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나온 한국교회의 전도방법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전도의 주된 흐름과 현실, 미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머징 교회의 전도를 통해 얻은 통찰력 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미래 전도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390272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0-195(36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나온 한국교회의 전도방법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전도의 주된 흐름과 현실, 미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머징 교회의 전도를 통해 얻은 통찰력 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미래 전도방...
본 연구는 지나온 한국교회의 전도방법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전도의 주된 흐름과 현실, 미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머징 교회의 전도를 통해 얻은 통찰력 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미래 전도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는 지금까지의 한국 교회의 전도방법 변천의 과정과 두 가지로 분류된 전도패러다임의 실례들, 이 에 따른 사례교회 연구를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머징 교회 전도 패러다임의 특징과 선교적 관점을 담아 미래 한국교회가 어떤 방향에서 전도 해나가야 할 것인가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교회 내에서 활용되었던 전도방법론들과‘이머징 교회’에 관한 국내외의 자료와 문헌에 의 해 연구되었다. 또한, 사례 연구방법으로 한국교회에 전도의 틀을 이루었던 ‘개인중심의 전도’와‘교회주도형 전도’와‘이머징 교회의 전도’사례 교회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와 같이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하여“한국교회의 미 래 전도패러다임 방향성”을 세 가지(3M)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Mind(출발) 로서,“ 세상속으로들어가는성육신적자세”이다. 전도의출발점이중요한데, 그 출발점은 세상 속으로 들어가는 성육신적 자세이어야 한다. 교회가 세상과 의 눈높이를 맞추는 것에서부터 전도는 시작된다. 그것의 첫 출발점이 바로 ‘성육신적 마인드’이다. 두 번째는 전도의 목표(Mission)로서, “예수 따라 사 는 제자 되기”이다. 전도의 목표는 제자화해서 또 다른 제자를 낳는 것이다. 세상 속에서 전도자로 살아가는 것, 전도자를 삶으로 양성하는 것, 그래서 복 음의 재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이 전도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세 번째는 전도의 방법(Method)으로서,“ 복음의삶으로경험시키는전도”이다. 미래에는지금까 지의 전도방법론 위주의 전도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차원의 접근에서 전도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상대방의 마음을 얻어 그의 행동을 촉발시키고 그래서 새로운 미래 세계 - 하나님 나라 - 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 의 성과와 가치는 한국교회의 성장과 그 궤를 함께해온 실증(實證)된 전도 방 법론을 두 가지 전도패러다임으로 정리한 데에 의미가 있다. 그동안의 전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단편적(斷片的)이거나 공시적(共時的)인 연구였다. 아니면 연구자의 주관적 잣대를 가지고 전도방법론을 분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통시적(通時的)인 안목에서 전도의 큰 흐름인 개인중심의 전도와 교회 주도의 전도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한국교회의 미래 전도 방향성을 내다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quest for a right path that the Korean churches lead to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pastoral situation of Korea. The pastoral context and reality have changed faster than pastors expect. The ways of thinking and living of ...
This research aims to quest for a right path that the Korean churches lead to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pastoral situation of Korea. The pastoral context and reality have changed faster than pastors expect. The ways of thinking and living of the lay people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ost-modernism. The speed of the change is too fast for pastors to catch up with the mind-set of the church members from time to time. The Korean churches have been focused on the two paradigms of evangelism in the past: individual-centered evangelism and church-centered evangelism. This study illuminates these two paradigms from the case studies and analyzes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each paradigm.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ree types for the new direction of the evangelism in the future from the analysis of the emerging churches, which become more popular in the States and Korea as well. The emerging churches need to be regarded not as a new type of church, but as the movement for the church reformation and recovery. The study of the evangelism of the emerging churches in the US and Korea enables us to shed a new light on the new direction for the evangelism.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ree different types (3M-Mind, Mission, Method) of the new evangelism paradigm for the Korean churches in the future. In the future, evangelism needs to practice with more interest in essential dimension, unlike the way it has been practiced with the more focus on the methodological interest. The essential dimension is concerned about the way of helping non-Christians to change their action and proceed toward the future, the kingdom of G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천, "효과적인 복음전도" 아가페문화사 1993
2 안승오, "현대선교학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8
3 심민수, "현대 ‘문화시대’에 회복해야 할 목회와 전도 패러다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 : 58-88, 2009
4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I" 기독교문사 1992
5 용환규, "한국교회 정체성 회복을 위한 목회패러다임의 전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5 : 225-251, 2015
6 교회성장연구소 교회경쟁력연구센터, "한국교회 경쟁력 보고서" 교회성장연구소 2006
7 하도균, "하나님 나라와 복음전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1 : 133-162, 2014
8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우리 시대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 IVP 2000
9 Gilbert, Larry, "팀전도전략" 프리셉트 1995
10 Hunter III, George, "켈트전도법" 올리브나무 2012
1 김형천, "효과적인 복음전도" 아가페문화사 1993
2 안승오, "현대선교학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8
3 심민수, "현대 ‘문화시대’에 회복해야 할 목회와 전도 패러다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 : 58-88, 2009
4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I" 기독교문사 1992
5 용환규, "한국교회 정체성 회복을 위한 목회패러다임의 전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5 : 225-251, 2015
6 교회성장연구소 교회경쟁력연구센터, "한국교회 경쟁력 보고서" 교회성장연구소 2006
7 하도균, "하나님 나라와 복음전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1 : 133-162, 2014
8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우리 시대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 IVP 2000
9 Gilbert, Larry, "팀전도전략" 프리셉트 1995
10 Hunter III, George, "켈트전도법" 올리브나무 2012
11 최희범, "총체적 전도를 위한 소고" 서울신학대학 기독교연구소 15 : 171-189, 1990
12 이원규, "종교다원주의와 신학적 과제" 대한기독교서회 1990
13 Thiessen, Henry C, "조직신학강론" 생명의말씀사 1983
14 조은태, "전도학총론" 타문화권목회연구원 2003
15 홍성철, "전도학" 도서출판세복 2006
16 서정운, "전도와선교" 169-193, 1987
17 Kuiper, R. B., "전도신학" 생명의 말씀사 1993
18 나겸일, "전도마을 만들기" 교회성장연구소 2005
19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이미지로 전도하는 꿈의교회" 교회성장연구소 2010
20 Carson, D. A, "이머징교회바로알기" 부흥과 개혁사 2010
21 김도훈, "이머징 교회의 교회론에 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36) : 10-40, 2009
22 최동규, "이머징 교회와 그것의 한국적 전개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32) : 73-103, 2012
23 황병준, "이머징 교회 운동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문화코드, 리더십, 셀 그룹, 전도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38) : 227-260, 2014
24 Gibbs, Eddie, "이머징 교회" 쿰란출판사 2009
25 이덕주, "이덕주 교수가 쉽게 쓴 한국교회 이야기" 신앙과 지성사 2009
26 서정운, "요한네스 후켄다이크의 선교관"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 : 208-223, 1988
27 이상만, "오이코스전도핸드북" 엠마오 1997
28 Sweet, Leonard,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래교회" 좋은 씨앗 2006
29 Kimball, Dan, "시대를 리드하는 교회" 이레서원 2008
30 김운용, "설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31 백종구, "선교와 교회성장" 한들출판사 245-269, 2003
32 Frost, Michael, "새로운 교회가 온다"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9
33 장성배, "사명을 다하는 교회로 바로 세워라" 도서출판kmc 2009
34 한국일, "복음전도와 교회의 공적 책임" 장로회신학대학교 (35) : 140-178, 2009
35 나원용, "박봉배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신앙과지성사 77-87, 1990
36 황병준, "미래교회트렌드" 올리브나무 2014
37 김남식, "네비우스 선교방법 연구" 신학지남사 (가을) : 146-170, 1985
38 McLaren, Brian D., "기독교를생각한다" 청림출판 2011
39 Jones, Tony, "The New Christians: Dispatch from the Emergentfrontier" Jossey-Bass 2008
40 Anderson, Ray S., "An Emergent Theology for Emerging Churches" InterVarsity Press 2006
병사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복무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상담적 접근
공동체를 세우는 전략으로서의 내러티브 : 데살로니가전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88 | 0.87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