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성폭력 예방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수행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 Effects of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2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성폭력 예방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D특수학교의5∼6학년 발달장애 아동 20명이다. 실험집단 아동들은 총 13회기에 걸쳐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중재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폭력 예방기술을 역할극을 통해 학습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은 선행연구에선 측정하지 않은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로 나누어 중재 전과 후에 역할극을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점수의 합) 점수가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을 3가지 상황유형(언어적 유인 상황, 신체적 접촉을 당하는 상황, 성적인 유인을 당하는 상황)으로 나누어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수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아동들은 3가지 상황유형 모두에서 ‘거절기술’ 수행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신고기술 수행은 ‘언어적 유인’ 상황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끝으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와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을 처음으로 거절기술과 신고기술로 나누어 측정한 것의 의의와 교육적 기여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성폭력 예방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성폭력 예방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D특수학교의5∼6학년 발달장애 아동 20명이다. 실험집단 아동들은 총 13회기에 걸쳐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중재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폭력 예방기술을 역할극을 통해 학습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은 선행연구에선 측정하지 않은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로 나누어 중재 전과 후에 역할극을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점수의 합) 점수가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잠재적 성폭력 위험상황을 3가지 상황유형(언어적 유인 상황, 신체적 접촉을 당하는 상황, 성적인 유인을 당하는 상황)으로 나누어 거절기술 및 신고기술 수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아동들은 3가지 상황유형 모두에서 ‘거절기술’ 수행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신고기술 수행은 ‘언어적 유인’ 상황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끝으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와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을 처음으로 거절기술과 신고기술로 나누어 측정한 것의 의의와 교육적 기여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에스더, "한 성폭력 피해자의 성폭력 예방교육 교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쭈구리’에서 ‘원더우먼’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3 (23): 67-96, 2020

      2 이윤희 ; 한유경 ; 김나영, "학교폭력 예방 정책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차이 분석 : 성폭력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5 (25): 31-50, 2018

      3 Mitchell, D., "특수교육요구 학습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증거기반 교수전략의 적용 [What really works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Using evidence -based teaching strategies]" 교육과학사 2018

      4 Gargiulo, R. M., "지적장애인 교육: 학교급별 교수전략[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intellectualdisability]" 교육과학사 2021

      5 박승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1, 2014

      6 김유리, "지적장애 초등 여학생을 위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77-198, 2013

      7 이현혜 ; 김정옥, "정신지체인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8 (8): 29-51, 2003

      8 박용숙 ; 박승희, "정신지체 여학생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6 (36): 1-28, 2002

      9 여성가족부, "장애인 성인권 교육 매뉴얼"

      10 김유리, "장애아동 학대의 원인과 학교의 예방적 역할" 특수교육연구소 9 (9): 71-89, 2010

      1 박에스더, "한 성폭력 피해자의 성폭력 예방교육 교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쭈구리’에서 ‘원더우먼’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3 (23): 67-96, 2020

      2 이윤희 ; 한유경 ; 김나영, "학교폭력 예방 정책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차이 분석 : 성폭력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5 (25): 31-50, 2018

      3 Mitchell, D., "특수교육요구 학습자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증거기반 교수전략의 적용 [What really works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Using evidence -based teaching strategies]" 교육과학사 2018

      4 Gargiulo, R. M., "지적장애인 교육: 학교급별 교수전략[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intellectualdisability]" 교육과학사 2021

      5 박승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1, 2014

      6 김유리, "지적장애 초등 여학생을 위한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77-198, 2013

      7 이현혜 ; 김정옥, "정신지체인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8 (8): 29-51, 2003

      8 박용숙 ; 박승희, "정신지체 여학생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6 (36): 1-28, 2002

      9 여성가족부, "장애인 성인권 교육 매뉴얼"

      10 김유리, "장애아동 학대의 원인과 학교의 예방적 역할" 특수교육연구소 9 (9): 71-89, 2010

      11 정승민, "장애아동 성폭력범죄에 대한 고찰"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165-186, 2012

      12 오은주 ; 방요순 ; 손보영 ; 황민지, "인형을 활용한 동그라미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293-307, 2017

      13 Saphira, M., "우리 아이들을 성폭력으로부터 지키기 위하여: 아동 성폭력의 예방과 치료 [For your child’s sake]" 나남 1995

      14 정채옥, "성학대 예방교육 접근 방법에 따른 유아의 성학대 이해 및 대처능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5 김신정 ; 박선정 ; 김성희 ; 강경아, "성폭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내용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18-530, 2013

      16 최경아 ; 진혜민, "성폭력 피해아동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85-206, 2014

      17 유정미 ; 방명애 ; 장역방,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99-117, 2016

      18 정선경, "사이버 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 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22 : 105-129, 2009

      19 김하영 ; 최선경, "발달장애 청소년의 성폭력예방을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성지식, 성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치안행정학회 12 (12): 23-46, 2015

      20 김승남 ; 유은정,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장애학생의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학급 중등부 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331-351, 2013

      21 김인혜 ; 신진숙, "멀티미디어 기반 활동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1, 2014

      22 김승훈, "동그라미(Circle)를 활용한 사회-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특수학급 장애 아동의 자기 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6 (56): 89-108, 2013

      23 전인아, "기능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지적장애아동의 성교육 효과" 23 (23): 1-21, 2010

      24 홍미영, "경계성 지능장애 여성의 성폭력⋅성매매 피해 예방방안" 여성가족개발원 2020

      25 김황용 ; 채말임, "‘동그라미(Circles)’를 활용한 사회-성 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77-99, 2011

      26 Kelly, M. P., "Why is changing health-related behaviour so difficult?" 136 : 109-116, 2016

      27 Goldfarb, E. S., "Three decades of research : The case for comprehensive sex education" 68 : 13-27, 2020

      28 Haseltine, B., "Teaching self-protection skills to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95 (95): 188-197, 1990

      29 Lumely, V. A., "Sexual abuse prevention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101 (101): 459-472, 1997

      30 Valenti-Hein, D., "Sexual abuse interview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ames Stanfield 1995

      31 Balogh, R., "Sexual abu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ses" 45 (45): 194-201, 2001

      32 Stobbe, K. J.,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sexual abuse in individua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A systematic review" 14 (14): 135-158, 2021

      33 Sullivan, P. M., "Maltreatment and disabilities :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al study" 24 (24): 1257-1273, 2000

      34 Reis, O, "Knowledge hardly translates to rea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sexual abuse prevention for gir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5 Lee, Y. K., "Evaluation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female Chinese adolesc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103 (103): 105-116, 1998

      36 Lumely, V. A., "Evaluation of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adult with mental retardation" 31 (31): 91-101, 1998

      37 Mansell, R., "Clinical finding among sexually abuse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36 (36): 12-22, 1998

      38 Kenny, M., "Child sexual abuse : From prevention to self-protection" 17 (17): 36-54, 2008

      39 Egemo-Helm, K. R., "An evaluation of in situ training to teach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to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22 (22): 99-119, 2007

      40 Giannakakos, A. 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afety response training" 29 (29): 64-121, 2020

      41 Hickson, L., "A closer look at interpersonal decision-making in adults with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103 (103): 209-224, 1998

      42 보건복지부, "2021 장애인학대 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