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산동성 고등직업교육대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Young Faculty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Colleges -Focusing o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Colleg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51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직업교육대학의 교원은 학생들의 교육자, 기대자, 평가자이다. 동시에 고등직업교육 변혁의 실천자이자 촉진자이다. 청년 교원은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들의 직무 만족도가 높고 낮음은 교육의 질, 교원 안정성, 그리고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원 인력의 안정성과 전체 직업교육 시스템의 선순환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등직업교육대학 학생들이 교원의 교육 및 교원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에 비해, 청년 교원들의 직무 만족도는 학교의 일상적인 업무에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책과 제언을 제시하는 것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인재 양성을 위한 교원 기반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교육 행정 당국과 고등직업교육대학의 관련 개혁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의사결정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둥성에 위치한 6개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청년 교원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인간주의적 욕구 이론, 공정성 이론, 이중요인 이론, 기대 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근거로 하여, 엄격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통계 데이터 분석과 인터뷰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직업 정체성, 보상 및 복리후생, 근무 환경, 발전 및 승진, 대인 관계, 학교 관리, 사회적 지원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우리는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과 제언을 여덟 가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고등직업교육대학의 교원은 학생들의 교육자, 기대자, 평가자이다. 동시에 고등직업교육 변혁의 실천자이자 촉진자이다. 청년 교원은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

      고등직업교육대학의 교원은 학생들의 교육자, 기대자, 평가자이다. 동시에 고등직업교육 변혁의 실천자이자 촉진자이다. 청년 교원은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들의 직무 만족도가 높고 낮음은 교육의 질, 교원 안정성, 그리고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원 인력의 안정성과 전체 직업교육 시스템의 선순환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등직업교육대학 학생들이 교원의 교육 및 교원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에 비해, 청년 교원들의 직무 만족도는 학교의 일상적인 업무에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책과 제언을 제시하는 것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인재 양성을 위한 교원 기반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교육 행정 당국과 고등직업교육대학의 관련 개혁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의사결정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둥성에 위치한 6개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청년 교원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인간주의적 욕구 이론, 공정성 이론, 이중요인 이론, 기대 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근거로 하여, 엄격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통계 데이터 분석과 인터뷰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직업 정체성, 보상 및 복리후생, 근무 환경, 발전 및 승진, 대인 관계, 학교 관리, 사회적 지원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우리는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과 제언을 여덟 가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gher vocational college teachers play a critical role as educators, mentors, and evaluators of students, while also serving as practitioners and promoters of educational reform in vocational education. As the backbone of these institutions,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directly influences teaching quality, faculty stability, 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students.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not only contributes to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but also stabilizes the faculty team and promote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 contrast to the evaluation of teaching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in the daily operations of schools. Therefore, conducting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and proposing practical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can help effectively manage these teachers, consolidate the faculty foundation for talent development, and provide decision-making support for education authorities and the related reform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This study focuses on young teachers from six higher vocational colleges in Shandong Province, using humanistic needs theory, equity theory, Herzberg's two-factor theory, and expectancy theory as theoretical foundations. Through rigorous research methods, the study constructs a model of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and investigates the various factors impacting their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differences across different groups. Based on statistical data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compensation and benefits, work environment, career 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hool management, and social suppor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hile work pressur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from eight dimensions.
      번역하기

      Higher vocational college teachers play a critical role as educators, mentors, and evaluators of students, while also serving as practitioners and promoters of educational reform in vocational education. As the backbone of these institutions, the job ...

      Higher vocational college teachers play a critical role as educators, mentors, and evaluators of students, while also serving as practitioners and promoters of educational reform in vocational education. As the backbone of these institutions,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directly influences teaching quality, faculty stability, 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students.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not only contributes to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but also stabilizes the faculty team and promote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 contrast to the evaluation of teaching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in the daily operations of schools. Therefore, conducting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and proposing practical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can help effectively manage these teachers, consolidate the faculty foundation for talent development, and provide decision-making support for education authorities and the related reform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This study focuses on young teachers from six higher vocational colleges in Shandong Province, using humanistic needs theory, equity theory, Herzberg's two-factor theory, and expectancy theory as theoretical foundations. Through rigorous research methods, the study constructs a model of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and investigates the various factors impacting their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differences across different groups. Based on statistical data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compensation and benefits, work environment, career develop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hool management, and social suppor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hile work pressur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from eight dimens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 배경과 연구 의의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의의 3
      •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5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 배경과 연구 의의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의의 3
      •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5
      • 1) 연구 내용 5
      • 2) 연구 방법 6
      • 3. 혁신점 8
      • 4. 연구의 기본 프레임워크 9
      • 제 2 장 문헌 고찰 11
      • 1. 관련 연구 성과 11
      • 2. 연구 평가 20
      • 제 3 장 핵심 개념 정의와 관련 이론적 기초 23
      • 1. 핵심 개념 정의 23
      • 1) 고등직업교육대학 23
      • 2) 청년교원 23
      • 3) 직무 만족도 24
      • 2. 관련 이론적 기초 25
      • 1) ERG 이론 25
      • 2) 공정성 이론 26
      • 3) 2 요인 이론 27
      • 4) 기대 이론 28
      • 제 4 장 모델 구축 및 연구 가설 30
      • 1. 모델 구축 30
      • 2. 연구 가설 30
      • 1) 직업 정체성이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1
      • 2) 직무 스트레스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2
      • 3) 보상 및 복리후생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4
      • 4) 근무 환경이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5
      • 5)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대한 발전과 승진의 영향 36
      • 6) 대인 관계가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8
      • 7) 학교 관리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9
      • 8) 사회적 지원이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0
      • 제 5 장 연구 설계 및 표본 분석 42
      • 1. 설문지 설계 및 변수 측정 42
      • 1) 조사 설문지 설계 42
      • 2) 변수 측정 43
      • 2. 데이터 수집 50
      • 1) 조사 대상 및 표본 추출 50
      • 2) 사전 조사 상황 50
      • 3) 설문지 회수 현황 51
      • 3. 표본 특성 분포 51
      • 4.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53
      • 1) 신뢰도 분석 53
      • 2) 타당도 분석 54
      • 5. 인터뷰 설계 및 분석 59
      • 제 6 장 데이터 분석 및 가설 검증 61
      • 1. 기술 통계 분석 61
      • 2. 독립 표본 T 검정 및 일원 분산 분석 62
      • 1)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 차이 분석 62
      • 2) 연령대가 주요 변수에 미치는 차이 분석 63
      • 3) 결혼 상태가 주요 변수에 미치는 차이 분석 66
      • 4) 학력 수준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분석 67
      • 5) 직급에 따른 주요 변수 차이 분석 69
      • 6) 교직 경력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분석 71
      • 7) 임금 대우가 주요 변수에 미치는 차이 분석 74
      • 8) 전문 분야에 따른 주요 변수 차이 분석 76
      • 3. 상관 분석 78
      • 4. 회귀 분석 79
      • 5. 통계 분석 결과 논의 80
      • 1) 직업 정체성과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는 정적 관계 81
      • 2) 직무 스트레스과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간 부정적 상관성 연구 83
      • 3) 보상 및 복리후생는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들의 직무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 84
      • 4) 근무 환경과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 85
      • 5) 발전 및 승진과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 85
      • 6) 대인 관계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 87
      • 7) 학교 관리와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 87
      • 8) 사회적 지원과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관 89
      • 제 7 장 결론 91
      • 1. 연구 결과 91
      • 2. 대책 및 제언 92
      • 1)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청년 교원 직업 정체성 강화 93
      • 2)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청년 교원들의 직무 스트레스 완화 94
      • 3)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보상 및 복리후생 인센티브 체계 최적화 95
      • 4)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근무 환경 개선 97
      • 5)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발전 및 승진 경로 개방 98
      • 6) 고등직업교육대학 교원의 대인 관계 분위기 조성 99
      • 7) 고등직업교육대학의 관리 수준 향상 101
      • 8) 고등직업교육대학의 청년 교원 사회적 지원 체계 강화 103
      • 3. 연구의 한계와 미래 전망 105
      • 참고 문헌 105
      • 부록 118
      • 부록 1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조사 질문지 118
      • 부록 2 고등직업교육대학 청년 교원의 직무 만족도 인터뷰 지침 122
      • Abstract 1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