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94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d been established with two projects. The first project was to develop the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second one was to apply the developed model to university students and test its effects.
      To pursue first study’s goal, the model was based on ADDIE program developing model. At an Analysis stage, literature review and needs survey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on learning consulting at university. This one did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related fields, such as the concept, process, and model of consulting, school based learning consul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Needs survey was conducted by 35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ers. The survey of 280 university students were administered. From the result of this literature review and needs survey, specific areas needed in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selected. Then, at a Design and a Development stage, the learning consulting processes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sub-processes for learning consulting and main factors of the learning consulting program were selected and designed. These constituted the learning consulting model developed and it had been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 pilot study was implemented for four months. Afterwards the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using the feedback of the students(clients) and the researchers(consultee),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 of the intervention effects. Finally, the final model was completed with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of experts on a focus group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second study was to apply the completed learning consultation model developed in the first study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model has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it has been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The learning consulting was proceeded through 5 stages such as an entry, diagnosis, planning interventions, implementation, and disengagement. Through the diagnostic process, the learning consultants confirmed that the students(clients) gradually recognized their own learning problems and were able to select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requests the learning consulting. The learning consultants helped them to search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formulated the intervention processes, and implemented the plan with students who are clients.
      This study was designed on the pre-post test experimental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total of 40 students in a university. Out of them,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implementation conditio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0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for comparis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processes as an intervention. The consulting processes had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6 sessions. Fur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test and post-test. To test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ANCOVA was conducted. Mean scor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ose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All in all, the learning consulting program seemed very effective in helping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had been established with two projects. The first project was to develop the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second one was to apply the developed model to university students and test its effects. To ...

      This study had been established with two projects. The first project was to develop the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second one was to apply the developed model to university students and test its effects.
      To pursue first study’s goal, the model was based on ADDIE program developing model. At an Analysis stage, literature review and needs survey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on learning consulting at university. This one did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related fields, such as the concept, process, and model of consulting, school based learning consul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Needs survey was conducted by 35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ers. The survey of 280 university students were administered. From the result of this literature review and needs survey, specific areas needed in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selected. Then, at a Design and a Development stage, the learning consulting processes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sub-processes for learning consulting and main factors of the learning consulting program were selected and designed. These constituted the learning consulting model developed and it had been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learning consulting model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 pilot study was implemented for four months. Afterwards the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using the feedback of the students(clients) and the researchers(consultee),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 of the intervention effects. Finally, the final model was completed with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of experts on a focus group interviews.
      The purpose of the second study was to apply the completed learning consultation model developed in the first study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model has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it has been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The learning consulting was proceeded through 5 stages such as an entry, diagnosis, planning interventions, implementation, and disengagement. Through the diagnostic process, the learning consultants confirmed that the students(clients) gradually recognized their own learning problems and were able to select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requests the learning consulting. The learning consultants helped them to search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formulated the intervention processes, and implemented the plan with students who are clients.
      This study was designed on the pre-post test experimental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total of 40 students in a university. Out of them,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implementation condition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0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for compariso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processes as an intervention. The consulting processes had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6 sessions. Furt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test and post-test. To test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ANCOVA was conducted. Mean scor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ose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All in all, the learning consulting program seemed very effective in helping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9
      • 3. 용어의 정의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9
      • 3. 용어의 정의 10
      • Ⅱ. 이론적 배경 12
      • 1. 대학생의 학습 12
      • 1) 대학생의 사고 12
      • 2)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18
      • 2.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24
      • 1)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의 정의 24
      • 2)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에 대한 선행연구 34
      • 3)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의 모형 38
      • 3. 창의적 문제해결 50
      • 1) 문제해결 50
      • 2) 창의적 문제해결 51
      • 3)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53
      • 4.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학습컨설팅 61
      • 1) 창의적 문제해결과 학습컨설팅 61
      • 2)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학습컨설팅 69
      • Ⅲ. 연구 1: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73
      • 1. 분석 75
      • 2. 설계 및 개발 89
      • 3. 실행: 예비 연구 실시 91
      • 4. 평가 97
      • 5. 연구 1의 결과 104
      • 6. 연구 1의 논의 110
      • Ⅳ. 연구 2: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학습컨설팅 모형 적용 114
      • 1. 연구대상 116
      • 2. 학습컨설턴트, 컨설티 및 클라이언트 116
      • 3. 연구절차 117
      • 4. 실험설계 118
      • 5. 자료수집 118
      • 6. 자료분석 및 해석 120
      • 7. 연구 2의 결과 120
      • 8. 연구 2의 논의 133
      • Ⅴ. 종합 논의 137
      • Ⅵ. 요약 및 결론 142
      • 1. 요약 142
      • 2. 결론 및 제언 144
      • 참고문헌 146
      • 부 록 168
      • Abstract 18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전경원, "창의학", 서울: 학문사, 2000

      2 강경미, "발달심리학", 양서원, 서울: 학지사, 2013

      3 정옥분,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9

      4 정민승, "성인학습의 이해", 에피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에피스테메, 2010

      5 김동일, "학교상담 컨설테이션",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6 김영채,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7

      7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2

      8 김영채, "사고력 교육:이론과 실제", 유원북스, 서울: 유원북스, 2013

      9 김지현, "교육에서 주도성의 문제: 대학", 교육원리연구, 14(1), 133-173, 2009

      10 전도근, "내 인생에 필요한 라이프 코치", 서울: 북포스, 2010

      1 전경원, "창의학", 서울: 학문사, 2000

      2 강경미, "발달심리학", 양서원, 서울: 학지사, 2013

      3 정옥분,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9

      4 정민승, "성인학습의 이해", 에피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에피스테메, 2010

      5 김동일, "학교상담 컨설테이션",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6 김영채,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7

      7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2

      8 김영채, "사고력 교육:이론과 실제", 유원북스, 서울: 유원북스, 2013

      9 김지현, "교육에서 주도성의 문제: 대학", 교육원리연구, 14(1), 133-173, 2009

      10 전도근, "내 인생에 필요한 라이프 코치", 서울: 북포스, 2010

      11 김정섭, 윤채영,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2(1), 107-135, 2015

      12 김정섭, "교수학습센터를 위한 학습컨설팅",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4), 837-851, 2012

      13 박승호 ( Seung Ho Park ), "자기조절학습의 현재와 미래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7(3), 629-646, null

      14 홍창남, "학교경영컨설팅의 개념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5 권혁재, "대학생의 학습부진 원인과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영채, "CPS 창의 프로그램과 창의적 문제해결", 유원북스, 서울: 유원북스, 2014

      17 홍성연, 나일주, "가상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모형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19(3), 101-122, 2003

      18 정미선, "창의적 문제발견 능력의 개발과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윤경미, 김정섭, 전윤식,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찾기",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1(3), 215-238, 2003

      20 윤채영,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안도희, 도승이, 이명숙, "학습컨설팅 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853-872, 2015

      22 윤초희, "학습컨설팅의 모형과 현장 적용 가능성 고찰", 한국교육심리학회,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연구, 1(1), 1-18, 2009

      23 김정섭, "학습컨설팅의 중요성과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연구, 1(1), 19-33, 2009

      24 박세미, 안석배, "한국인 학업능력 고 1때 세계 1등, 55세땐 꼴찌권",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ne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18/2016021800302.html, 2016

      25 이상수, 이유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3(2), 135-159, 2007

      26 김정섭, "학습컨설팅의 이해, 교사를 위한 학습컨설팅(3-17)", 부산: 한국학교상담교육센터, 2015

      27 조연순, "창의성 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28 배영주, "대학생들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의 양상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9, 213-232, 2011

      29 정세영, 조연순, 정혜인, 김영채, "해외 선진국 창의성 전문교육기관 벤치마킹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산업진흥원(창조인재팀), 2014년도 연구지원사업 연구결과 보고서, 2014

      30 박병기,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6(4), 1097-1111, 2012

      31 고장완, 최정윤, 임후남, 유현숙, 신현석, 서영인,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Ⅲ). 연구보고 RR2012-1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2

      32 강신천, 양애경,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처방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7(1), 285-305, 2013

      33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 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34 신종호, 최효식, "학습컨설팅의 관점에서 본 교원양성 및 교사교육의 방향",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7(3), 699-714, 2013

      35 이윤옥(Lee Yun-Oug),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30, 59-78, 2008

      36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2008

      37 홍영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와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소경희,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16(2), 329-351, 1998

      39 강승희, 전보라, 윤소정, "학사경고 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과 집단 학습컨설팅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137-160, 2015

      40 박진영,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분석",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2(2), 247-269, 2004

      41 김정섭, 윤채영, "예방적 학습컨설팅이 전환기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8(3), 381-408, 2010

      42 강기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교육사상연구, 26, 1-35, 2012

      43 홍미영,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4 강승호(Seung-Ho Kang),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23, 29-53, 2010

      45 이충섭, 박춘래, 황서진, "“경영컨설팅과 기업성과의 관계 및 컨설팅활용도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4(6), 3371-3388, 2011

      46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47 김정섭, "창의성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문제 해결에서 문제 찾 기로",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59-70, 2002

      48 이운발(Lee Woon-Bal), "사회과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 해결 학습 모형 및 수업 구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 교육, 45(2), 49-74, 2006

      49 윤소정,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항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수산해양교육, 25(3), 634-660, 2013

      50 김정섭, 윤채영, 윤소정, "전문가 모형의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적용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5(3), 545-567, 2011

      51 김유리, 안도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 관계성, 자아개념 및 학업 성취 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52(1), 1-25, 2014

      52 박종석, 류시경, "과학 영재 학생들이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9-149, 2008

      53 조석희, "영재판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0(1), 259-296, 2003

      54 김지영, 김정섭,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169-192, 2014

      55 전상국, "대학생의 교수학습센터 활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모형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9(3), 59-83, 2012

      56 박민희, 최병연,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6, 1-26, 2004

      57 윤소정, 전보라, 김회용,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학습컨설팅의 적용 및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0(4), 239-267, 2012

      58 김후진, 전외술, "글로벌시대의 경영컨설팅 서비스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관세학회지, 15(2), 279-299, 2014

      59 김진영, 최현영, 최상덕, 이수정, 이강주, 반상진,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연구보고 RR- 2011-0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1

      60 김정섭, 최지만, 김소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9(3), 43-61, 2013

      61 윤경미, 김정섭, 전윤식, "대학생의 자기조절 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활용 학습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2(2), 215-238, 2003

      62 배영권,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로봇 프로그래 밍 교육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63 김영채, "창의적 행동에 대한 상호작용 주의적 접근: 체제적이고 변증법적인 창의의 과정",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11(3), 1-30, 2015

      64 이명숙 ( Myung Sook Lee ), 김미경 ( Mi Kyung Kim ), "교실기반 학습컨설팅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조절과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효과",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35, 19-36, 2014

      65 정지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 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6 정명화, 형정은,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6(2), 25-49, 2010

      67 윤경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68 김남희, 장수명, 이만희, 유현숙, 김태준, 김안나,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Ⅰ). 연구보고 RR2002-1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69 이승해, 이혜자,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적용한 친환경 의생활 수업이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0 김윤경,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창의성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1 장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아분화,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진로탐색행동 간의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2 박용조, "문제 상황 자료를 활용한 사회과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 5학년 문제해결학습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6, 65-82, 2006

      73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3

      74 권재기(Jae-Ki, Kwon), 정미경(Mi-Kyung, Chung), ""창의성 계발교육이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역량,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철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14(1), 123-144, 2015

      75 송재홍, "대학생의 학업 자해행동 예측에 있어서 자아개념 명료성과 성취목표 및 교실목표구조 지각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연구, 22(1), 35-53, 2008

      76 구양미,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실존적,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2(1), 161-193, 2006

      77 김아영, 조석희, 김경자, "회원 발표 논문: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1997

      78 이명숙, "컨설티-중심 학습컨설팅을 통한 창의·인성 프로젝트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효능감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4(3), 17-36, 2014

      79 고은별, 고현, 강미희, "고현, 강미희, 고은별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145-167, 2016

      80 Donald J., "Treffinger, Scott G. Isaksen, & K. Brian Dorval CPS: 창의적 문제해결.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김영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0에 출판), 2004

      81 Sternberg, R. J., Williams, W. M., "스턴버그의 교육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 (김정섭, 신경숙, 유순화, 이영만, 정명화, 황희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10에 출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