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대사적 변화 = Effects of rope skipping type on the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c r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32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대혁.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대사적 변화.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25-34, 2004. 줄넘기 운동은 매우 격렬한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무산소 대사과정을 향상시키는 효...

      최대혁.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대사적 변화.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25-34, 2004. 줄넘기 운동은 매우 격렬한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무산소 대사과정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훈련방법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줄넘기 운동형태가 초등학생들의 성별 및 대사적 변인들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줄넘기 운동형태가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라 하지의 통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줄넘기를 3분 동안 120회를 지속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남여 각각 15명씩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2주 동안 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순서는 피험자를 일주일 간격으로 두발모아 뛰기와 번갈아 뛰기를 무작위로 실시하였다. 줄넘기운동형태에 따라 안정시, 운동직후, 안정시 3분대의 대사적 요인인 산소섭취량, 심박수, 호흡교환율, 젖산 및 Kcal, MET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성별 및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시점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유의수준 .05수준에서 이원반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실험결과, 줄넘기 형태에 따른 산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호흡교환율은 두발모아 뛰기가 1.05로서 번갈아 뛰기의 .82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7). 혈중젖산도 두발모아 뛰기가 4.71-5.25mmole로서 번갈아 뛰기의 3.82-3.99mmloe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 본 연주결과를 요약하면, 두종류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산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으나 번갈아 뛰기가 심박수, 젖산, 호흡교환율 등에서 두발모아 뛰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같은 횟수의 줄넘기 운동은 운동형태에 관계없이 비슷한 최대산소섭취량을 보이나 젖산생성은 번갈아 뛰기가 두발모아 뛰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D.H. Effects of rope skipping type on the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c rate. Exercise Science, 13(1): 25-34, 2004. Rope skipping is known as a very vigorous exercise but effective training for improving aerobic and anaerobic metabolism. This...

      Choi, D.H. Effects of rope skipping type on the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c rate. Exercise Science, 13(1): 25-34, 2004. Rope skipping is known as a very vigorous exercise but effective training for improving aerobic and anaerobic metabolism. This investigation examined the effects of rope skipping type on metabolic rate and sex differences of elementary student. Fifteen male and fifteen female elementary student recruited for rope skipping at 120r/min for 3min. They randomly assigned for alternative and two foot jump skipping trials with one week interval. Metabolic rate(oxygen consumption, HR, RER, Lactate) and energy expenditure(Kcal, MET) variables were measured at resting, after rope skipping and 3min recovery phas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 ANOVA for differences of sex and rope skipping type. Data were interpreted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on oxygen consumption following 2 kind of rope skipping type.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two foot jump style from alternative rope skipping style which means of RER were .823-.825(p<.007). The means of RER for two foot jump style exceeded 1.0 which indicated that young children were much relying on anaerobic sources. In addition, mean blood lact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wo jump style compare to alternative style for both sexes(p<.000). The present data showed that 4.71-5.25mmole for two jump and 3.82-3.99mmole for alternative style. Therefore, it seems like that alternative rope skipping style is much easier than two foot jump style. In conclusion, we verified that in case of the same rate of rope skipping, alternative rope skipping is the more efficient and comfort methods for elementary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년층 여성의 체력증진을 위한 적정운동 방법연구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논총" 1990

      2 "줄넘기 운동이 과체중 남자중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9 : 77-85, 1999

      3 "줄넘기 운동의 적정강도 설정" 1997

      4 "duration and affect in added-purpose versus single -purpose jumping activities" 25-30, 1989

      5 "Theory and application to fitness and performance" McGraw-Hill 502-505, 2001

      6 "The energy cost of rope skipping" 33-37,

      7 "The effect of rope skipping rate on energy expenditure of males and females" 295-298, 1980

      8 "Th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6-79, 1981

      9 "Essentials of exercise physiology" Lea & Febiger 22-77, 1994

      10 "Effect of high impact activity on bone mass and size in adolescent femal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diffe -rent types of sports" 67 (67): 207-214, 2000

      1 "중년층 여성의 체력증진을 위한 적정운동 방법연구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논총" 1990

      2 "줄넘기 운동이 과체중 남자중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9 : 77-85, 1999

      3 "줄넘기 운동의 적정강도 설정" 1997

      4 "duration and affect in added-purpose versus single -purpose jumping activities" 25-30, 1989

      5 "Theory and application to fitness and performance" McGraw-Hill 502-505, 2001

      6 "The energy cost of rope skipping" 33-37,

      7 "The effect of rope skipping rate on energy expenditure of males and females" 295-298, 1980

      8 "Th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6-79, 1981

      9 "Essentials of exercise physiology" Lea & Febiger 22-77, 1994

      10 "Effect of high impact activity on bone mass and size in adolescent femal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diffe -rent types of sports" 67 (67): 207-214, 2000

      11 "Aerobic requirements for and heart rate responses to variations in rope jumping techniques" 121-122,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운동과학회 -> 한국운동생리학회
      영문명 :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운동과학회 -> 한국운동생리학회
      영문명 :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1 0.674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