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학생 교과교육의 쟁점과 과제 = Issues and problems of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4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searching for improvement of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by selecting the pending problems, issues and challenges of current subject education for them. Selecting issues for resolving the subject ...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searching for improvement of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by selecting the pending problems, issues and challenges of current subject education for them. Selecting issues for resolving the subject of study and deducing improvement were suggested focusing on a nation-level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As a method of description, this study explain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issue and problem' suggested by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interviews and then made discussion for seeking for a possible requirement or sol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parately examined each issue of school for the blind and inclusive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pending problems and issues of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s for schools for the blind, the issues, such as lack of literacy education and Braille in the period of pre-school, lack of recognition and specialty on subject education, difficulty of subject education due to increas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multiple disabilities, high school education orien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limited support of education materials (Braille textbook and extended textbook), were discussed, while as for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who are attending in inclusive education the issues, such as non-assignment of specialist teacher for education for the blind, limited support of education material (Braille textbook and extended textbook), lack of an opportunity for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and relatively weak support of educational equipment and material compared with special schools, were discussed. The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equired measures were suggested. Second, with respect to the problems of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is study suggested possible improvements such as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pplementation, prepa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expansion of vocational education subject, focusing on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 based on the pending problems and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들에 대한 교과교육의 현안문제 및 쟁점, 과제를 선정하고 그 해결 방안을 찾아봄으로써 시각장애학생들에 대한 교과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들에 대한 교과교육의 현안문제 및 쟁점, 과제를 선정하고 그 해결 방안을 찾아봄으로써 시각장애학생들에 대한 교과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 선정과 개선 방안 도출은 우리나라 국가수준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제안되었다. 서술 방법은 관련 선행연구와 면담사례를 통해 제안되는 ‘쟁점과 과제’ 각각에 대해 현황을 설명하고, 이에 요구되는 사항이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논의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 교과교육의 현안문제 및 쟁점에 있어서는 시각장애학교와 통합교육 장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시각장애학교는 취학 전 문자교육 및 점자 익히기의 미비,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부족,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의 증가로 인한 교과교육의 어려움, 전문계 교육 위주의 고등학교 교육, 제한된 교재(점자교과서 및 확대교과서)의 지원 등에 대해 논의되었으며,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학생들에 대해서는 시각장애교육 전문교사의 미배치, 제한된 교재(점자교과서 및 확대교과서)의 지원, 특성화된 직업교육의 기회 결여, 특수학교에 비해 취약한 교육기자재 지원 등에 대해 논의되고 요구되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둘째, 시각장애학생 교과교육의 과제에 있어서는 앞장에서 논의된 현안과제 및 쟁점을 토대로 하여 현행 특수학교 교육과정 보완 개선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 보완 자료의 개발,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마련, 직업교육 교과의 확대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덕순,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93-116, 2010

      2 오세철,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흐름과 전망" 34 : 33-50, 1999

      3 이 대 식, "특수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원리와 요소"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95-119, 2006

      4 정정진,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의 전문성 재고" 1-12, 2010

      5 김병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3-62, 2006

      6 이덕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고찰 -총론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1-60, 2010

      7 정희섭,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8 김진호,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중등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 83-87, 2010

      9 정대영,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중고등학교)에 대한 토론" 77-82, 2010

      10 이대식,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효율성을 전제한 특수교육적 지원 방안 토론" 33-41, 2010

      1 이덕순,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93-116, 2010

      2 오세철,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흐름과 전망" 34 : 33-50, 1999

      3 이 대 식, "특수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원리와 요소"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95-119, 2006

      4 정정진,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의 전문성 재고" 1-12, 2010

      5 김병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3-62, 2006

      6 이덕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고찰 -총론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1-60, 2010

      7 정희섭,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8 김진호,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중등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 83-87, 2010

      9 정대영,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중고등학교)에 대한 토론" 77-82, 2010

      10 이대식,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효율성을 전제한 특수교육적 지원 방안 토론" 33-41, 2010

      11 최성규,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효율성을 전제한 특수교육적 지원 방안" 13-31, 2010

      12 정동영,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실행 방향과 지원과제" 43-51, 2010

      13 김종은,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시각손상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5 김평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35-161, 2004

      16 전병운, "중등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9-76, 2010

      17 박순경,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Ⅲ). in: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평가와 초중학교급간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

      18 박순경,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Ⅱ). in: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9 성경희,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Ⅱ). in: 중등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20 강경숙, "정신지체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수정 적용사례"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87-314, 2009

      21 이덕순, "점자 읽기 · 쓰기 준비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123-152, 2008

      22 이정애, "장애학생의 직업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여성대학원 2004

      23 박순희,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정상시력 이하로 시력이 약한 학생들의 교육 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35-156, 2009

      24 김영일, "이료교육 제도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9-47, 2006

      25 김종인, "시각중복장애학생의 교육적 지원 방안 모색" 국립특수교육원 2005

      26 이덕순, "시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지원 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91-117, 2009

      27 이해균, "시각장애학생의 수학학습 기피성향 분서"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25-139, 2006

      28 박태선,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학습 태도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99-123, 2008

      29 이덕순, "시각장애학교 중복장애학생의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30 김회란, "시각장애학교 영어교과의 학습 전략 및 교수 방법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47-164, 2009

      31 이현주,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93-115, 2008

      32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교사와 학생의 지리교과에 대한 인식 분석" 19 (19): 1-20, 2003

      33 임안수, "시각장애자 직업 교육과정 모형" 16 : 69-76, 1989

      34 김호연, "시각장애아동 통합교육 지원의 실제: 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33-154, 2006

      35 이은열, "시각장애 학교의 중복장애 학급실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2 (22): 99-124, 2006

      36 임안수, "시각장애 유아용 점자 학습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7 : 107-121, 2001

      37 오창우, "시각장애 유아 양육자의 점자 인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38 홍후조, "선택 '주체' 위주의 선택 교육과정 설계의 문제점과 과제" 한국교육학회 40 (40): 8-195, 2002

      39 이 숙 정, "독일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45-172, 2006

      40 이승미,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난 자율성 규정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83-112, 2009

      41 성열관, "교육과정 일치도 및 컨텐츠 맵의 유용성과 비판적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63-82, 2009

      42 서경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59-189, 2009

      43 이덕순, "개정 일반학교 밑 특수학교 교육과정 비교 분석: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내용 및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3-99, 2008

      44 김만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편찬․검정의 주요내용 및 과제" 1 (1): 2007

      45 "http://www.obs.org/"

      46 "http://www.nsfb.tsukuba.ac.jp/"

      4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48 이덕순,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고찰: 총론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91-12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