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경원, "창의학", 서울: 학문사, 2000
2 강경미, "발달심리학", 양서원, 서울: 학지사, 2013
3 정옥분,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9
4 정민승, "성인학습의 이해", 에피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에피스테메, 2010
5 김동일, "학교상담 컨설테이션",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6 김영채,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7
7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2
8 김영채, "사고력 교육:이론과 실제", 유원북스, 서울: 유원북스, 2013
9 김지현, "교육에서 주도성의 문제: 대학", 교육원리연구, 14(1), 133-173, 2009
10 전도근, "내 인생에 필요한 라이프 코치", 서울: 북포스, 2010
11 김정섭, 윤채영,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2(1), 107-135, 2015
12 김정섭, "교수학습센터를 위한 학습컨설팅",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4), 837-851, 2012
13 박승호 ( Seung Ho Park ), "자기조절학습의 현재와 미래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7(3), 629-646, null
14 홍창남, "학교경영컨설팅의 개념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5 권혁재, "대학생의 학습부진 원인과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영채, "CPS 창의 프로그램과 창의적 문제해결", 유원북스, 서울: 유원북스, 2014
17 홍성연, 나일주, "가상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모형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19(3), 101-122, 2003
18 정미선, "창의적 문제발견 능력의 개발과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윤경미, 김정섭, 전윤식,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찾기",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1(3), 215-238, 2003
20 윤채영,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안도희, 도승이, 이명숙, "학습컨설팅 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853-872, 2015
22 윤초희, "학습컨설팅의 모형과 현장 적용 가능성 고찰", 한국교육심리학회,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연구, 1(1), 1-18, 2009
23 김정섭, "학습컨설팅의 중요성과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연구, 1(1), 19-33, 2009
24 박세미, 안석배, "한국인 학업능력 고 1때 세계 1등, 55세땐 꼴찌권",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ne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18/2016021800302.html, 2016
25 이상수, 이유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3(2), 135-159, 2007
26 김정섭, "학습컨설팅의 이해, 교사를 위한 학습컨설팅(3-17)", 부산: 한국학교상담교육센터, 2015
27 조연순, "창의성 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28 배영주, "대학생들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의 양상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9, 213-232, 2011
29 정세영, 조연순, 정혜인, 김영채, "해외 선진국 창의성 전문교육기관 벤치마킹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산업진흥원(창조인재팀), 2014년도 연구지원사업 연구결과 보고서, 2014
30 박병기,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4), 1097-1111, 2012
31 고장완, 최정윤, 임후남, 유현숙, 신현석, 서영인,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Ⅲ). 연구보고 RR2012-1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2
32 강신천, 양애경,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처방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7(1), 285-305, 2013
33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 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34 신종호, 최효식, "학습컨설팅의 관점에서 본 교원양성 및 교사교육의 방향",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7(3), 699-714, 2013
35 이윤옥(Lee Yun-Oug),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30, 59-78, 2008
36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2008
37 홍영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와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소경희,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16(2), 329-351, 1998
39 강승희, 전보라, 윤소정, "학사경고 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과 집단 학습컨설팅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137-160, 2015
40 박진영,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분석",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2(2), 247-269, 2004
41 김정섭, 윤채영, "예방적 학습컨설팅이 전환기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8(3), 381-408, 2010
42 강기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교육사상연구, 26, 1-35, 2012
43 홍미영,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4 강승호(Seung-Ho Kang),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23, 29-53, 2010
45 이충섭, 박춘래, 황서진, "“경영컨설팅과 기업성과의 관계 및 컨설팅활용도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4(6), 3371-3388, 2011
46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47 김정섭, "창의성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문제 해결에서 문제 찾 기로",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59-70, 2002
48 이운발(Lee Woon-Bal), "사회과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 해결 학습 모형 및 수업 구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 교육, 45(2), 49-74, 2006
49 윤소정,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항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수산해양교육, 25(3), 634-660, 2013
50 김정섭, 윤채영, 윤소정, "전문가 모형의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적용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5(3), 545-567, 2011
51 김유리, 안도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 관계성, 자아개념 및 학업 성취 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52(1), 1-25, 2014
52 박종석, 류시경, "과학 영재 학생들이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9-149, 2008
53 조석희, "영재판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0(1), 259-296, 2003
54 김지영, 김정섭,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169-192, 2014
55 전상국, "대학생의 교수학습센터 활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모형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9(3), 59-83, 2012
56 박민희, 최병연,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6, 1-26, 2004
57 윤소정, 전보라, 김회용,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학습컨설팅의 적용 및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0(4), 239-267, 2012
58 김후진, 전외술, "글로벌시대의 경영컨설팅 서비스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관세학회지, 15(2), 279-299, 2014
59 김진영, 최현영, 최상덕, 이수정, 이강주, 반상진,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연구보고 RR- 2011-0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1
60 김정섭, 최지만, 김소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9(3), 43-61, 2013
61 윤경미, 김정섭, 전윤식, "대학생의 자기조절 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활용 학습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2(2), 215-238, 2003
62 배영권,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로봇 프로그래 밍 교육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63 김영채, "창의적 행동에 대한 상호작용 주의적 접근: 체제적이고 변증법적인 창의의 과정",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11(3), 1-30, 2015
64 이명숙 ( Myung Sook Lee ), 김미경 ( Mi Kyung Kim ), "교실기반 학습컨설팅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조절과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효과",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35, 19-36, 2014
65 정지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 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6 정명화, 형정은,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6(2), 25-49, 2010
67 윤경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68 김남희, 장수명, 이만희, 유현숙, 김태준, 김안나,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Ⅰ). 연구보고 RR2002-1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69 이승해, 이혜자,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적용한 친환경 의생활 수업이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0 김윤경,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창의성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1 장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아분화,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진로탐색행동 간의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2 박용조, "문제 상황 자료를 활용한 사회과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 5학년 문제해결학습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6, 65-82, 2006
73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3
74 권재기(Jae-Ki, Kwon), 정미경(Mi-Kyung, Chung), ""창의성 계발교육이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철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14(1), 123-144, 2015
75 송재홍, "대학생의 학업 자해행동 예측에 있어서 자아개념 명료성과 성취목표 및 교실목표구조 지각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연구, 22(1), 35-53, 2008
76 구양미,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실존적,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2(1), 161-193, 2006
77 김아영, 조석희, 김경자, "회원 발표 논문: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1997
78 이명숙, "컨설티-중심 학습컨설팅을 통한 창의·인성 프로젝트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효능감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4(3), 17-36, 2014
79 고은별, 고현, 강미희, "고현, 강미희, 고은별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145-167, 2016
80 Donald J., "Treffinger, Scott G. Isaksen, & K. Brian Dorval CPS: 창의적 문제해결.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김영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0에 출판), 2004
81 Sternberg, R. J., Williams, W. M., "스턴버그의 교육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 (김정섭, 신경숙, 유순화, 이영만, 정명화, 황희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10에 출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