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적응에 관한 연구 =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dopt Themselves Toward Education Goal Ambigu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8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적응하는가에 관한 연구이 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 과, 교사들은 초등교육의 사명 목표로서 ‘기초기본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관점을 공유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과 지침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 목표 실행에 있어서 학생 중심 교육과 수업 효율성 간의 긴장, 교육활동과 행정 업무 간의 경쟁, 교사에 대한 다양한 기대로 인한 교육 목표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 은 목표 모호성은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자율성과 재량권을 허용한다. 이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 기제는 단순화와 정형화, 우선순위에 따른 자의적 선택과 자원배분, 역할기대 의 수용, 설득과 반영, 고객의 재정의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교육 목표를 이해하고 실현하는 과정에서 자율과 재량권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전문성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의 재량 및 자율에 대한 책임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과 교육 목표의 수용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적응하는가에 관한 연구이 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 과, 교...

      본 연구는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적응하는가에 관한 연구이 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 과, 교사들은 초등교육의 사명 목표로서 ‘기초기본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관점을 공유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과 지침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 목표 실행에 있어서 학생 중심 교육과 수업 효율성 간의 긴장, 교육활동과 행정 업무 간의 경쟁, 교사에 대한 다양한 기대로 인한 교육 목표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 은 목표 모호성은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자율성과 재량권을 허용한다. 이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 기제는 단순화와 정형화, 우선순위에 따른 자의적 선택과 자원배분, 역할기대 의 수용, 설득과 반영, 고객의 재정의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교육 목표를 이해하고 실현하는 과정에서 자율과 재량권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전문성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의 재량 및 자율에 대한 책임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과 교육 목표의 수용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1. 일선관료모형과 목표 모호성
      • 2. 교육 목표와 교사의 적응 기제에 관한 선행 연구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1. 일선관료모형과 목표 모호성
      • 2. 교육 목표와 교사의 적응 기제에 관한 선행 연구
      • Ⅲ. 연구방법
      • 1. 연구방법
      • 2. 연구 참여자
      • Ⅳ. 교사의 교육 목표 인식과 적응기제
      • 1. 교사가 경험하는 교육 목표 인식
      • 2. 교육 목표 모호성에 대한 교사의 적응기제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량, "학교발전과 변화" 학지사 2006

      2 임현정,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Ⅲ): 초등학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김재덕, "표류하는 학교교육 목표-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체계의 문제점" 5 : 129-149, 2001

      4 정혜영, "초등교육의 목표, 내용, 교사 자질에 관한 인식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4 (34): 193-207, 2003

      5 박종국, "초등교육 목적 정당화에 관한 논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6 김병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8, 2003

      7 김진, "전문계고 과학 교사의 교수 적응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강기원, "수업 갈등과 대응 전략 : 초등 사회과 5학년 네 교사의 수업 딜레마"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185-210, 2003

      9 박소영, "수시모집제도의 집행 분석: Lipsky의 일선관료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401-422, 2006

      10 이정희, "꼬리표 붙은 중학생에 대한 담임교사들의 대응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7 (7): 5-31, 2010

      1 박병량, "학교발전과 변화" 학지사 2006

      2 임현정,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Ⅲ): 초등학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김재덕, "표류하는 학교교육 목표-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체계의 문제점" 5 : 129-149, 2001

      4 정혜영, "초등교육의 목표, 내용, 교사 자질에 관한 인식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4 (34): 193-207, 2003

      5 박종국, "초등교육 목적 정당화에 관한 논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6 김병찬,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8, 2003

      7 김진, "전문계고 과학 교사의 교수 적응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강기원, "수업 갈등과 대응 전략 : 초등 사회과 5학년 네 교사의 수업 딜레마"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185-210, 2003

      9 박소영, "수시모집제도의 집행 분석: Lipsky의 일선관료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401-422, 2006

      10 이정희, "꼬리표 붙은 중학생에 대한 담임교사들의 대응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7 (7): 5-31, 2010

      11 박창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12 안정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대한 정당화 근거와 개념 요건 -제7차 교육과정 “학교급별 교육목표”를 대상으로 W. Brezinka의 所論에 의거한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37) : 135-154, 2006

      13 안우환, "교장의 미시정치적 결합기제와 교사의 대응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51-68, 2006

      14 강다윤, "교육의 내재적 목적의 실천적 의미 고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신종호, "교육심리학에서의 목표 연구를 통해 본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103-122, 2012

      16 한광현, "교사의 소진원인과 결과 간 관계 및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38) : 355-379, 2005

      17 주철안, "교사교육기관 교직지원자의 이념적 교육 목표와 실제적 교육 강조점에 대한 인식 비교" 20 (20): 41-57, 2010

      18 이순자,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50, 2009

      19 전영한,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 개념, 측정 그리고 타당화" 한국행정학회 38 (38): 49-65, 2004

      20 한진상, "고등학생이 거짓말하는 이유와 교사들의 대응방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안암교육학회 16 (16): 87-115, 2010

      21 박태호, "개선해야 할 초등 국어 수업 문화와 교사 대응" 청람어문교육학회 38 (38): 7-36, 2008

      22 金鎭洙, "學校長의 結合機制와 敎師의 對應戰略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3 Egan, K., "The future of education: Reimagining our schools from the ground up" Yale University Press 2008

      24 Getzels, J. W., "The Classroom Group As a Unique Social System. The Dynamics of Instructional Group, The 59th Yearbook of Nss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25 Lipsky, M.,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s" Russell Sage Foundation Publications 2010

      26 Getzels, J. W., "Social Behavior and the Administrative Process" 65 (65): 423-441, 1957

      27 Elmore, F. R., "School reform from the inside out: policy, practice, and performan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28 Feldman, M., "Order Without Design: Information Production and Policy Makin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29 Boyer, E. L., "High school" Haper & Row 1983

      30 Brezinka, W., "Grundbegriffe der Erziehungswissenchaft" Reinhardt 1981

      31 Chun, Y. H.,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US federal agencies" 15 (15): 529-557, 2005

      32 Weick, K. E.,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loosely coupled systems" 1-19, 1976

      33 김평국, "After Typer: 교육과정 이론화 1970-2000년" 문음사 2006

      34 Goodlad, J. I., "A place called school" McGraw-Hill 1984

      35 Cohen, M. D., "A garbage can model of organizational choice" 1-25,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