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에서 의무 인권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인권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권교육 운영 실태와 만족도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4395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271-299(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에서 의무 인권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인권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권교육 운영 실태와 만족도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에서 의무 인권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인권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권교육 운영 실태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인권교육 운영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사용하였다. 1단계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에서는 전국 3,198개 사회복지시설 인권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권교육의 참여 및 운영현황, 만족도 등을 파악하였다. 의무 인권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한 결과, 타 교육과 변별되는 인권교육으로서의 의미와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단계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는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의 현장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으며, 주제분석법(thematic analysis)을 활용하여 인권교육 경험 및 운영현황,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육방법의 효과성 및 예산과 강사 운영 등의 문제 등 운영 과정에서 형식적 운영과 한계가 확인되었으며, 사회복지 현장과의 연계 확대를 통한 접근성 제고와 교육 컨텐츠 및 도구 개발의 중요성 등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 체계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의무 인권교육의 함의를 도출하여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andatory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gencies. A mixed method approach was used to understand a nationwide situations of the education using structured q...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andatory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gencies. A mixed method approach was used to understand a nationwide situations of the education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s well as different ways of operating the education a variety of the social welfare agencies were adopting based on a focus group interviews with human rights education professionals. Survey data were first collected across the country, and 3,198 manag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agencies completed web-based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obtained to understand hours and a number of participants attended in the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qualifications of the educator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operated with human rights educators and academic experts, and the themat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draw up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operation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s. Synthesiz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indings revealed that significant formality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delivering the education such as a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human rights and lecture-based instruction. Expanding and facilitating human rights education networks among social welfare agencies was propos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support social welfare agencies for increased accessibility to high quality educational programs. Implications for mandatory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gencies to improve the quality are discussed.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홍보실태와 효과성: 정부-시민 간 관계성 증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의 표본이탈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관련 표본특성요인
예산유형에 따른 관료들의 예산요구액과 예산증감률과의 관계: 통계조사 예산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온라인 저작권침해 원인과 대책 연구모형의 검증: 불법 다운로드와 업로드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