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에 있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 Rol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r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7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on which programs provided by the city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at the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city A have participated in, how those programs are helping them,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Six mothers with experience with the program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programs were helpful because they provided a chance to not only learn how to nurture their children but also to meet other parents and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Second, many mothers were having trouble with the daily notices and announcements from school due to the language barrier. It would be desirable to incorporate material that help understand the daily notices and announcements into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the parents.
      Third, the mother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self-esteem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hoped they were integrated into the programs provided by the Support Center. Also, they hoped that the programs provi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for experience-oriented programs such as club activities that are not provided in schools. Reflecting such results of this study into the programs provided by local institutions would be a great help for the pare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on which programs provided by the city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at the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city A have participated in, how those programs are help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on which programs provided by the city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at the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city A have participated in, how those programs are helping them,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Six mothers with experience with the program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programs were helpful because they provided a chance to not only learn how to nurture their children but also to meet other parents and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Second, many mothers were having trouble with the daily notices and announcements from school due to the language barrier. It would be desirable to incorporate material that help understand the daily notices and announcements into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the parents.
      Third, the mothers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self-esteem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hoped they were integrated into the programs provided by the Support Center. Also, they hoped that the programs provi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for experience-oriented programs such as club activities that are not provided in schools. Reflecting such results of this study into the programs provided by local institutions would be a great help for the pare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A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A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해 제공하는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이 프로그램들이 참여자들에게 어떤 도움이 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프로그램의 개선책은 무엇인지 등을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녀의 양육방법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여러 학부모들을 만나 다양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서 유익하였다고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언어적인 문제로 학교에서 매일 나누어주는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한국어 프로그램에 자녀의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이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이나 인성교육에 관심이 많았으며, 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이러한 교육을 반영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학교교육에 포함되지 않고 있는 한자교육과 아울러 동아리 활동과 같은 체험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지역 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반영된다면 다문화가정 부모 및 아동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A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A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해 제공하는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이 프로그램들이 참여자들에게 어...

      본 연구에서는 A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A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정을 위해 제공하는 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이 프로그램들이 참여자들에게 어떤 도움이 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프로그램의 개선책은 무엇인지 등을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녀의 양육방법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여러 학부모들을 만나 다양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서 유익하였다고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언어적인 문제로 학교에서 매일 나누어주는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한국어 프로그램에 자녀의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이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이나 인성교육에 관심이 많았으며, 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이러한 교육을 반영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학교교육에 포함되지 않고 있는 한자교육과 아울러 동아리 활동과 같은 체험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지역 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반영된다면 다문화가정 부모 및 아동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인, "학령기 아동의 적응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2 오지연,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선정연구" 경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2017

      3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4 김정남, "중·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8

      5 유봉애,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511-538, 2013

      6 은선경,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3) : 37-74, 2010

      7 남영옥,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73-191, 2012

      8 박점자,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47-258, 2015

      9 박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초-중 전환기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발달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1-19, 2017

      10 이영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심리적 적응 및 학교적응" 교육연구소 23 (23): 347-372, 2017

      1 정혜인, "학령기 아동의 적응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2 오지연,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선정연구" 경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2017

      3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4 김정남, "중·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8

      5 유봉애,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511-538, 2013

      6 은선경,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3) : 37-74, 2010

      7 남영옥,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73-191, 2012

      8 박점자,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47-258, 2015

      9 박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초-중 전환기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발달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1-19, 2017

      10 이영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심리적 적응 및 학교적응" 교육연구소 23 (23): 347-372, 2017

      11 주정, "다문화가정 청소년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21 (21): 81-99, 2011

      12 천호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2 (2): 416-444, 2012

      13 장덕희,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환경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23-147, 2010

      14 이원재, "다문화 가정의 부모관계 및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367-1374, 2014

      15 홍정미,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6 최효식, "다문화 가정 자녀의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학교급, 성별, 사회적 차별 경험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95-217, 2017

      17 박계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89-100, 2011

      18 "교육부 통계자료"

      19 김진, "결혼이민여성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요인 -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2 : 1-2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