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숲 놀이터에서 개정누리과정 놀이중심을 지향하는 장애 유아의 놀이 실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8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을 바탕으로 장애 유아와 일반유아의 교수학습적 통합 및 사회적 통합을 위한 실행연구를 하고, 효율적인 실행과정과 의...

      본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을 바탕으로 장애 유아와 일반유아의 교수학습적 통합 및 사회적 통합을 위한 실행연구를 하고, 효율적인 실행과정과 의미있는 변화의 모습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충남의 중소도시에 위치한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만 4세 일반유아와 장애 유아가 숲에서의 놀이를 통하여 이러한 통합교육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담임교사, 특수교사, 보조교사 및 연구자는 상호 협의하고 지원하였다.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교사들은 장애 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놀이할 수 있는 실외 공간 확보, 다양한 놀이자료 제공 및 놀이시간 확충 등의 물리적 지원을 하였으며, 숲에서의 놀이가 익숙하지 않은 유아들을 위하여 초기에는 놀이를 구상하여 제안하였고, 후기에는 자유놀이, 놀이의 결과물 유지 및 반복놀이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숲놀이터에서 유아주도적인 놀이를 하고, 진정한 장애 유아 통합놀이가 나타났다. 숲에서의 놀이는 장애 유아와 일반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좋은 교수학습적 요소로 활용되었으며, 더 쉽게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데 활용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n action research which implemented instruc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inclusi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following the play-based approach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purpose o...

      This study presents an action research which implemented instruc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inclusi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following the play-based approach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 procedure of action research for the inclusion education and meaningful changes in the forest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 teach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an assistant cooperated and supported the four-year old children in Chungnam, in order for them to have a meaningful inclusion education in the forest. Teachers supported physically by seeking appropriate outdoor play spaces, providing resources and materials and making enough time for play. They also planned and provided activities for children to do in the forest at the beginning, the action research and later, increased free play time, kept the structures made through the play and led children with disability to do the same play repeatedly. As results of the action research, children did child-initiated play and experienced proper meaningful inclusion education. The activities in the forest were good instructional elements for inclusion education and promoted social integration.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the teachers, found to be critical elements in the successful inclusi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내용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내용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6

      2 정설희 ; 안연경, "통합어린이집 교실에서 나타나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적 관계 분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53-478, 2009

      3 배정희 ; 조윤경, "통합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와 장애전담교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85-111, 2009

      4 이제화,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동향 분석 : 국내 실험연구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8, 2011

      5 이대균 ; 백경순, "통합교육 유치원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자유놀이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 -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29-358, 2006

      6 황정희 ; 정계숙, "통합 유치원 일반유아의 특수유아에 대한 거부적 태도 탐구" 한국아동학회 32 (32): 115-134, 2011

      7 원계선 ; 전인수, "장애통합 어린이집 장애유아의 숲유치원 활동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241-267, 2014

      8 김정미 ; 김상림,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교사의 개념지식" 한국보육학회 18 (18): 267-277, 2018

      9 정계숙 ; 하은실, "장애유아의 숲유치원 경험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79-200, 2012

      10 강성리 ; 조현근,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405-430, 2020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6

      2 정설희 ; 안연경, "통합어린이집 교실에서 나타나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사회적 관계 분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53-478, 2009

      3 배정희 ; 조윤경, "통합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와 장애전담교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85-111, 2009

      4 이제화,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동향 분석 : 국내 실험연구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8, 2011

      5 이대균 ; 백경순, "통합교육 유치원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자유놀이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 -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29-358, 2006

      6 황정희 ; 정계숙, "통합 유치원 일반유아의 특수유아에 대한 거부적 태도 탐구" 한국아동학회 32 (32): 115-134, 2011

      7 원계선 ; 전인수, "장애통합 어린이집 장애유아의 숲유치원 활동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241-267, 2014

      8 김정미 ; 김상림,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교사의 개념지식" 한국보육학회 18 (18): 267-277, 2018

      9 정계숙 ; 하은실, "장애유아의 숲유치원 경험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179-200, 2012

      10 강성리 ; 조현근,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405-430, 2020

      11 박현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 협력 방안 고찰" 31 (31): 37-52, 2000

      12 김경숙,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의 운영 실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87-211, 2006

      13 강상 ; 권정심 ; 신지혜,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23-46, 2012

      14 유종은 ; 최윤희 ; 박나리,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이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7 (7): 97-116, 2012

      15 김경숙, "장애 유아통합교육방법" 양서원 2003

      16 이소현, "장애 유아를 위한 일반유아교육과정 기반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18 (18): 1-36, 2019

      17 나귀옥 ; 고영미 ; 유영의 ; 김경희, "자연친화적 환경의 실외놀이에서 유아가 보이는 웰빙 모습 및 관련 요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201-233, 2020

      18 김경희, "자연적 공간에서의 자유놀이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35-253, 2017

      19 장영숙 ; 송미라, "자연산책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311-332, 2005

      20 양진희,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관한 의미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9-175, 2005

      21 이소현, "유치원 통합교육을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안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1-135, 2007

      22 이수정 ; 이소현, "유치원 일과와 활동에 삽입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이 일반유아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수용도 및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32, 2011

      23 나귀옥 ; 김경희 ; 김화, "외부 전문가와 내부 구성원의 지원 및 협의를 통한유아교육기관 내 실외놀이 개선 실행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125-148, 2017

      24 전순한 ; 임영심 ; 류기덕 ; 남재우,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47-67, 2017

      25 이명환, "숲유치원의 교육학적 원리와 실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25-152, 2006

      26 이종헌 ; 이재욱,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89-119, 2011

      27 나귀옥 ; 김경희, "숲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적 공간에서의 놀이활동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39-165, 2012

      28 박현옥, "상황이야기 중재가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비장애유아의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65-82, 2006

      29 강승희 ; 황순영 ; 김봉희, "산책활동이 발달장애 유아의 경험에 주는 의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71-191, 2008

      30 배지희, "또래관계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기술:친구관계와 비친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63-84, 2006

      31 원계선, "개정 누리과정과 통합된 장애유아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5 (5): 1-26, 2020

      32 김지현, "‘장애 유아를 위한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방안 적용이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69-87, 2020

      33 Blanchet-Cohen, N, "Young children and educators engagement and learning outdoor : A basis for rights-based programming" 22 (22): 757-777, 2011

      34 Kemmis, S., "The action research planner" Springer 2014

      35 Bilton, H,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 Management and innovation" David Fulton 2010

      36 Ouvry, M, "Exercising muscles and minds: Outdoor play and the early years curriculum" National Early Years Network 2003

      37 Croark, C. J., "Evidence-based practices and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orwin Press 2007

      38 Creswell, J. W,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008

      39 Snell, M., "Collaborative teaming: Teacher's guide to inclusive practic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0

      40 Kauffman, J., "Alternatives for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Love 35-54, 1975

      41 교육부, "2019 개정누리과정(해설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