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명 소멸의 현황과 원인 =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Disappearance of Place Na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6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urrent state and causes of disappearance of place names which are complex cultural heritage. For this purpose, I will consider the causes of place name’s disappearance, the present situation of its disapp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urrent state and causes of disappearance of place names which are complex cultural heritage. For this purpose, I will consider the causes of place name’s disappearance, the present situation of its disappearance and the poor cases of place name survey. Ultimately we propos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 place name survey, and the necessity of survey and research organization and institute.
      The disappearance of place names is caused by loss of place names itself (the disruption of records or tradition,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changes of the terrain which contains the place name. The removal of original place names has been carried out mainly by colonial conquerors in the past to erase the identity of the other nation which is conquered or being ruled, and it’s done continuously by cultural imperialism in the 21st century too. In addition to this, it’s also happened inside the country by its government because political differences.
      And the reason of the loss of place names could be naturally attributed to memory decline and death of the elderly people. Moreover, the loss of place names has a tendency to accelerate more as the family structure is changing to the nuclear family. Especially in areas such as submerged district, industrial complex, and downtown redevelopment district, place names are disappearing to a large extent as the area is changing and the residents are leaving.
      The central government, municipalities, and cultural foundations, etc. who are responsible to investigate and preserve these place names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and the necessity of a place name survey su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cultural heritage with the urgency before the mass migration of the residents who are the information holder of place name, and decline of memory and the death of the elder. Especially, it is sincerely desired to legislate the Place Name Survey Act for place name lost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복합 문화유산인 지명이 소멸하는 현황과 사라지는 원인을 체계화하여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지명의 소멸 지구 현황과 함께 부실한 지명 조사...

      본고는 복합 문화유산인 지명이 소멸하는 현황과 사라지는 원인을 체계화하여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지명의 소멸 지구 현황과 함께 부실한 지명 조사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지명의 소멸은 지명 자체의 소멸(기록이나 구비 전승의 단절, 행정 구역의 변개)과 지명을 담고 있는 지형의 변화(지형의 변개)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해당 지명을 호칭하지 않게 되어 일어나고 있다. 지명 소멸은 과거 제국주의 등에 의하여 정복자‧지배 권력 등이 피정복‧피지배 민족의 정체성을 지우기 위해 자행해 왔고, 21세기에도 문화 제국주의에 의해 자발적 비자발적으로 계속 일어나고 있다. 나라 안에서도 통치 권력에 의해서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지명의 소멸은 또 지명 정보 보유자인 노인 세대의 기억 감퇴와 사망에 의해서도 자연스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족형태가 핵가족화함에 따라 지명의 소멸이 더욱 가속화하는 측면이 있다. 특히 수몰 지구, 택지 조성 지구, 산단 조성 지구, 도심 재개발 지구, 도로 항만 시설 건설 지구, 군사 시설 지구 등에서는 지형이 변개하고 주민 집단이 떠나면서 대단위로 지명이 소멸하고 있다.
      이들 지명을 정리하고 보존해야 할 책무가 있는 중앙 정부, 지방 자치 단체, 문화 재단 등에서는 지명 문화 자원의 가치와 지명 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더 이상 지명 정보 보유자인 주민들의 집단 이주, 노인의 기억 감퇴와 자연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시급히 지명 문화유산을 조사 정리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명 소멸 지구 지명 조사를 법제화할 것을 간곡히 바란다.
      전국 지명 조사를 위해서는 행정 기관, 입법 기관의 실천이 필연적이다. 문화와 문화유산을 다루는 주무부서인 문화 체육 관광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이들 4부처를 아우르는 지명 관련 조사실과 연구실을 국무총리실이나 대통령 직속기구로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연구재단 등에서는 연구자들에게 희생만을 강요하지 말고 이들의 조사와 연구를 충분히 지원함으로써 국가기관으로서 책무를 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문화재연구원, "효천1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지구계 변경 문화유적지표조사 보고서" 2008

      2 손희하, "호남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1900년 이후를 대상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213-267, 2014

      3 손희하, "현행 도로 명 주소의 제 문제점과 대안" 한국지명학회 20 : 161-187, 2014

      4 손희하,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54-73, 2010

      5 김기혁,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제주편"

      6 최현배, "한국 지명 총람 I(서울편)" 한글학회 1966

      7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서울편)" 한글학회 1966

      8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전자사전" 1998

      9 서상준, "주암댐 수몰 지역의 방언과 지명" 전라남도·전남대학교 박물관 1987

      10 손희하, "제주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 한국지명학회 19 : 91-124, 2013

      1 호남문화재연구원, "효천1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지구계 변경 문화유적지표조사 보고서" 2008

      2 손희하, "호남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1900년 이후를 대상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213-267, 2014

      3 손희하, "현행 도로 명 주소의 제 문제점과 대안" 한국지명학회 20 : 161-187, 2014

      4 손희하,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54-73, 2010

      5 김기혁,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제주편"

      6 최현배, "한국 지명 총람 I(서울편)" 한글학회 1966

      7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서울편)" 한글학회 1966

      8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전자사전" 1998

      9 서상준, "주암댐 수몰 지역의 방언과 지명" 전라남도·전남대학교 박물관 1987

      10 손희하, "제주 지역 지명 연구 성과와 동향" 한국지명학회 19 : 91-124, 2013

      11 손희하, "재개발지구의 지명 문화유산 멸실과 보존" 2012

      12 김기빈, "일제에 빼앗긴 땅 이름을 찾아서" 살림터 1995

      13 김귀배, "유네스코의 문화와 언어다양성 보존 노력" 17 (17): 91-99, 2007

      14 손희하, "서남 방언 ‘쓰다’(引)류에 담겨 있는 우리 옛 문화" 35-57, 2015

      15 "부군면 통폐합" 위키백과

      16 "도로명주소법 ([시행 2017.7.26.] [법률 제14839호, 2017.7.26., 타법개정])"

      17 도시디자인국 토지정보과, "도로명주소 시민안내서" 광주광역시 2011

      18 "도로명주소 소개 Guide book,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19 이종일, "광주첨단 기지 문화유적" 광주직할시 사단법인 향토문화개발협의회 381-412, 1992

      20 전남대학교, "광주진월지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광주전남지사 2002

      21 손희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마을민속조사보고서: 빛가람, 천년의 빛으로 흐른다" 한국토지공사 전남개발공사 광주광역시도시공사 234-299, 2009

      22 호남문화재연구원, "광주광역시 효천1지구 도시개발 사업부지 내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6

      23 전남대학교, "광주광역시 동구 제 5구역 주택재개발 구역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3

      24 전남문화재연구원, "광주 효천2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부지 내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 대한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2005

      25 호남문화재연구원, "광주 첨단과학산업단지 2단계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5

      26 조선총독부, "舊韓國地方行政區 域名稱一覽" 태학사 1997

      27 越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태학사 1917

      28 김희수, "“동광양시의 지명”, 동광양시 문화유적학술조사보고서" 전남대학교박물관 동광양시 313-341, 1989

      29 "“대한민국의 주소”, 위키백과"

      30 Investing in Cultural Diversity and Intercultural Dialogue, "World Report of UNESCO"

      31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32 Hausner, Isolde, "The significance of geographical names as transmitter of the cultural heritage across time and space" The Society for East Sea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4

      33 Son, Heuiha, "The Loss and Transformation of Meaning in Korean Place Names, and Suggestions for its Prevention" 69-88, 2014

      34 "Text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35 Son, Heuiha, "Discussion for 'The significance of geographical names as transmitter of the cultural heritage across time and space (Isolde HAUSNER), Habits of interpretation: The semiotics of place names ( Michelle METRO-ROLAND), and The research history of tides in East Sea in premodern Korea: From metaphysics to science (LEE Young Choon)" The Society for East Sea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7 0.6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