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실크아미노산을 탈색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크아미노산 함량을 0 g, 3 g, 6 g, 9 g을 첨가하여 실크아미노산 제형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16924
2024
Korean
실크아미노산 ; 모발 ; 추출물 ; 모질 ; 손상 ; 蚕丝氨基酸,头发,提取物,发质,损伤 ; Silk ; Hair ; Amino acid ; Hair texture ; Damage
KCI등재
학술저널
249-26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실크아미노산을 탈색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크아미노산 함량을 0 g, 3 g, 6 g, 9 g을 첨가하여 실크아미노산 제형제...
목적: 본 연구는 실크아미노산을 탈색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크아미노산 함량을 0 g, 3 g, 6 g, 9 g을 첨가하여 실크아미노산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하였다. 실크아미노산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와 손상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발의 밝기 변화를 알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L*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탈색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해 모발의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료 별 L* 값은 측정 결과 손상모보다 모든 시료의 밝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실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 할수록 밝기도 증가 함을 알 수 있었다. 인장강도 측정결과 손상모보다 펌베이스제, 실크아미노산을 첨가한 모든 시료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실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 역시 증가 하였다. 흡광도 측정결과 손상모보다 펌베이스제, 실크아미노산을 첨가한 모든 시료의 흡광도는 감소하였다. 실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 할수록 흡광도 역시 감소하였다. 광택 측정결과 손상모보다 펌베이스제의 광택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광택 역시 다시 증가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손상모와 실크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도포한 시료의 평균값과 통계분석결과 명도, 흡광도, 광택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로 인해 실크아미노산이 손상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천연 성분을 활용하여 손상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how silk amino acids affect the hair by applying them to bleached hair. Methods: A silk amino acid formulation was prepared by adding 0, 3, 6, and 9 g of silk amino acid content. The prepared formulation was applied to bleached...
Purpose: To investigate how silk amino acids affect the hair by applying them to bleached hair. Methods: A silk amino acid formulation was prepared by adding 0, 3, 6, and 9 g of silk amino acid content. The prepared formulation was applied to bleached hair. To determine the change in hair brightness, the L* value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er. Additionally, the hair’s tensile strength, absorbance using methylene blue, and gloss wer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amino acids affect bleached hair. Then we performed a comparison of data between the sample hair with the formulation agent containing silk amino acid and damaged hair. Results: Regarding brightness, the L* value for each sampl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damaged hair. Additionally, the brightness increased as the silk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Moreover, the tensile strength of all samples with perm-base and silk amino acid added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damaged hair. The tensile strength also increased as the silk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The absorbance of all samples with perm-base and silk amino acid added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damaged hair, and as the silk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the absorbance also decreased. Regarding gloss, the gloss of the samples with perm-bas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damaged hair. However, as the silk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the gloss also increased.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brightness, absorbance, and gloss between damaged hair and bleached hair with silk amino acid, suggesting that silk amino acids have an effect on damaged hair. In the future, studies investigating on whether various natural ingredients affect damaged hair are warranted.
엘더플라워(Sambucus nigra)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주름개선 및 항산화 효능 평가
파라페닐렌디아민으로 세포 독성 및 염증을 유도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Derma GenieTM-H002의 세포 보호 및 항염증 효과
학과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피부미용 관련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 소비자의 차별화된 기호가치 소비 브랜드군에 대한 담론의 비교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