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 실태 및 인식조사 연구 =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Class Disruptive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2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급에서 발생하는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4,29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자료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초기 문항에 대해 전문가 6인의 내용 타당도 검토를 거친 후 연구자 간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베이몽키(SurveyMonkey)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응답 내용은 SPSS statistic subscription 20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약 68.3%의 교사가 수업방해행동을 경험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수업방해행동 유형에 따라 심각도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학교급(초·중·고)별 교사들의 경험 여부와 심각도에 대한 인식도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들이 경험하고 인식하는 수업방해행동의 발생빈도와 지속시간, 직·간접적 원인과 대처 방법 또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실태와 일반적인 인식을 토대로 보다 학교현장을 이해하고 교육적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학급에서 발생하는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4,29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자료와 선행연�...

      본 연구에서는 학급에서 발생하는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4,29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자료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한 초기 문항에 대해 전문가 6인의 내용 타당도 검토를 거친 후 연구자 간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베이몽키(SurveyMonkey)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응답 내용은 SPSS statistic subscription 20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약 68.3%의 교사가 수업방해행동을 경험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수업방해행동 유형에 따라 심각도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학교급(초·중·고)별 교사들의 경험 여부와 심각도에 대한 인식도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들이 경험하고 인식하는 수업방해행동의 발생빈도와 지속시간, 직·간접적 원인과 대처 방법 또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실태와 일반적인 인식을 토대로 보다 학교현장을 이해하고 교육적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 최중진, "회복적 생활교육이 초기 청소년의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7-53, 2018

      2 전효정, "학령기 아동의 교실 내 문제행동 지원방안 연구" 2013 (2013): 174-219, 2013

      3 김미선 ; 송준만,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07-227, 2006

      4 백승영 ; 이승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7-231, 2014

      5 이재분, "학교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과 대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3

      6 백혜명, "학교 청소년 수업 방해 행동과 창소년의 DiSC 행동유형간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9 (9): 123-141, 2007

      7 여희영,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대안학교 중등 학생들의 문제 행동, 삶의 질,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8 김희진,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Ⅳ: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9 장미순 ; 김진호, "초등학교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435-457, 2014

      10 김수연 ; 이대식, "초등학교 일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학급 내 문제행동 실태와 그 대처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83-201, 2008

      1 이혜경 ; 최중진, "회복적 생활교육이 초기 청소년의학급응집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7-53, 2018

      2 전효정, "학령기 아동의 교실 내 문제행동 지원방안 연구" 2013 (2013): 174-219, 2013

      3 김미선 ; 송준만,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07-227, 2006

      4 백승영 ; 이승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7-231, 2014

      5 이재분, "학교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과 대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3

      6 백혜명, "학교 청소년 수업 방해 행동과 창소년의 DiSC 행동유형간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9 (9): 123-141, 2007

      7 여희영,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대안학교 중등 학생들의 문제 행동, 삶의 질,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8 김희진,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Ⅳ: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9 장미순 ; 김진호, "초등학교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435-457, 2014

      10 김수연 ; 이대식, "초등학교 일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학급 내 문제행동 실태와 그 대처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83-201, 2008

      11 최진오, "초등교사의 문제행동 중재방법 활용실태 조사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29-248, 2009

      12 정초하 ; 안도희,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 및 학교 적응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81-408, 2016

      13 김형수 ; 이주영,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잠재계층유형 분석: 영향요인과 유형별 정서⋅행동문제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28 (28): 271-297, 2021

      14 이순형, "청소년의 가치지향과 생활만족의 관계 : 집합주의, 개인주의, 가족주의와 물질주의의 가치를 중심으로" 4 (4): 1-24, 1997

      15 정탁준, "청소년기의 인지적 특성과 도덕교육적 함의: ‘상상적 청중’과 ‘개인적 우화’를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189-214, 2016

      16 김인경, "청소년기 자아중심성과 관련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5 (5): 143-156, 1992

      17 조아미, "청소년 심리; 자아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 비행청소년의 문제행동결정요인" 5 (5): 27-43, 1998

      18 장미순 ; 김진호, "중학교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13-236, 2014

      19 김창호 ; 백은희 ; 김정민,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15-339, 2011

      20 김영미 ; 김혜리,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171-193, 2014

      21 Bambara, L. M.,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행동지원 [Individualized supports for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s: Designing positive behavior plans]" 학지사 2008

      22 이한우 ; 염동문,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문제행동 경험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57-274, 2016

      23 남영옥 ; 이상준, "일반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비교"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1-18, 2008

      24 장미경, "일반청소년과 문제행동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망의 특징과 도움추구태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1-18, 2012

      25 장재훈, "욕설, 수업방해, 무단이탈등 문제행동..교사 61% “하루 한 번 이상경험”"

      26 주소희, "아동·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우울, 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0 (10): 947-960, 2019

      27 경상남도교육청, "수업방해? 이렇게 예방해요! : 이음교실 선도학교 운영사례집"

      28 교육부, "사이버폭력 문제행동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생활지도 가이드북"

      29 이해경, "부모들이 지각한 청소년 행동문제들과 위기문제 실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65-192, 2012

      30 김영란,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문헌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81-106, 2009

      31 김성열, "모두가 행복한 학교만들기-중앙과 시·도교육청의 정책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3

      32 조재규,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동향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29-56, 2021

      33 이대식, "교사들이 지각한 초등학생들의 정서·행동 문제와 대처방안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9 (19): 283-302, 2003

      34 이해경, "교사들이 지각한 청소년 행동문제와 위기문제 현황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39-271, 2012

      35 OSEP Technical Assistance Center on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 Supports, "What is 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 supports?"

      36 Sawaka-Miller, K. D., "The third pillar : Linking positive psychology and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2 (2): 26-38, 2007

      37 Wagner, M. M., "Students’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single-sex mathematics in one coeducational school" University of California 2002

      38 Little, 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problem behaviours" 25 (25): 369-377, 2005

      39 OSEP Center on Pos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mplementers’ blueprint and self-assessment"

      40 Cameron, R. J., "School discipline in the United Kingdom : Promoting classroom behavior which encourages effective" 27 (27): 33-44, 1998

      41 Beaman, R., "Recent research on troublesome classroom behaviour : A review" 6 (6): 45-60, 2007

      42 Yeung, A, S.,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 The issue of sustainability of positive effects" 28 : 145-170, 2016

      43 Freeman, R., "Building inclusive school cultures using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 Designing effective individual support systems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31 (31): 4-17, 2006

      44 교육부, "2022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2022

      45 경상남도교육청, "2020. 수업방해 어떻게 해결할까?: 수업방해 해결 프로그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