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양대학교 박물관, "金浦 文殊山城·守安山城 試掘調査報告書" 2003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백종오, "한국 성곽 문화재 보존 관리의 방안과 과제 - 인천 문학산성, 국가 사적 및 지방 기념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60) : 291-328, 2016
5 이희인, "토층에 담긴 인천의 시간 : 유적으로 보는 인천 이야기" 보고사 2018
6 박진한, "조감도를 통해 살펴본 1920∼30년대 인천의 심상지리와 시가지 계획" 도시사학회 (17) : 7-39, 2017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전국유적목록"
8 서동천, "일제강점기 요시다 하츠사부로(吉田初三郞) 조감도의 성격과 확산 배경에 관한 연구-조선, 만주, 대만 등 일본 식민 지역을 대상으로 그린 도시조감도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38) : 95-115, 2018
9 이종화, "인천향토사료-문학산-" 흥신문화사 1965
10 박성우, "인천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현황과 성격" 수선사학회 (34) : 317-352, 2009
1 한양대학교 박물관, "金浦 文殊山城·守安山城 試掘調査報告書" 2003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백종오, "한국 성곽 문화재 보존 관리의 방안과 과제 - 인천 문학산성, 국가 사적 및 지방 기념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60) : 291-328, 2016
5 이희인, "토층에 담긴 인천의 시간 : 유적으로 보는 인천 이야기" 보고사 2018
6 박진한, "조감도를 통해 살펴본 1920∼30년대 인천의 심상지리와 시가지 계획" 도시사학회 (17) : 7-39, 2017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전국유적목록"
8 서동천, "일제강점기 요시다 하츠사부로(吉田初三郞) 조감도의 성격과 확산 배경에 관한 연구-조선, 만주, 대만 등 일본 식민 지역을 대상으로 그린 도시조감도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38) : 95-115, 2018
9 이종화, "인천향토사료-문학산-" 흥신문화사 1965
10 박성우, "인천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현황과 성격" 수선사학회 (34) : 317-352, 2009
11 서영대, "인천의 읍격 변화와 그 원인 연구" 인천학연구원 1 (1): 89-131, 2010
12 인천시역사자료관, "인천의 산성의 문화적 가치" 2016
13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인천연안의 고고학" 2007
14 김상열, "인천역사 1"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04
15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인천북부 종합학술조사" 2004
16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인천남부 종합학술조사" 2003
17 이종묵, "인천권역의 문화전통과 한문학" 한국한문학회 1998
18 이경성, "인천고적조사보고서" 인천문화재단 2012
19 인천광역시, "인천 문학산성의 가치와 정비 방향" 2020
20 인천시역사자료관, "인천 문학산성복원과 보존방향" 2016
21 국토문화재연구원, "인천 문학산성 성벽 추정지 내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9
22 한국고고인류연구소, "인천 문학산 제사유적" 2018
23 한국고고인류연구소, "인천 문학산 숲 복원 및 이용활성화 사업부지내 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6
24 한국성곽학회, "삼년산성" 충청북도 2008
25 심정보, "백제산성의 이해" 주류성 2004
26 차용걸, "백제 지역의 고대산성" 주류성 2005
27 인하대학교 박물관, "문학산의 역사와 문화유적" 2002
28 이희환, "문학산의 문화지리와 심상지리" 인하대학교박물관 13 : 2010
29 인천광역시립박물관, "문학산성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2017
30 인하대학교 박물관, "문학산 일대의 역사와 문화" 2010
31 인하대학교 박물관, "문학산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1999
32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시마을생활사 관교동·문학동" 2019
33 경기도박물관, "도서해안지역 종합학술조사 Ⅲ" 2003
34 한성문화재연구원, "단양 적성 북문일원 보수공사 서벽구간 시굴조사보고서" 2017
35 국립문화재연구소, "군사보호구역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2000
36 이희인, "고려 강화도성" 혜안 2016
37 정원철, "고구려 산성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7
38 배성수, "개항장 인천연안의 방비강화" 인천광역시립박물관 (創刊) : 2003
39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강화도의 국방유적" 2000
40 盧泰敦, "高句麗의 漢水流域 喪失의 原因에 대하여" 13 : 1976
41 백종오, "高句麗 城郭 築城術의 擴散에 대한 豫備的 檢討" 고구려발해학회 59 : 205-244, 2017
42 한국보이스카웃연맹, "韓國의 城郭과 烽燧" 1990
43 白種伍, "韓國城郭硏究論著總攬" 서경문화사 2004
44 白種伍, "韓國 城郭遺蹟의 文化資源 活用方案 硏究" 14 : 2007
45 "邵城陣中日誌"
46 "輿地圖書"
47 朱甫暾, "西巖趙恒來敎授華甲記念韓國史論叢" 1992
48 千寬宇, "目支國攷" 24 : 1979
49 沈正輔, "百濟歷史再現團地造成 調査硏究報告書-고고미술분야Ⅰ" 忠淸南道 1996
50 沈正輔, "百濟 石築山城의 築造技法과 性格에 대하여" 35 : 2001
51 李基白, "百濟 王位繼承考" 11 : 1959
52 白種伍, "百濟 漢城期 山城의 現況과 特徵" 69 : 2004
53 윤용구, "永宗鎭 月尾島行宮에 대하여" 9 : 2002
54 "東史綱目"
55 朝鮮總督府,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1942
56 "新增東國輿地勝覽"
57 李慶成, "文鶴山方面古蹟傳說調査報告書" 仁川市立博物館 1949
58 인천시립박물관, "文鶴山方面古蹟傳說調査報告書" 1949
59 白種伍, "文鶴山城의 現況과 變遷" 仁荷大學校 博物館 13 : 2011
60 仁川廣域市, "文鶴山城 地表調査報告書" 1997
61 文化公報國 文化財管理局, "文化遺蹟總攬" 1977
62 김기섭, "彌鄒忽의 位置에 대하여" 13 : 1998
63 白種伍, "安城川流域 方形土城의 性格" 8 : 2004
64 "大東地志"
65 윤용구, "仇台의 백제건국기사에 대한 재검토" 백제연구소 (39) : 1-15, 2004
66 李慶成, "仁川의 先史遺蹟物 調査槪要" 1 : 1959
67 史料收集委員會, "仁川鄕土史料" 1956
68 岡田貢, "仁川近郊の史蹟と史話" 1929
69 백종오, "仁川沿岸의 古代城郭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학회 (27) : 149-182, 2007
70 仁川直轄市, "仁川市史" 1993
71 김주홍, "仁川地域의 烽燧(Ⅰ)" 인천광역시립박물관 (創刊) : 2003
72 인하대학교 박물관·기전문화재연구원, "仁川 文鶴洞 先史遺蹟" 2000
73 윤용구, "仁川 凌虛臺와 中國使行路" 10 : 2003
74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金浦市 軍事遺蹟 地表調査報告書" 1998
75 "京畿誌"
76 白種伍, "京畿·서울·仁川地域 國防遺蹟의 硏究現況" 8 : 2001
77 백종오, "中國內 高句麗山城의 發掘 現況과 主要 遺構·遺物의 檢討 -2005年∼2016年 發掘調査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53) : 5-48, 2017
78 "世宗實錄地理志"
79 千寬宇, "三國의 國家形成(下)" 一志社 3 : 1976
80 "三國遺事"
81 "三國史記"
82 경기도박물관, "『한강』 경기3대 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Ⅱ" 2001
83 백종오, "6세기 중반 신라 丹陽 赤城의 景觀" 한국고대학회 (61) : 5-27, 2019
84 정붓샘, "1929년 조선박람회와 요시다 하츠사부로의 조선 조감도" 미술사연구회 (37) : 33-66,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