회 32 (32): 123-161, 2015
27 박진호, "夏家店下層文化聚落,經濟與社會形能硏究" 중국사회과학원 2020
28 曹建恩, "中國文化遺産" 2010
29 손수도 ; 신희권, "中國 東北地方 청동기문화의 계열(上篇:孫守道)" 국립문화유산연구원 (29) : 79-98, 1996
30 GIdeon Shelach, "Sanzuodian: the structure, function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earliest stone fortified sites in China" 85 :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