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Ⅱ(KEEP Ⅱ)의 직업계고 2학년 코호트 데이터를활용하여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노동시장 내에서의 지역 이동 특성을살펴보고,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18831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5-121(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Ⅱ(KEEP Ⅱ)의 직업계고 2학년 코호트 데이터를활용하여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노동시장 내에서의 지역 이동 특성을살펴보고,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하...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Ⅱ(KEEP Ⅱ)의 직업계고 2학년 코호트 데이터를활용하여 고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노동시장 내에서의 지역 이동 특성을살펴보고,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하여 이들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고졸 취업자의 지역 이동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방향성을 가지며, 특히 노동시장 진입 과정에서 많은 이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 이동은 더 나은 일자리의 취득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을보였다. 또한 랜덤 포레스트 분석 결과 이전 지역 대비 현재 지역의 기대소득, 사업체 수, 문화기반시설 수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특성이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job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using second-year vocational high-school cohort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KEEP II). Additionally, it sought to explore factors influen...
This study examined the job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using second-year vocational high-school cohort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KEEP II). Additionally, it sought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job migration using random forests. We identified the direction of the job migration of employed high-school graduates as being from non-capital areas to the capital area. Furthermore, we determined that migration was especially common when entering the labor market. These migrants tended to obtain better jobs. Additionally, through random forest analysis, the expected income, number of businesses, and extent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the current region compared to the previous region were found to be essential factor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is study presente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사회자본 관점에서 본 경력단절여성의 조직화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학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시계열 효과 분석
대학 졸업 청년층 취업자의 직업적응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와 대학에서 경험한 진로 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영향 분석
실업자직업훈련을 위한 지역이동 결정요인 분석: 비수도권 거주자 이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