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기 가족관계만족도의 종단적 양상이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개인특성인 성별, 소득수준, 거주지역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82502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03-718(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기 가족관계만족도의 종단적 양상이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개인특성인 성별, 소득수준, 거주지역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중년기 가족관계만족도의 종단적 양상이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개인특성인 성별, 소득수준, 거주지역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변수를 활용한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 중년기 가족관계만족도의 양상을 탐색하고, 원격변수로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통제변인으로는 성별과 소득, 거주지역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중년기에 형성된 가족관계만족도는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일반가구가 저소득층 가구보다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 노년층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년시기뿐만 아니라 중년기 시기부터 가족관계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남성 및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 교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노년의 삶의 질을 위한 비수도권 거주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middle age on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ld age, considering gender, income level, and residential area. Using a latent growth model with distal variables, t...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middle age on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ld age, considering gender, income level, and residential area. Using a latent growth model with distal variables, the study explored pattern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middle age in South Korea.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ld age was used as the distal variable, while gender, income, and residential area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developed in middle age positively influences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ld age. Additionally, women and general households demonstrated higher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men and low-income househol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nd expand diverse support programs to enhanc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tarting from middle age to improve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ld age. It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exchange programs targeting men and low-income families. Lastly, the study found that older adults in non-metropolitan areas reported higher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those in metropolitan areas. This finding highlight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programs that encourage non-metropolitan liv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콘텐츠 생성형 AI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부모 이용 감독 및 지도와 교육이 유아의 미디어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