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타슈켄트 서울공원 고찰을 통한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여건 이해 =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for establishing a traditional Korean garden through the study of Tashkent Seou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07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creating "Seoul Park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seven capital citie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Ankara, Cairo, Paris, Berlin, Tehran, Ulaanbaatar, and Tashkent, with the aim of promoting friendly cooper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ost recently established "Tashkent Seoul Park" among the various Seoul Parks created overs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conditions that arise when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abroa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ashkent Seoul Park, and the time range is from 2009 to 2015. Through the "Seoul City Records Management System," official documents from Seoul City written during the creation process of Tashkent Seoul Park and documents stored in the archives of the Seoul Eastern Park and Green Space Management Office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07 documents collected were classified chronologically, and the creation process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each official document was extracted and conceptualized into short phrases and clause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conceptualized contents were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levance of their meanings, and the attributes of each category were organi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8), the conditions for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15 creation conditions were deriv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human-environment conditions,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legal/institutional conditions.
      The first category, human-environment conditions, includes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relevant stakeholders’,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rban park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consensus-building’, and ‘the administra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the most significant one i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stakeholders’.
      The project progresses through the agreement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the client, service provider, government agencies, the host country's government, and local Korean cultural associations or Korean communitie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requir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effort for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s a delay in the consultation process and complaints of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design documen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urban parks’ was also confirmed. In South Korea, most urban parks are created and managed through public funds. However,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limited budgets, there is a difference in maintaining and managing parks, a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revenue comes from recreational and commercial facilities within the park, which are used by citizens. Due to the limitations of language communication,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veying intentions and reaching agreements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process. The process of conveying intentions from Seoul City through embassies takes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the communication is not always smooth. The administra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ject. Despite the cooperative efforts and administrative endeavors of the Uzbekistan government and Tashkent city,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timeframes between Seoul City and the host country were observed during the practical process.
      As for the second category,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factors include the landscape conditions of the target si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onstruction conditions, differences in plant characteristics, and local material supply conditions. The landscape conditions of the target site are crucial for creating the ambianc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Traditional fences and landscape mounding were incorporated along the boundaries of Seoul parks. Flower beds were installed to obstruct views from the outside landscape and direct the focus inward, enhancing privacy and creating a sense of tranquility within the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onstruction conditions affect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quality. Uzbekistan has a dry and hot summer, while the winter is mild with significant rainfall and snowfall. Due to these climat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iculties in landscaping during winter, but the climate with abundant rain and snow in Uzbekistan led to unexpected issues such as ground subsidence due to weak soil,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project. Due to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trees," issues arise regarding the supply of landscaping trees and variations in landscaping styles. This poses constraints on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Additionally, the "local material supply conditions" also present constraints on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atched roofs, which are traditionally used, they require regula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However, due to difficulties in sourcing local thatch materials, they are often replaced with plastic.
      Third category,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inding agreements and legal documents,"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project delay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budget," and "focus on construction stability and modern construction practices." Agreements serve as the basis for all negotiations, from the inception of the project to the completion and handover of facilities. The process of drafting agreements that mutually bind the involved parties is of great importanc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have become a significant issue in project negotiations. Delays in customs clearance result in time and economic burdens, preventing timely supply of necessary materials and hindering subsequent construction processes carried out by dispatched personnel. "Project delays" occur due to the time-consuming process of selecting the initial target site and are also influenced by local climate conditions. Delays in transportation and customs procedures, as well as delays in local administrative processes, have been identified as causes of project delays. Th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analyzed to be highly positiv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budget," it was found that the project expanded to more than twice the initial scale, but the budget was not adjusted accordingly, highlighting an issue. Construction technology reviews and expert technical consultations emphasize the focus on "construction stability and modern construction practices." The sustainability of the park is prioritized over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considering the national reputation and the goal of foster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cities. The "intent of the client" in dealing with various problem situations during the project process becomes a crucial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Unlike domestic projects, overseas projects face unforeseen challenges. The client is making direct efforts to persuade the host country and resolv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on conditions and the outcom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various challenges that may arise in future projects aimed at introducing Korean garden culture abroad can be minimized, and the creation of more complete traditional gardens can be facilitated.
      번역하기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creating "Seoul Park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seven capital citie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Ankara, Cairo, Paris, Berlin, Tehran, Ulaanbaatar, and Tashkent, with the aim of promoting fri...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creating "Seoul Park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seven capital citie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Ankara, Cairo, Paris, Berlin, Tehran, Ulaanbaatar, and Tashkent, with the aim of promoting friendly cooper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ost recently established "Tashkent Seoul Park" among the various Seoul Parks created overs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conditions that arise when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abroa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ashkent Seoul Park, and the time range is from 2009 to 2015. Through the "Seoul City Records Management System," official documents from Seoul City written during the creation process of Tashkent Seoul Park and documents stored in the archives of the Seoul Eastern Park and Green Space Management Office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07 documents collected were classified chronologically, and the creation process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each official document was extracted and conceptualized into short phrases and clause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conceptualized contents were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levance of their meanings, and the attributes of each category were organi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8), the conditions for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15 creation conditions were deriv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human-environment conditions,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legal/institutional conditions.
      The first category, human-environment conditions, includes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relevant stakeholders’,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rban park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consensus-building’, and ‘the administra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the most significant one i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mong stakeholders’.
      The project progresses through the agreement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the client, service provider, government agencies, the host country's government, and local Korean cultural associations or Korean communitie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requir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effort for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s a delay in the consultation process and complaints of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design documen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urban parks’ was also confirmed. In South Korea, most urban parks are created and managed through public funds. However,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limited budgets, there is a difference in maintaining and managing parks, a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revenue comes from recreational and commercial facilities within the park, which are used by citizens. Due to the limitations of language communication,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veying intentions and reaching agreements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process. The process of conveying intentions from Seoul City through embassies takes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the communication is not always smooth. The administrative capacity of the host country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ject. Despite the cooperative efforts and administrative endeavors of the Uzbekistan government and Tashkent city,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timeframes between Seoul City and the host country were observed during the practical process.
      As for the second category,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factors include the landscape conditions of the target si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onstruction conditions, differences in plant characteristics, and local material supply conditions. The landscape conditions of the target site are crucial for creating the ambianc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Traditional fences and landscape mounding were incorporated along the boundaries of Seoul parks. Flower beds were installed to obstruct views from the outside landscape and direct the focus inward, enhancing privacy and creating a sense of tranquility within the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onstruction conditions affect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quality. Uzbekistan has a dry and hot summer, while the winter is mild with significant rainfall and snowfall. Due to these climat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iculties in landscaping during winter, but the climate with abundant rain and snow in Uzbekistan led to unexpected issues such as ground subsidence due to weak soil,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project. Due to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trees," issues arise regarding the supply of landscaping trees and variations in landscaping styles. This poses constraints on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Additionally, the "local material supply conditions" also present constraints on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atched roofs, which are traditionally used, they require regula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However, due to difficulties in sourcing local thatch materials, they are often replaced with plastic.
      Third category,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inding agreements and legal documents,"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project delay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budget," and "focus on construction stability and modern construction practices." Agreements serve as the basis for all negotiations, from the inception of the project to the completion and handover of facilities. The process of drafting agreements that mutually bind the involved parties is of great importanc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have become a significant issue in project negotiations. Delays in customs clearance result in time and economic burdens, preventing timely supply of necessary materials and hindering subsequent construction processes carried out by dispatched personnel. "Project delays" occur due to the time-consuming process of selecting the initial target site and are also influenced by local climate conditions. Delays in transportation and customs procedures, as well as delays in local administrative processes, have been identified as causes of project delays. Th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analyzed to be highly positiv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budget," it was found that the project expanded to more than twice the initial scale, but the budget was not adjusted accordingly, highlighting an issue. Construction technology reviews and expert technical consultations emphasize the focus on "construction stability and modern construction practices." The sustainability of the park is prioritized over the faithful reproduction of traditional elements, considering the national reputation and the goal of foster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cities. The "intent of the client" in dealing with various problem situations during the project process becomes a crucial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Unlike domestic projects, overseas projects face unforeseen challenges. The client is making direct efforts to persuade the host country and resolv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rea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overs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on conditions and the outcom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the various challenges that may arise in future projects aimed at introducing Korean garden culture abroad can be minimized, and the creation of more complete traditional gardens can be facilit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는 외국 도시와 우호 협력을 목적으로 7개국 수도인 앙카라, 카이로, 파리, 베를린, 테헤란, 울란바토르, 타슈켄트에 한국전통정원을 테마로 한 ‘서울공원’을 조성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에 조성된 여러 서울공원 중 가장 최근 조성된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과정을 고찰하여 국외에서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여건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국외 전통정원의 조성 특징과 관련된 연구와 전통 재현의 방식에 관한 연구로 구분된다. 기존의 연구는 국외에 완공된 전통정원의 연출 방식과 형태 등 결과물에 집중되고 조성여건을 통해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타슈켄트 서울공원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이다. ‘서울시 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과정에서 작성된 서울시 공문서와 서울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서고에 보관된 문서철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총 207건의 문서들을 시간순으로 분류한 후 조성 과정을 기획, 계획, 설계, 시공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공문서에 수록된 정보를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짧은 구와 절로 이루어진 정보로 추출하고 개념화하였다. 이후 개념화된 내용들은 의미의 연관성에 따라 범주화하고 각 범주의 속성들을 정리하였다. Strauss & Corbin(1998)이 주장한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여건을 이해하였다. 연구 결과로 조성여건 1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인문환경 여건, 자연환경 여건, 법적·제도적 여건의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첫째 인문환경 여건은 ‘관련 주체별 지향점의 차이’,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이해 부족’,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 ‘의사전달과 합의의 어려움’, ‘상대국의 행정력’이었다.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에서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관련 주체별 지향점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발주처와 용역업체, 정부기관과 상대국 정부, 현지 고려문화협회나 한인회 등 다양한 관련 주체들의 합의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게 되며 지향점의 차이로 인해 이해와 설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이해 부족’은 설계서의 협의, 검토의 어려움 호소 및 협의 과정의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 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도시공원의 대부분이 공적자금에 의해 조성되고 관리되는데 반면 예산이 취약한 개발 도상국의 경우 시민들이 이용하는 도시공원의 경우 상당수가 공원 위락시설이나 판매시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공원을 유지관리하는 차이점이 있다. 언어 소통의 한계로 인해 사업 진행 전체 과정에서 ‘의사전달과 합의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서울시가 대사관을 통해 의사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의사전달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상대국의 행정력’ 도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타슈켄트시는 서울공원 조성에 협조적이고 행정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무 과정에서 서울시와 행정 시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자연환경 여건으로는 ‘대상지의 경관 여건’, ‘기후와 시공 여건 관계성’, ‘수목의 특성 차이’, ‘현지 자재 수급 여건’을 들 수 있다. ‘대상지의 경관 여건’은 한국전통정원을 연출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서울공원 경계에 와편담장과 마운딩, 화계를 통해 외부 경관을 차단하고 시선의 초점을 방지와 누대 등 내부로 지향하도록 연출하고 있다. ‘기후와 시공 여건 관계성’은 시공 기간과 시공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우즈벡의 여름은 건조하고 기온이 높으며 겨울에는 온화하고 비와 눈이 많이 내린다. 이러한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겨울철 조경공사에 무리가 없으나, 비와 눈이 많은 우즈벡의 기후는 무른 토질로 인해 예상치 못한 지반 침하 등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수목의 특성 차이’로 인해 조경수 수급 문제와 수형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전통성 재현에 제약 요인이 된다. ‘현지 자재 수급 여건’ 또한 전통성 재현에 제약 요인이 된다. 초정의 경우 전통 방식을 따라 지붕을 볏짚으로 설계하였으나 볏짚은 일정 기간마다 교체 관리가 필요하다. 현지 볏짚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이엉으로 교체하게 된다.
      셋째. 법적·제도적 여건으로 ‘협정서 등 법적 구속력’, ‘통관 절차의 문제’, ‘사업의 지연’, ‘정부와 서울시의 협력’, ‘사업 규모와 예산의 관계’, ‘시공 안정성과 현대적 공법 지향’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협정서는 사업의 발단부터 공사의 준공과 시설 인계까지 모든 협상의 근거가 이러한 협정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호 법적 구속력이 되는 협정서를 어떻게 작성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통관 절차의 문제’ 는 시공 과정의 협상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시공자는 적기에 필요한 자재를 공급받지 못해 한국에서 파견 온 기술자들이 후속 공정을 작업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등 시간적,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업의 지연’은 초기 대상지의 선정 과정에 많은 시일이 소요되며 현지 기후 여건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재의 운송과 통관과정에서 많은 시일이 소요되며 현지 행정 절차의 지연도 사업 지연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와 서울시의 협력’은 긍정적으로 분석된다. ‘사업 규모와 예산의 관계’에서 초기 사업 계획 보다 2배 이상 규모가 확장되었지만 예산 증액은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건설기술심의 등 전문가의 기술적 자문에서 ‘시공 안정성과 현대적 공법을 지향’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공원의 지속성이 국가 신임도와 도시간 우호의 목적상 전통성의 연출보다 우선되는 가치로 선택되고 있다. 사업 과정에서 여러 문제 발생 상황에서 대처하는 ‘발주처의 의지’ 는 사업 성공의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국내 공사와 다르게 국외 공사는 예기치 못한 다양한 문제와 직면한다. 발주처는 상대국을 설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 한국전통정원 조성 과정을 고찰하여 조성여건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정원 문화를 국외에 소개하려는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완성도 높은 전통정원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서울시는 외국 도시와 우호 협력을 목적으로 7개국 수도인 앙카라, 카이로, 파리, 베를린, 테헤란, 울란바토르, 타슈켄트에 한국전통정원을 테마로 한 ‘서울공원’을 조성해 오고 있다. 본 ...

      서울시는 외국 도시와 우호 협력을 목적으로 7개국 수도인 앙카라, 카이로, 파리, 베를린, 테헤란, 울란바토르, 타슈켄트에 한국전통정원을 테마로 한 ‘서울공원’을 조성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에 조성된 여러 서울공원 중 가장 최근 조성된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과정을 고찰하여 국외에서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여건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게 국외 전통정원의 조성 특징과 관련된 연구와 전통 재현의 방식에 관한 연구로 구분된다. 기존의 연구는 국외에 완공된 전통정원의 연출 방식과 형태 등 결과물에 집중되고 조성여건을 통해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타슈켄트 서울공원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이다. ‘서울시 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과정에서 작성된 서울시 공문서와 서울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서고에 보관된 문서철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총 207건의 문서들을 시간순으로 분류한 후 조성 과정을 기획, 계획, 설계, 시공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공문서에 수록된 정보를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짧은 구와 절로 이루어진 정보로 추출하고 개념화하였다. 이후 개념화된 내용들은 의미의 연관성에 따라 범주화하고 각 범주의 속성들을 정리하였다. Strauss & Corbin(1998)이 주장한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여건을 이해하였다. 연구 결과로 조성여건 1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인문환경 여건, 자연환경 여건, 법적·제도적 여건의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첫째 인문환경 여건은 ‘관련 주체별 지향점의 차이’,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이해 부족’,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 ‘의사전달과 합의의 어려움’, ‘상대국의 행정력’이었다. 한국전통정원의 국외 조성에서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관련 주체별 지향점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발주처와 용역업체, 정부기관과 상대국 정부, 현지 고려문화협회나 한인회 등 다양한 관련 주체들의 합의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게 되며 지향점의 차이로 인해 이해와 설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이해 부족’은 설계서의 협의, 검토의 어려움 호소 및 협의 과정의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 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도시공원의 대부분이 공적자금에 의해 조성되고 관리되는데 반면 예산이 취약한 개발 도상국의 경우 시민들이 이용하는 도시공원의 경우 상당수가 공원 위락시설이나 판매시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공원을 유지관리하는 차이점이 있다. 언어 소통의 한계로 인해 사업 진행 전체 과정에서 ‘의사전달과 합의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서울시가 대사관을 통해 의사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의사전달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상대국의 행정력’ 도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타슈켄트시는 서울공원 조성에 협조적이고 행정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무 과정에서 서울시와 행정 시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자연환경 여건으로는 ‘대상지의 경관 여건’, ‘기후와 시공 여건 관계성’, ‘수목의 특성 차이’, ‘현지 자재 수급 여건’을 들 수 있다. ‘대상지의 경관 여건’은 한국전통정원을 연출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서울공원 경계에 와편담장과 마운딩, 화계를 통해 외부 경관을 차단하고 시선의 초점을 방지와 누대 등 내부로 지향하도록 연출하고 있다. ‘기후와 시공 여건 관계성’은 시공 기간과 시공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우즈벡의 여름은 건조하고 기온이 높으며 겨울에는 온화하고 비와 눈이 많이 내린다. 이러한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겨울철 조경공사에 무리가 없으나, 비와 눈이 많은 우즈벡의 기후는 무른 토질로 인해 예상치 못한 지반 침하 등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수목의 특성 차이’로 인해 조경수 수급 문제와 수형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전통성 재현에 제약 요인이 된다. ‘현지 자재 수급 여건’ 또한 전통성 재현에 제약 요인이 된다. 초정의 경우 전통 방식을 따라 지붕을 볏짚으로 설계하였으나 볏짚은 일정 기간마다 교체 관리가 필요하다. 현지 볏짚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이엉으로 교체하게 된다.
      셋째. 법적·제도적 여건으로 ‘협정서 등 법적 구속력’, ‘통관 절차의 문제’, ‘사업의 지연’, ‘정부와 서울시의 협력’, ‘사업 규모와 예산의 관계’, ‘시공 안정성과 현대적 공법 지향’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협정서는 사업의 발단부터 공사의 준공과 시설 인계까지 모든 협상의 근거가 이러한 협정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상호 법적 구속력이 되는 협정서를 어떻게 작성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통관 절차의 문제’ 는 시공 과정의 협상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시공자는 적기에 필요한 자재를 공급받지 못해 한국에서 파견 온 기술자들이 후속 공정을 작업하지 못하고 돌아가는 등 시간적,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업의 지연’은 초기 대상지의 선정 과정에 많은 시일이 소요되며 현지 기후 여건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재의 운송과 통관과정에서 많은 시일이 소요되며 현지 행정 절차의 지연도 사업 지연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와 서울시의 협력’은 긍정적으로 분석된다. ‘사업 규모와 예산의 관계’에서 초기 사업 계획 보다 2배 이상 규모가 확장되었지만 예산 증액은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건설기술심의 등 전문가의 기술적 자문에서 ‘시공 안정성과 현대적 공법을 지향’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공원의 지속성이 국가 신임도와 도시간 우호의 목적상 전통성의 연출보다 우선되는 가치로 선택되고 있다. 사업 과정에서 여러 문제 발생 상황에서 대처하는 ‘발주처의 의지’ 는 사업 성공의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국내 공사와 다르게 국외 공사는 예기치 못한 다양한 문제와 직면한다. 발주처는 상대국을 설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 한국전통정원 조성 과정을 고찰하여 조성여건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정원 문화를 국외에 소개하려는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완성도 높은 전통정원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6
      • 제3절 연구사 13
      • 1. 국외 전통정원 관련 연구 13
      • 2. 전통재현 관련 연구 16
      • 제2장 이론적 고찰 18
      • 제1절 국외 전통정원의 연출 방식 18
      • 1. 직접적 모방 18
      • 2. 규모와 형태의 변형 19
      • 3. 전통 요소의 재구성 20
      • 제2절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 양상 21
      • 1. 대상지와 경관자원 21
      • 2. 공간구성 23
      • 3. 전통 모티브와 주요 구성요소 29
      • 제3절 분석의 틀 33
      • 제3장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여건 35
      • 제1절 기획 단계의 패러다임 모형 35
      • 제2절 계획 단계의 패러다임 모형 44
      • 제3절 설계 단계의 패러다임 모형 54
      • 제4절 시공 단계의 패러다임 모형 64
      • 제5절 타슈켄트 서울공원 조성여건 75
      • 1. 패러다임 모형에 대입한 타슈켄트 서울공원 범주 75
      • 2. 인문환경 여건 80
      • 3. 자연환경 여건 84
      • 4. 법적제도적 여건 86
      • 제4장 결론 92
      • 제1절 연구의 결과 92
      • 제2절 연구의 의의 94
      • 참고문헌 95
      • 부록 98
      • ABSTRACT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