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원불교 丹田住禪의 실제와 無時禪의 관계 = The Reality of Won Buddhism Dan-Jeon-Ju Seon and Its Relation to Musise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단전주선은 원불교 좌선법이다. 좌선이라 함은 마음에 있어 망념을 쉬고 진성을 나타내는 공부로,선(禪)을 하면 몸과 마음이 한결 같으며 정신과 기운이 상쾌하게 된다. 단전주는 좌선에만...

      단전주선은 원불교 좌선법이다.
      좌선이라 함은 마음에 있어 망념을 쉬고 진성을 나타내는 공부로,선(禪)을 하면 몸과 마음이 한결 같으며 정신과 기운이 상쾌하게 된다.
      단전주는 좌선에만 긴요할 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아서 몸에 원기가 충실해지고 심단(心丹)이 되어 능히 수명을 안보할 수 있다.
      단전주선 수련의 실제에 있어서는 첫째, 단전주와 단전주 호흡 수련으로 기본자세를 익히고, 둘째, 단전주 상태에서 가늘고 긴 호흡수련을 통하여, 셋째, 점진적으로 몸과 마음과 호흡까지 놓아버리고깊은 선정삼매에 들어가게 된다.
      단전주선의 공덕은 크게 두 가지로 마음공부 공덕과 부수적인 효과로 분류하였다.
      단전주선과 무시선은 그 원리와 목적이 크게 다르지 않고, 조용할때 앉아서 하는 단전주선의 원리를 응용하여 생활 속에서 하는 선이무시선(無時禪)이다.
      그러므로 무시선은 좌선의 방법인 단전주선의 연장선상에 있고,단전주선으로 기초를 닦아서 무시선에 이르게 하는 마음공부로써 단전주선과 무시선이 관계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n-Jeon-Ju Seon(丹田住禪) is a way of sit-in-meditation(坐禪) practiced in Won Buddhism. Dan-Jeon-Ju(丹田住) is necessary to sit-in-meditation, and it is also good for health. Its practice makes the body filled with vitality,thereby forming ...

      Dan-Jeon-Ju Seon(丹田住禪) is a way of sit-in-meditation(坐禪) practiced in Won Buddhism. Dan-Jeon-Ju(丹田住) is necessary to sit-in-meditation, and it is also good for health. Its practice makes the body filled with vitality,thereby forming Simdan(心丹) that can possibly secure the span of life.
      The practical side of Dan-Jeon-Ju Seon is as follows. First, practice basic posture through Dan-Jeon-Ju and Dan-Jeon-Ju breathing. Second, in the state of Dan-Jeon-Ju practice thin and long breathing. Third, by gradually releasing body, mind, and breathing go deep into samādhi(三昧).
      Dan-Jeon-Ju Seon has no different principle and purpose from Musiseon (無時禪), a mind study, which is meditation practiced in daily life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Dan-Jeon-Ju Seon done in a quiet time. Thus Musiseon is an extension of Dan-Jeon-Ju Seon, accounting for the relation between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광, "호흡수련과 기의 세계" 정신세계사 2004

      2 전성일, "호흡 건강의 기적(단전호흡의 혁명)" 시몬 1990

      3 동국역경원, "한글대장 坐禪三昧經 外" 1999

      4 한당, "천서" 세명문화사 1993

      5 이희익, "좌선-선 공부하는 要訣-" 경서원 1988

      6 關田一喜, "좌선의 구조와 실천" 경서원 1989

      7 中川米造, "종교와 의료"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2 : 1998

      8 "정전"

      9 오선명, "정산종사 법설" 월간 원광사 2000

      10 大光 에리사, "전 인류에게 고함" 대도대한 1999

      1 전영광, "호흡수련과 기의 세계" 정신세계사 2004

      2 전성일, "호흡 건강의 기적(단전호흡의 혁명)" 시몬 1990

      3 동국역경원, "한글대장 坐禪三昧經 外" 1999

      4 한당, "천서" 세명문화사 1993

      5 이희익, "좌선-선 공부하는 要訣-" 경서원 1988

      6 關田一喜, "좌선의 구조와 실천" 경서원 1989

      7 中川米造, "종교와 의료"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2 : 1998

      8 "정전"

      9 오선명, "정산종사 법설" 월간 원광사 2000

      10 大光 에리사, "전 인류에게 고함" 대도대한 1999

      11 이부영, "의료와 종교문화-그 상호 관계의 역사적 변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2 : 1998

      12 이동호, "의료와 종교문화"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3 : 1999

      13 김열권, "위빠싸나 Ⅰ" 불광출판사 1993

      14 강건기, "위빠사나 선과 정신건강" 원광대학교 원불교 사상연구원 23 : 1999

      15 "원불교사전"

      16 손정윤, "원불교 용어사전" 원광출판사

      17 김영두, "원불교 선의 형성과정, In 원불교 수행론 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1996

      18 송천은, "원불교 선의 기초적 입지, In 원불교 수행론 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1996

      19 한기두, "원불교 선수행의 특징" 한국원불교학회 2 : 1997

      20 김성장, "원불교 마음공부 개념에 대한 연구" 29 : 2005

      21 향산 안리정, "원불교 교전 解義" 원불교출판사 1997

      22 "원불교 교전"

      23 박병수, "원불교 丹田에 관한 연구" 한국원불교학회 (1) : 1996

      24 율정, "심신초월건강법" 대오출판사 2000

      25 안지영, "실용 단전호흡" 하서출판사 1987

      26 한기두, "스트레스와 선" 원불교사상연구원 21 : 1997

      27 박희준, "선의 이해를 위하여" 대원정사 1988

      28 정귀원, "선, 어떻게 할 것인가" 한맘 2009

      29 村木弘昌, "석존의 호흡법" 경서원 1993

      30 엄영문, "상호 보완적 관계호서의 명상과 최면" 2007

      31 정현갑, "삶의 질을 높이는 이완ㆍ명상법" 학지사 2005

      32 정태혁, "붓다의 호흡과 명상 Ⅰ" 정신세계사 1991

      33 류경희, "불안과 평정으로서의 종교" 서광사 1995

      34 김영두, "불교와 원불교의 선사상"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9

      35 김성장, "대학의 불교 교육에 있어서 신앙 수행 깨달음의 문제" 27 : 2004

      36 "대종경"

      37 "대산종사 법문집 1집" 인터넷경전

      38 김영헌, "대뇌 호흡혁명" 하남출판사 2003

      39 高橋賢, "단전호흡의 비결" 일신서적 1997

      40 무라기 히로마사, "단전호흡법" 태웅 1994

      41 이규행, "단전호흡과 정신문화" 중앙일보 이코노미스트 2000

      42 황준식, "단전호흡 및 흉식호흡이 체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 氣와 21세기" 양문 1998

      43 이승헌, "단전호흡" 대원사 1992

      44 김성장, "단전주선의 원리와 일분을 기초로 하는 단전주 파동호흡" 한국정신과학학회 2009

      45 김성장, "단전주 선의 새로운 연구 -일분 호흡을 기초로 하는 단전주 선(丹田住 禪)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40 (40): 57-88, 2008

      46 고광석,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 5분 건강지압과 호흡요법"

      47 이승헌, "뇌호흡 2" 한문화 2001

      48 김낙필, "내단사상과 원불교 단전주선법" 원불교사상연구원 30 : 2005

      49 윤종모, "나무마을 윤신부의 치유명상" 정신세계사 2004

      50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구도자 요가난다-나는 히말라야의 요기였다" 정신세계사 1985

      51 김정제, "경락이론과 명상" 한국학술정보 2006

      52 이동현, "건강기공" 정신세계사 1990

      53 오선명, "禪-나와 대우주의 하나된 호흡" 동촌 2002

      54 동국역경원, "禪의 饗宴" 1993

      55 한기두, "禪과 無時禪의 연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5

      56 박병운, "氣와 21세기" 양문 1998

      57 大韓佛敎金輪會, "正統禪의 향연" 1989

      58 김무득, "止觀坐禪法" 경서원 1987

      59 김영헌, "新仙道" 하남출판사 1993

      60 오선명, "性理-나와 대우주의 친밀한 대화" 동촌 2002

      61 "如來藏, 대산 종법사 법문집 5집" 1994

      62 伍沖虛, "天仙正理" 여강 1994

      63 宗賾禪師, "坐禪儀, In 禪의 향연" 청문각 1993

      64 "佛祖要徑 휴휴암좌선문" 원불교출판사

      65 조성우, "仙人 명상법" 명문당 1993

      66 김영헌, "3주 만에 깨달음을 얻는 대뇌호흡 혁명" 하남출판사 2003

      67 김성장, "21세기 종교의 기능과 원불교" 34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