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남성성 직업으로 간주되는 군대 조직이 여군 조직을 재정비하는 단계에서, 각 분야별로 여성인력을 남성인력과 동등하게 활용하고, 성 통합 및 여성인력의 대폭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133314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002
한국어
직무만족 ; 조직재설계 ; 직무특성 ; 성역할 정체감 ; 성역할인식 ; 직무충실화 ; 동기요인 ; 핵심직무차원 ; 심리적 양성성 ; job satisfaction ; job redesign ; job characteristics ; job enrichment ; sex role identity ; perceived sex role ; androgyny as personality ; core job dimensions ; motivation
391.3 판사항(4)
서울
vi, 108 p. : 도표 ; 26 cm .
지도교수: 이양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남성성 직업으로 간주되는 군대 조직이 여군 조직을 재정비하는 단계에서, 각 분야별로 여성인력을 남성인력과 동등하게 활용하고, 성 통합 및 여성인력의 대폭적...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남성성 직업으로 간주되는 군대 조직이 여군 조직을 재정비하는 단계에서, 각 분야별로 여성인력을 남성인력과 동등하게 활용하고, 성 통합 및 여성인력의 대폭적인 확대를 합리적으로 위해서 필요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군은 전반적으로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고 군 복무에 스스로 동기부여가 많이 되어있어 직업의식 또한 높은 반면, 직무환경이나 여건은 남자군인에 비해 불리한 측면이 많다. 또, 한국인의 성역할 개념은 전통적인 성역할 개념과 새로운 성역할에 대한 개념의 차이에서 혼란을 겪고있어 여군은 바람직한 성역할의 지각과 주어진 성역할의 차이에서 오는 불합리에 상당한 혼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대하여 군 조직에서는 여군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조건이나 작업환경의 개선은 상당한 효용성을 가질 수 있으나 실제로 군 조직의 임무위주의 특수상황에서는 이러한 개선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군의 직무내용차원에서 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이 직무만족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군내 여성인력의 자원개발 및 활용에 있어 의의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여군의 직무만족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지각된 직무특성은 어떤 것이며, 이 두 변수간 각 개인의 성역할 인식이 어떠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여군의 조직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한 직무만족과 직무특성이론, 성역할 정체감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여기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변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알아본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한 실증연구의 설계를 하는데, 설문문항작성 및 서베이 리서치(survey research),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평가, 실증분석을 위한 설계를 실시한 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 개인적 특성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의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설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에 대한 지각은 연령이 많을수록, 계급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전투부대에 근무할수록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각된 직무특성은 개인의 외적만족보다 내적만족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 결과는 경로모형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지각된 직무특성은 외적만족보다 내적만족에 대하여 0.69의 높은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지각된 직무특성이 낮은 경우, 개인의 성역할 인식이 미분화이면 직무만족이 높을 것이며, 지각된 직무특성이 높은 경우, 개인의 성역할 인식이 양성성이면 직무만족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 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은 Bem의 심리적 양성성에 대한 주장에 대해 비판받고 있는 연구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넷째,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성역할 인식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았다. 이것은 많은 조절변수의 선험적 연구를 토대로 군 조직이라는 남성적 집단에 여성의 통합과정에서 심리적 정체감이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실증연구를 통해 유의하지 못했음은 직무만족에는 직무특성요소나 다른 변수들의 설명력이 더 크다는 것이다. 군조직은 사조직의 조직구성원들에 비해 남성성이 높은 집단으로 군 조직내 여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니 만큼 성역할 정체감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조절적 역할을 한다기보다 다른 요인, 즉 조직문화, 개인의 성격특성, 배우자의 후원등의 요인들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군의 직무재설계에 있어서는 형식적인 조직 개편에서 이제는 보다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데, 특히 부사관의 경우 행정병과에 소속된 인력은 전체의 41%나 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의 직무는 주로 병사들이 처리하는 잔무정도인 워드 등의 업무가 주를 이루었다는 점은 정보화의 가속화로 여군의 입지와 중요도가 더욱 미약해지는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제 여군의 자질이나 업무능력은 비 전투 분야, 특히 정비, 관제, 전산, 경리 등에서 우수하다는 인정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욱 현 시점에서 직무특성을 고려한 직무의 재설계는 더욱 절실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결국, 여군의 직무만족에 있어서 직무내용 자체로부터 만족을 느끼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직무특성의 수준을 높여야 하나 직무차원 중에서도 과업중요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여군의 활용을 그 동안 조직 내 주류적인 분야에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전투부대에서 근무할 때 비 전투부대보다도 직무특성을 높이 지각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육군에서 여군은 여성스러운 보직에 한정해서 보직해야 한다는 기존의 인사원칙이 여군들에게 오히려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여군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하여 강한 애착심을 갖도록 보다 다양하고 중요한 직무특성이 높은 직무를 할 수 있도록 직무재설계를 실시해야 하며 직위에 따른 직무내용의 양과 질을 명확히 파악하여 임무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he purpose that obtaining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of woman army's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army base, special organization to be good in arrangement. It is the purpose to apply the woman's attribution wi...
It is the purpose that obtaining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of woman army's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army base, special organization to be good in arrangement.
It is the purpose to apply the woman's attribution with man's attribution based on equality in terms of gender integration and number amplification of woman's army in each part of the military. Also to obtain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of interrelationship of woman army's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o re-complete women's army organization and achieve what are necessaries for it.
Woman army's job satisfaction has conspicuous effectiveness with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or working cause, in reality, arduous to accomplish as improvement in special military organization with count of first duty importance.
In previous case, little research for women's army organization drops the hint number amplification of women's army in military includes effective elements. As a result, politic expansion of the organization possesses possible irritation.
First step to analyze document, which is job characteristics theory, gender role identity theory, and remark variable factors of arbitrating role at the situations in previous studies so that specify real investigation based on theory background.
To contrive actual proof ; fill in search, survey research, trust specific implement, appraise rationality, contrive actual proof based on theoretical circumstances, after that presume mutual concern of independent variation and subordinate variation, and concer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tion. Finally, explain that study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fter ascertaining intervening variation and affect.
First, there is high awareness of job specialty as long as senior, high rank, experienced people and charge in fighting military. Generally, senior have high satisfaction because of pur suing stable and tranquil life in actuality rather than challenge and new experience, as like junior. Especially, this is remarkable situation to married people, the reason that in spite of complains in their organizational life, they try to parallel connection with family and social life.
Experience people perform diverse obligations at any field of military in that they are skillful, flexible for whole military working and have wide range of human network in the military, Therefore as long as experienced people have high job comprehension in the military.
According to type of military, not possibly concede support fighting military with higher job awareness, but fighting military dose. In terms of upper ranks of the military, which is generally supporting fight military so that conceivably deem valuable job characteristics in upper ranks of the military. In reality, the typical women's army position is lower and passive state than higher and active state, by means of that simplicity and lack of job importance, the existing state of affair, which is deficiency autonomy.
In fight military, the women's army position not only director but also general is variety in time of the war or the general. Although somewhat difficult by fundamental work, education training, annual training, start out training, and dispatch service, the members consider that their duty is substantial and various responsibilities in pool of participation and liberty.
Second, according to hypothesis 2 ascertain that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is closely involve in interior contentment than exterior contentment. Besides, in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 that the motivation of women's army is affected by exterior contentment on account of process model. Consequently, immanent satisfaction has 0.69 higher plus relation, which exterior contentment 0.386, interior contentment 0.476 is.
Third, according to hypothesis 3 ascertain which didn't intend the different statistics between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gender role awareness. As the diagram shows, the result of the average, which is lower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s female is the lowest job satisfaction whereas ; higher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s male is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rth, cognition of gender role didn't adjust to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It is job satisfaction that special factor of obligation or other various factor s. Women's army integrative process was not effected by real proof investigation in masculine military organization through previous different studies with psychology stagnation, it means that other varieties or specific job elements are in sense to job satisfactions.
Compared with general organization, military society is high rate of man's members than woman and in this environment, the study of women's army is inappropriate to job definition and satisfaction with gender stagnation. So that scheme to women's army right duty, need to reflect on organization cultu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pport spouse, etceteras.
Consequently, to satisfy ; job is inquired up-grade of whole military degree neverthless, the most essentail factor is task significance in task contents so that the right way to apply human resource needs to control in main stream of organization.
Out standingly, high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in fighting military is caused by women army's valuable performance with general ranks, otherwise low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in supporting military is caused by invaluable achievement with general ranks. In concerned of this situatio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illing to managing female human resource to put on supporting military than fighting military, by means of this policy result to current situation like above mention.
Therefore, women's army, themselves have to develop their own job, ahead of job characteristics and ranks and make re-scheme of job characteristics in military field with job affection instead of simple, monotonous du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