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한 구강건강행위 관련 요인 분석 = Study 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 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932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강건강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효과적인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강보건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

      본 연구는 구강건강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효과적인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강보건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 및 강원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년제 치과계열(치기공과, 치위생과)과 2년제 일반계열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10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 12일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하고 429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ANOVA, χ²-test, 요인분석,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구강건강행위의 실천 정도는 치과계열에서 전체 평균 29.8점(총점50점)이었고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올바른 잇솔질(5점 척도 평균 3.9점)이었고 일반계열은 전체 평균 26.6점(총점 50점)으로 실천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술, 담배 절제(5점 척도 평균 3.8점)였다. 요인분석에 의해 구강건강행위는 요인 1 주기적인 구강검진, 스케일링 및 치실 사용과
      요인 2 식후 잇솔질, 올바른 잇솔질 및 술, 담배 절제, 요인 3 불소 함유 세치제 및 용액 사용과 요인 4 식습관 (설탕 섭취 제한, 충분한 영양섭취) 4가지로 구분되었다.
      둘째, 구강건강행위와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구강건강 행위 요인1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관심도, 자기효능감,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장애이고 구강건강 행위 요인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관심도, 자기효능감,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혜택, 구강건강통 제위로 나타났고 구강건강행위 요인3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관심도,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혜택, 구강건강통제위로 나타났다. 구강건강행위 요인4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가 없었다.
      셋째, 구강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구강건강행위 요인1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구강보건교육, 최근 1년내 구강건강검진, 치과예방처치와 구강건강행위장애와 구강건강행위혜택 변수가 영향을 미쳤고, 구강건강행위 요인2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과 구강건강 관심도, 구강건강통제위, 인지된 구강건강상태가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구강건강행위 요인3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구강건강관심도와 자기효능감이였고, 구강건강행위 요인4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지역과 구강건강의 중요성이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강건강행위를 측정하는 변수가 객관적이고 정확한 연구도구로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대학생들의 구강건강행위를 유도하기 위한 구강건강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도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cess and to develop effective oral health promot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modifying factors that may aff...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cess and to develop effective oral health promot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modifying factors that may affect their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ir cognitive and perceptive factors.
      Data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college students who attend colleges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Kangwon province for the period between October 20, 2000 and October 31, 2000. The respondents were chosen from Dental department and Non-Dental department. After omitting the responses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429 valid responses are used for this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are used by the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 percentile, arithmetic average, t-test, ANOVA,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dental Department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oral health behaviors questions is 29.8(The total score of 50) and in Non-Dental Department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oral health behaviors questions is 26.6(The total score of 50). The highest score is the correct teeth-brushing with the average score of 3.9 on a scale of 1-5 in Dental Department while the highest score is the self-restraint of liquor and cigarettes with the average score of 3.8 on a scale of 1-5 in Non-Dental Department.
      Second, from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perception-awareness factors,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first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the concern about oral health, self-efficiency, oral health status and the barriers to oral health behaviors.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second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the concern about oral health, self-efficiency, oral health status,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 control of oral health.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third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the concern about oral health, self-efficiency,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 control of oral health. Variable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fourth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is nothing.
      Third, multiple regression is used to determine major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haviors.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first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oral health examination within one year, the preventing treatment of oral disease, the barriers to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s.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second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the sex, the concern about oral health, oral health status and the control of oral health.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third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the concern about oral health and self-efficiency.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fourth oral health behavior factors are a region and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inally variables which measure oral health behaviors should be developed by objective and accurate study methods. Study o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s continually progressed for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국문요약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차례
      • 국문요약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3
      • Ⅱ. 문헌 고찰 = 4
      • 1. 대학생의 성장 발달 특성 = 4
      • 2. 구강건강과 구강건강행위 = 5
      • 3. 건강증진모형 = 7
      • Ⅲ. 연구 방법 = 9
      • 1. 연구의 설계 = 9
      • 2. 연구대상 = 12
      • 3. 연구도구 = 12
      • 4. 자료분석방법 = 17
      • Ⅳ. 연구 결과 = 18
      • 1. 응답자의 특성 = 18
      • 2. 응답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행동 = 20
      • 가. 행동적 요인 특성 = 20
      • 나. 인지-지각 요인 특성 = 22
      • 다. 구강건강행위 특성 = 26
      • 3. 구강건강행위와 관련요인 = 29
      • 가. 조정요인과 인지-지각요인과의 관계 = 29
      • 나. 조정요인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계 = 33
      • 다. 인지-지각요인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계 = 37
      • 라. 구강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 39
      • Ⅴ. 고찰 = 43
      • Ⅵ. 결론 = 48
      • 참고문헌 = 50
      • 부록(설문지) = 56
      • ABSTRACT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