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의 서구는 역사비교언어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두 세기 전에 발견했던 한국의 언어를 탐독하고 분석하기 시작했다. 17세기 말 하멜에 의해 서구에게 알려진 Corea, 즉 한국은 한때 중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3616
2017
Korean
한국어 연구 ; 프랑스 동양학자 ; 아벨 레뮈자 ; 클라프로트 ; 레옹 드 로니 ; 19세기 ; Korean studies ; French orientalists ; Abel-Remusat ; Klaproth ; Leon de Rosny ; 19th century
KCI등재
학술저널
376-424(4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의 서구는 역사비교언어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두 세기 전에 발견했던 한국의 언어를 탐독하고 분석하기 시작했다. 17세기 말 하멜에 의해 서구에게 알려진 Corea, 즉 한국은 한때 중국...
19세기의 서구는 역사비교언어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두 세기 전에 발견했던 한국의 언어를 탐독하고 분석하기 시작했다. 17세기 말 하멜에 의해 서구에게 알려진 Corea, 즉 한국은 한때 중국의 반도이며 한국어는 중국 변방의 지역어 정도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세기에 접어들어 비교언어학적인 탐구가 시도되기 시작되면서 한국의 문자와 계통, 어휘, 형태 및 통사적 특징이 그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고 중국이나 일본을 통해 수집된 제한된 자료로 한국어를 규명하고자 했던 동양학자들이 생겨났다. 빗센, 하거, 랑글레 그리고 클라프로트에서 메드허스트, 폰 지볼트에 의해 수집된 한국어 어휘와 문자 자료는 프랑스의 아벨 레뮈자, 드 로니에 전해졌으나 직 · 간접적으로 수집된 한국어 자료들은 한국어를 직접 경험하지못한 서구의 지식인들이 이해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초기 한국어 연구는 한국어를 규명하기보다는 그 존재를 알리는 정도에 그치거나 중국어와는 다른 몇 가지 특징들을 제시하되 많은 오류를 포함할 수밖에 없었으며 수집된 자료 또한 저자마다 다른 발음표기로 인해 혼란을 가중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1874년 한국천주교회사가 파리에서 출판되면서 한국어에 대한 그동안의 목마름이 다소 해결되었고, 1880년 『한불자전(Dictionnaire Coréen-Français)』의 출판 이후부터 한국어는 조선이라는 언어현장에 발을 디딘 외국인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1880년 이전 서양인들에 의한 한국어 연구가 어떠했는지 대략 알 수 있으나, 현재까지의 국어학사에서는 서구 동양학자들의 문헌을 다시 보고 그들이 수집한 한국어 어휘나 문장을 직접 평가해보는 작업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양의 한국어 연구의 태동이 일차적으로 완료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1880년(『한불자
전』출판)까지 간접적인 문헌을 통해서 이루어진 프랑스 동양학계의 한국어 연구를 재고하여 이들 간의 학술적 영향을 밝히고, 이와 동시에 초기 한국어학 관계망의 재현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그간 국어학사에서 서지 사항과 간단한 해제로만 소개되었던 하거, 빗센, 레뮈자, 그리고 클라프로트의 한국어 어휘자료와 연구 논저를 재고하고 드 로니의 연구(1856, 1861, 1864, 1866, 1878)를 상세히 소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estern scholars of 19th century began to exploit and study the Korean language, which was discovered by a dutch merchant Hamel in the end of 17th century. The language of Korea, known as a peninsula of China until the end of 18th century, became ...
The western scholars of 19th century began to exploit and study the Korean language, which was discovered by a dutch merchant Hamel in the end of 17th century. The language of Korea, known as a peninsula of China until the end of 18th century, became a scientific object of a comparative linguistics and a philology, two of fundamental components of oriental studies. As Korean writing systems, vocabularies, morpho-syntactic features became their main concerns, there were oriental scholars who sought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Korean within some lexical data or books collected through China or Japan. Although Korean vocabularies and texts collected first by Witsen, Hager, Langlès, Klaproth and later by Medhurst and von Siebold were transmitted to Abel Rémusat and De Rosny in France, those Korean materials were too poor for them to describe what language is the Korean. Therefore, their early Korean studies could nothing but recognize the Korean language, or present some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Chinese, containing many errors, notably in phonetic transcription and in morphological analysis. In 1874,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 was published in Paris, and the thirst for Korean language was solved somewhat, and since the publication of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in 1880, Korean language study began to be on the way to establishing itself among the Chinese and Japanese studies by foreigners onsite.
Previous studies having shown the fruit of research accomplished by the orientalists until 1880,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f which focus is on reviewing their liter ature or looking into the lexic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revising the achievement of the French orientalist, mainly of sinologists, until 1880 and representing their interaction as a network of the early Korean studies. In order to do so, we revise in the one hand, Korean vocabulary collections of Hager, Witsen, and Klaproth and in the other hand, the studies of Abel Rémusat and De Rosny (1856, 1861, 1864, 1866, 1878).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지볼트(Fr. von Siebold)의 한국기록 연구"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80
2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 김영사 2014
3 폰 지볼트, "시볼트의 朝鮮見聞記" 박영사 1987
4 고영근, "서천 서병국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형설출판사 1-15,
5 고영근,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제이앤씨 2010
6 김민수, "국어학사" 일조각 1980
7 고영근, "개화기와 한국어학" 어문연구학회 37 : 275-297, 2001
8 Medhurst, Walter Hen, "朝鮮偉國字彙" Batavia 1835
9 김완진, "國語史 資料로서의 『鷄林類事』의 性格" 진단학회 71 : 1991
10 Osterkamp, Sven, "シーボルトが紹介したかった日本-欧米における日本関連コレクションを使った日本研究․日本展示を進めるために (Siebold’s Vision of Japan-As Seen in Japan-related Collections in the West)"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5
1 고영근, "지볼트(Fr. von Siebold)의 한국기록 연구"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80
2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 김영사 2014
3 폰 지볼트, "시볼트의 朝鮮見聞記" 박영사 1987
4 고영근, "서천 서병국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형설출판사 1-15,
5 고영근,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제이앤씨 2010
6 김민수, "국어학사" 일조각 1980
7 고영근, "개화기와 한국어학" 어문연구학회 37 : 275-297, 2001
8 Medhurst, Walter Hen, "朝鮮偉國字彙" Batavia 1835
9 김완진, "國語史 資料로서의 『鷄林類事』의 性格" 진단학회 71 : 1991
10 Osterkamp, Sven, "シーボルトが紹介したかった日本-欧米における日本関連コレクションを使った日本研究․日本展示を進めるために (Siebold’s Vision of Japan-As Seen in Japan-related Collections in the West)"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5
11 한영균, "『朝鮮偉國字彙』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 인문학연구소 77 : 113-135, 2015
12 De Rosny, Léon, "Vocabulaire Chinois-Coréen-Aino expliqué en français et précédé d’une Introduction sur les écritures de la Chine, de la Corée et de Yéso" Maisonneuve et cie libreurs-éditeurs 1861
13 Hager of Vienna, "The Oriental Collections" 1799
14 Gutzlaff, Charles, "Remarks on the Corean Language" 1 :
15 Abel-Rémusat, Jean-Pierre, "Recherches sur les langues tartares, ou Mémoires sur différents points de la grammaire et de la littérature des Mandchous, des Mongols, des Ouigours et des Tibétains, tome I" Imprie royale 1820
16 De Rosny, Léon, "Rapport à S.E. le ministre d’Etat sur la composition d’un dictionnaire japonais-français-anglais" Maisonneuve 1862
17 西山美智江, "Prémare (1666-1736) の Notitia Linguae Sinicae 1720" 43 (43): 2008
18 Witsen, Nicolas, "Noord en Oost Tartarye" François Halma 1705
19 Von Siebold, Philipp Franz, "Nippon. Archiv zur Beschreibung von Japan und dessen Neben-und Schutzländern : Jezo mit den Südlichen Kurilen, Krafto, Koorai und den Liukiu- 7 vols" Leiden 1832-1852, 1832
20 Callery, Joseph-Marie, "Mémoire sur la Corée (1)"
21 Abel-Rémusat, "Mélanges Asiatiques, vol. II, Lib. Orientales de Dondey-Duprès Père et Fils"
22 Abel-Rémusat, "Mélanges Asiatiques, vol. I" Lib. Orientales de Dondey-Duprès Père et Fils 1825
23 홍기순, "M.П. Пуцилло(뿌찔로) 노-한사전 에 관한 一考" 한국노어노문학회 23 (23): 325-351, 2011
24 De Rosny, Léon, "L’idiome vulgaire de la Corée"
25 De Rosny, Léon, "Les source les plus anciennes du Japon" 25 (25): 1881
26 De Rosny, Léon, "Les Coréens-Aperçu ethnographique et historique" Maisonneuve 1886
27 De Rosny, Léon, "Introduction à l'étude de la langue japonaise" Maisonneuve 1856
28 Dallet, Charles,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 précédée d’une introduction sur l’histoire, les institutions, la langue, les moeurs et coutumes coréennes avec carte et planches" Victor Palmé 1874
29 De Rosny, Léon, "Des affinités du japonais avec certaines langues du continent asiatique" Imprimerie de Moquet 1867
30 Ross, John, "Corean Primer"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7
31 Klaproth, Julius, "Asia polyglotta" Bei A. Schubart 1823
32 Klaproth, Julius, "Aperçu général des Trois royaumes, traduit de l’original Japonais-Chinois"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832
33 De Rosny, Léon, "Aperçu de la langue coréenne" 1866
34 De Rosny, Léon, "Aperçu de la langue coréenne" 1864
35 Langlès, "Alphabet Manchou" L'Imprimerie Impériale 1807
36 De Rosny, Léon, "A sketch of the corean language and grammar" 1865
37 김인택, "19세기 전반기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에 대한 기술" 인문학연구소 77 : 136-166, 2015
38 한영균, "19세기 서양서 소재 한국어 어휘 자료와 그 특징" 한국사전학회 (22) : 277-305, 2013
조선에서의 한국어학 연구의 형성과 전개에 영향을 끼친 유럽과 일본의 학술적 네트워크 탐색
다국어 자동 번역 시스템에 연동될 불-한 공통 변환지식 구축을 위한 프랑스어 태그셋 설정
유럽 동양학자 레옹 드 로니의 탄생 과정과 그의 한국학 저술에 관한 서지 검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Cogito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2 | 1.18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