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은 발전을 주도하는 첫 번째 원동력이며 국가의 종합적인 국력과 핵심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의대생 교육에서는 연구창의 과정과 연구 결과가 가져오는 사회적 효과에 주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6933
포천 :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중국 의과대학원생" ; "학습동기" ; "연구창의성" ; "연구자기효능감" ; "연구자 정체성"
경기도
128 ; 26 cm
지도교수: 함현진
I804:41014-20000081693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혁신은 발전을 주도하는 첫 번째 원동력이며 국가의 종합적인 국력과 핵심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의대생 교육에서는 연구창의 과정과 연구 결과가 가져오는 사회적 효과에 주의...
혁신은 발전을 주도하는 첫 번째 원동력이며 국가의 종합적인 국력과 핵심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의대생 교육에서는 연구창의 과정과 연구 결과가 가져오는 사회적 효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습동기를 배양하며 연구창의성의 발전을 촉진하여 중국 의료 산업과 사고의 발전에 힘써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의대생의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점에서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 연구자기효능감 및 연구자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학습동기 연구창의성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 정체성의 경향은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성별과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학습동기, 연구창의성,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 정체성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비확률적 임의표집 방법을 통해 표집된 중국 10개 의과대학원생 1,088명이다. 설문 조사는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모바일 웹 미니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었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 '学习动机量表(Working Preference)' α=.917, '科研创造力量表(Identify as a Scientist)' 는 α=.901, '科研角色认同感量表(Creativity of Postgraduates)' 는 α=.858, '科研自我效能感量表(Research self-efficacy)' 는 α=.881이다. 수집 된 데이터는 SPSS 21.0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t- 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Bootstrap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구하였고, 모든 통계적 의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학습동기 3.659점, 연구창의성 3.600점, 연구자기효능감 3.603점, 연구자 정체성 3.650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차이는 성별에 따라 남학생의 학습동기, 연구창의성, 연구자기효능감, 연구자 정체성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전공에 따라 연구자기효능감은 의학전공 학생이 기타 전공 학생에 비해, 연구정체성은 기타전공학생이 의학전공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연구자기효능감은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넷째, 연구자기효능감은 학습동기와 연구자 정체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다섯째, 연구정체성은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여섯째, 연구자 정체성은 연구창의성과 연구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일곱째,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 정체성은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다중매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연구자 정체성을 제고하여 학생들이 환경에 더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연구 방향을 선택할 때 의과대학원생의 자율성을 높이고 관심 있는 연구 방향을 선택하거나 관심 있는 문제를 자신의 연구에 통합하여 내적 학습동기를 자극해야 한다. 셋째, 창의적 성과 자체에 대한 외부 포상은 창의를 촉진할 수 있으며, 대학은 다양한 연구 성과 전시 및 연구 대회를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성과 가 뛰어난 사람에게 특정 물질적 포상을 주어 혁신 행동을 장려할 수 있다. 동시에 연구 결과의 전시 및 보급은 연구자가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학생들이 연구 혁신을 수행하도록 영감을 주고 시연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