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돈황(敦煌) 막고(莫高) 제196굴 <노도차투성변상도(勞度差鬪聖變相圖)>의 검토 = A Review on 「Nodochatusungbyunsangdo(勞度差鬪聖變相圖)」 at the Dunhuang Number 196th Ca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4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탁차투성변상도(勞度差鬪聖變相圖)는 석가모니불의 ``강마(降魔)``를 다룬 인연고사유(因緣故事類) 회화형식이다. 여기에는 기원정(祇園精)숨의 건립을 둘러싼 불교도(佛敎徒)와 외도(外...

      노탁차투성변상도(勞度差鬪聖變相圖)는 석가모니불의 ``강마(降魔)``를 다룬 인연고사유(因緣故事類) 회화형식이다. 여기에는 기원정(祇園精)숨의 건립을 둘러싼 불교도(佛敎徒)와 외도(外道)의 환술(幻術)겨루기, 이른 바 ``투법(鬪法)`` 이 회화의 중심소재가 되어 흥미진진하면서 해학적인 화면으로 전개 되어 있다. 이 화제(畵題)는 唐伐 성립한 「강마변문(降魔變文)」을 소재로 하였다. 『현우경(賢愚經)』 권l0 제41 「수달기정사품(須達起精舍品)」을 토대로 창작된 「강마변문(降魔變文)」 은 이야기의 극적 재미를 돋우 기 위해 여러 장치들이 고안되었으며, 불교포교 및 강창(講唱)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 변문의 시각적 이해를 위한 도해(圖解)가 바로 노도차투성변상도이다. 노탁차투성변상도(勞度叉鬪聖變相圖)는 중국 남북조대에 출현하여,당(唐)과 오대(五代)를 거쳐 송대(宋代)(북송(北宋)까지 400년 가까이 돈황석굴군을 통해 발전하였다. 돈황 일대에서 이 화제(畵題)가 多作되었던 점은 당시 불교성격이나 정세에 비추어 귀의군들의 역할이 주목된다. 즉 귀의군들은 외족(티벳)에 오랫동안 강점되었던 이 지역을 다시 중국령으로 회복하였는데, 그들은 절대 통치권력을 행사하였으며,불사(佛事)에도 매우 열정적이었다. 귀의군들은 종교적이고 포교소재로써 효능이 높으며, 이미 대중성을 확보하였고, 물리적 군사력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는 벽화 소재(노도차투성변상도)를 적극 채용함으로써,유민(遺民) 통솔의 정당성을 보장받고자 했던 듯하다. 만당 이래, 화사들의 노도차투성변상도 제작은 대부분 기성의 粉本을 참고 했으나, 동일 화면은 철저히 거부하였다. 이들은 화본을 토대로 독자성을 추 구함으로써, 회화적 역량과 창의력을 드러내었다. 이중 돈황 막고 제196굴 〈노도차투성변상도〉 는 이 화제로는물론, 돈황후기 벽화의 전형성을갖추어 양식적 검토 가치가 높다. 먼저 이 벽화의 제작시기는 895- 894년이라는 구쳬 적인 연대가 제시되어 양식사적 전후관계를 살필 수 있는 펀년기준이 된다. 또 조건주쳬는 절도사 색훈(索勛)과 고위직 승려로서, 당시 돈황일대에서 지배세력 과 승단의 공조관계를 살필 수 있는 사례이다. 이 벽화의 회화양식은 구도(構圖)와 인물(人物) 경물(景物) 색채(色彩) 및 필선(筆線) 문양(文樣)으로 나 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구도는 이원(二元)으로 전개되는 문학작품에 화사의 재량을 발휘하여 변문(變文)의 내용(內容)에 충실하면서 회화(繪畵)로서 형식성이 겸비되어 있었다. 인물표현은 인체에 대한 이해와 기교가 발달했던 당벌(唐伐)의 사실성을 기초로 익살과 해학성을 가미해 풍부한 인물상을 구현했다. 경물 역시 전대의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이 벽화의 화면 내에서 형태적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색채 는 중당대에 비해 단조로워졌으나, 색채 및 필선은 훈염채색법과의 혼용을 추구해, 중당대와 오대 및 송대의 과도적 성향을 나타내었다. 문양 역시 중당대 비해 간소해졌으나, 그 장식성은 아직 유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dochatusungbyunsangdo(勞度叉鬪聖變相圖)」 was a kind of murul painting described old story goes that Sakyamuni caused the devil to surrender. This painting was developed interestingly and humorously as its idea a battle of witchcraft bet...

      「Nodochatusungbyunsangdo(勞度叉鬪聖變相圖)」 was a kind of murul painting described old story goes that Sakyamuni caused the devil to surrender. This painting was developed interestingly and humorously as its idea a battle of witchcraft between Buddhist and heathen surrounding the building of Jetavana vihara as main theme of the painting. The painting`s title was composed at the basis of 『Hyunukying(賢愚經)』 volume 10, number 41 「Sudalgijungsapum」 Nodochatusungbyunsangdo had appeared during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developed at the Dunhuang Caves about 400 years from Tang Period and Five Dynasties to Song Dynasty of China. Around the Dunhuang caves the painting title is able to deduce a great deal in the light of buddhist characteristic and political situations. The start point was that after this region had been forcibly occupied by tibet tribe for a long time this region was annexed by china after that time. The successive china dynasties had absolutely ruled the region and was enthusiastic about the buddhist affair. It appeared to me that they received the religious and popular mural theme as well as be of military use value, so that they had a justification to control drifting people. As Nodochatusungbyunsangdo which found at Dunhuang no. 196th grotto shows in the late Dunhuang mural style, it is worth to study its art history. Above all, as the production years of this mural paint shows such visible age as A.D. 893 - 894, the production years became the chronology standard to context mural style history. Moreover this painting shows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the ruling powers and Buddhist circle in that era. In relation to the painting style of this mural painting, I considered its composition, its characters, its color, and its line drawing. The composition of this mural painting was fulfilled on the dualistic literary work described both the formality in the painting and the meaty in the content at the discretion of painter. In due of understanding of human body and developing of expression techniques during Tang Period, this painting`s characters appeared to be a figure at the basis of reality, besides humorous turn and witty. On the one hand this painting`s landscape followed the tradition of former ages, but on the other hand its landscape pursued morphologic diversification in the picture. Its color was more monotonous than in former ages. But with seeking the mix use of color and line drawing its color and line drawing showed a transitional stage from the middle Tang period, through Five Dynasties period, to Song Dynasty of China, Its painting design was more simple than in the middle Tang period. However its ornamentation maintained ever during the ag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