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채소재배농가의 영양표시 및 농산물 브랜드 인지도 조사 =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by Vegetable Far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1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from vegetable farmers in order to draw out valuable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strength of brand commodities in Korean markets. Questionnair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from vegetable farmers in order to draw out valuable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strength of brand commodities in Korean market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vegetable farmers who were trainees at Nonghyup Ansung Agricultural Training Institute. Percentile requency distribution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labeling and brands among famers was evaluated by chi-square test. The famers expressed high concerns on both nutritional values and nutrient contents of vegetables, but were not active to publicize their nutritional values because of the lack of knowledge for foods and nutrition related to their products. They agreed that the nutrition labeling would be effective on the sales of products but requested proper assistance such as professional advice, proper education, financial supports, etc. They were well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rands and the neces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brands and/or symbol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aste and nutrition in order to distinct their product from others. They also pointed out the brand as a major factor to marketing their products and intended to have own brands although few farmers had own brands. The incom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nutrition and brand recognition. Most of those with higher income already had their own brands and used nutritional information to marke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the production and sales of high valuable agricultural commodities, it is necessary for farmers to have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nutrition and brands. This will eventually provide the appropriate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al values of agricultural brand products to the consum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2.1.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 2.2. 조사의 제한점
      •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2.1.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 2.2. 조사의 제한점
      •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 제1절 일반 사항
      • 1.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 제2절 식품 및 영양에 관한 사항
      • 2.1. 생산하는 작목의 영양적 가치에 대한 관심도
      • 2.2. 생산하는 작목의 영양소 함량에 대한 인지도와 함량 정보 입수 경로
      • 2.3. 작목이 가진 영양적 가치에 대한 홍보
      • 2.4. 농산물에 영양 및 건강관련 표시 내용
      • 2.5. 영양이나 건강관련 표시의 목적
      • 2.6. 영양표시가 농산물 판매에 미치는 영향
      • 2.7. 영양표시를 위한 필요사항
      • 2.8. 영양 및 건강관련 내용 표시에 대한 경제적 부담
      • 2.9. 영양 및 건강관련 내용을 표시를 위한 지원사항
      • 제3절 브랜드에 관한 사항
      • 3.1. 브랜드 인지도
      • 3.2. 재배 작물의 우월성
      • 3.3. 타인의 우월한 농산물
      • 3.4. 타인의 농산물과의 차별화를 위한 노력
      • 3.5. 농산물 판매시 브랜드의 중요도
      • 3.6. 독자적 브랜드의 유무 및 개발의 펼요성
      • 제4절 영양 및 브랜드의 전반적인 연관성와 상관관계
      • Ⅳ.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