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의 국가브랜드 향상을 위한 외교전략 연구 = A Study on Diplomatic Strategy for Enhancing Korea’s National Br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1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brand which involves the image and reputation of a specific nation, is nonmaterial resources and a kind of soft power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coercive. The national brand is one of easier soft powers for small-medium nations to enhance and exercise, as a major soft power open to them.
      Korea ranked the 27th at the NBI evaluation by Anholt-GfK in 2011, and ranked the 19th~20th at the self-developed index by the Korea National Brand Committee, showing the serious gap between the hard powers and the national br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Korea National Brand Committee is likely to take a business-level approach that includes excessive PRs and marketing activities, rather than treating the national brand as a soft power. Furthermore, its framework is based on vulnerable legal system, difficult to secure authority, accountability and sustainability.
      It is indicated that efforts to elevate Korea’s national brand should involve conducive diplomacy, such as expansion of ODA, active participation in PKO,initiation of development experience. But, such efforts to expand international contribution are not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it.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of conducive diplomacy, it is suggested that the area for post-division peace diplomacy should be broad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image as a divided nation in ongoing conflict between two Koreas, the most disadvantageous cause to damage the national brand image.
      Besides, in consideration that public diplomacy is a key means to raise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orea, through communication and network, it is urgent to lay out dramatic measures to reinforce it, including setting up a public diplomacy headquartersaffiliated to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n terms of more fundamental consideration for the argumentative traits of the national brand, it is necessary to exploit ‘identity diplomacy’ to move forward diplomatic branding that certainly reflects our strategic status and benefits, as well as actively involved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national brand image.
      번역하기

      The national brand which involves the image and reputation of a specific nation, is nonmaterial resources and a kind of soft power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coercive. The national brand is one of easier soft powers for small-medium nations to enhan...

      The national brand which involves the image and reputation of a specific nation, is nonmaterial resources and a kind of soft power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coercive. The national brand is one of easier soft powers for small-medium nations to enhance and exercise, as a major soft power open to them.
      Korea ranked the 27th at the NBI evaluation by Anholt-GfK in 2011, and ranked the 19th~20th at the self-developed index by the Korea National Brand Committee, showing the serious gap between the hard powers and the national br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Korea National Brand Committee is likely to take a business-level approach that includes excessive PRs and marketing activities, rather than treating the national brand as a soft power. Furthermore, its framework is based on vulnerable legal system, difficult to secure authority, accountability and sustainability.
      It is indicated that efforts to elevate Korea’s national brand should involve conducive diplomacy, such as expansion of ODA, active participation in PKO,initiation of development experience. But, such efforts to expand international contribution are not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it.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of conducive diplomacy, it is suggested that the area for post-division peace diplomacy should be broad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image as a divided nation in ongoing conflict between two Koreas, the most disadvantageous cause to damage the national brand image.
      Besides, in consideration that public diplomacy is a key means to raise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orea, through communication and network, it is urgent to lay out dramatic measures to reinforce it, including setting up a public diplomacy headquartersaffiliated to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n terms of more fundamental consideration for the argumentative traits of the national brand, it is necessary to exploit ‘identity diplomacy’ to move forward diplomatic branding that certainly reflects our strategic status and benefits, as well as actively involved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national brand im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특정국가에 대한 이미지와 평판을 의미하는 국가브랜드는 비물질적 자원이며 강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프트 파워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브랜드는 소프트 파워 중에서도 비교적 중소국이 증진하거나 행사하기에 용이한 범주에 속하며 중소국에게 열려 있는 대표적 소프트 파워이다. 한국은 2011년 기준으로 Anholt-GfK사의 NBI 평가에서 27위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자체 개발한 지수에서도19~20위를 기록하는 등 하드 파워와 국가브랜드 사이에 심각한 괴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가브랜드위원회는 국가브랜드를 소프트 파워 차원에서 다루기보다는 지나치게 PR과 마케팅 등 비즈니스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또한, 법제도적 기반의 취약성으로 인해 권한과 책임,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한국의국가브랜드 향상을 위해서는 ODA 확대, PKO 적극 참여, 발전경험의 전수 등 주로 기여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된다. 그러나 국제적 기여 확대가 우리의 국가브랜드제고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기여외교의 확대 이외에 한국의 국가브랜드 저하의 최대 요인으로 지적되는 분단국과 남북대결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한 탈분단 평화외교의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는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제고할 수 있는 소통과 네트워크의 핵심적 수단으로서 외교부 산하에 공공외교본부의 설치 등 이를 강화하기 위한 획기적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국가브랜드의 담론적 속성에 착안하여 그 생산과 유통에 적극적으로관여하는 한편, 우리의 전략적 지위와 이익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외교 브랜딩을추진하는 ‘정체성 외교’의 개척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특정국가에 대한 이미지와 평판을 의미하는 국가브랜드는 비물질적 자원이며 강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프트 파워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브랜드는 소프트 파워 중에서도 비교적 ...

      특정국가에 대한 이미지와 평판을 의미하는 국가브랜드는 비물질적 자원이며 강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프트 파워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브랜드는 소프트 파워 중에서도 비교적 중소국이 증진하거나 행사하기에 용이한 범주에 속하며 중소국에게 열려 있는 대표적 소프트 파워이다. 한국은 2011년 기준으로 Anholt-GfK사의 NBI 평가에서 27위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자체 개발한 지수에서도19~20위를 기록하는 등 하드 파워와 국가브랜드 사이에 심각한 괴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가브랜드위원회는 국가브랜드를 소프트 파워 차원에서 다루기보다는 지나치게 PR과 마케팅 등 비즈니스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또한, 법제도적 기반의 취약성으로 인해 권한과 책임,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한국의국가브랜드 향상을 위해서는 ODA 확대, PKO 적극 참여, 발전경험의 전수 등 주로 기여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된다. 그러나 국제적 기여 확대가 우리의 국가브랜드제고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기여외교의 확대 이외에 한국의 국가브랜드 저하의 최대 요인으로 지적되는 분단국과 남북대결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한 탈분단 평화외교의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는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제고할 수 있는 소통과 네트워크의 핵심적 수단으로서 외교부 산하에 공공외교본부의 설치 등 이를 강화하기 위한 획기적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국가브랜드의 담론적 속성에 착안하여 그 생산과 유통에 적극적으로관여하는 한편, 우리의 전략적 지위와 이익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외교 브랜딩을추진하는 ‘정체성 외교’의 개척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브랜드위원회, "주한외국인 대상 한국 이미지 조사결과" 2009

      2 국가브랜드 경영연구소, "문화를 통한 국가브랜드 제고 전략" 2003

      3 "대통령령 제21283호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에 관한 규정」 제정 2009.1.30"

      4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제5차 보고회의 자료"

      5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제4차 보고회의 자료"

      6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제2차 보고회의 자료"

      7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재3차 보고대회 자료"

      8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재1차 보고대회 자료"

      9 KOTRA 국가브랜드관리본부, "국가 브랜드 현황 조사 결과보고서" 2009

      10 KOTRA, "국가 브랜드 현황 조사" 2009

      1 국가브랜드위원회, "주한외국인 대상 한국 이미지 조사결과" 2009

      2 국가브랜드 경영연구소, "문화를 통한 국가브랜드 제고 전략" 2003

      3 "대통령령 제21283호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에 관한 규정」 제정 2009.1.30"

      4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제5차 보고회의 자료"

      5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제4차 보고회의 자료"

      6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제2차 보고회의 자료"

      7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재3차 보고대회 자료"

      8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재1차 보고대회 자료"

      9 KOTRA 국가브랜드관리본부, "국가 브랜드 현황 조사 결과보고서" 2009

      10 KOTRA, "국가 브랜드 현황 조사" 2009

      11 이명박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12 이명박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13 이명박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14 "http://www.koreabrandnet/gokr/kr/pcnb/gokr_pcnb_polnews_list.do"

      15 "http://www.gfkamerica.com"

      16 "http://www.eastwestcoms.com"

      17 "http://www.countrybrandindex.com"

      18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소득 2만 달러 시대, 한국의 국가브랜드 현황" 2008

      19 Sohn, Yul, "The Power of Soft Power:Great Power’s Discourse, Middle Power’s Strategy" MOFAT 2009

      20 Nye, Joseph, "The Paradox of American Power" Oxford Univ. Press 2002

      21 Melissen, Jan, "The New Public Diplomacy:Soft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Palgrave Macmillan 2005

      22 Anholt, Simon, "The Nation as a Brand" Across the Board 2000

      23 Wastberg, Olle, "Sweden, IKEA and the Nation Brand as Soft Power" MOFAT 2009

      24 Fortner, Robert S., "Public Diplomacy and International Politics" Praeger 1994

      25 동아시아연구원, "Global Views 2008:동아시아의 소프트파워" 동아시아연구원 2008

      26 Peterson, Peter G., "Finding America’s Voice:A Strategy for Reinvigorationg U.S. Public Diplomacy"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3

      27 East West Communications, "East West Global Index 200" East West Communications 2011

      28 Future Brand, "Country Brand Index 2008" Future Brand 2008

      29 Anholt, Simon, "Competitive Identity" PALGRAVE MACMILLAN 2007

      30 Tuch, Hans N., "Communicating with the World:U.S. Public Diplomacy Overseas" St.Martin’s Press 1990

      31 Anholt, Simon, "Brand America-The Mother Of All Brands" Independent Pub Group 2005

      32 Anholt, Simon, "Anything Wrong With Korea’s Image Today?" KOREA TIMES 2008

      33 GfK Roper Public Affairs & Media, "Anholt-GfK Roper Nation Brands Index-2008 Highlights Report" GfK Roper Public Affairs & Media 2008

      34 CSIS, "A Smarter, More Secure America, In Report of the CSIS Commission on Smart Power" 2008

      35 국가브랜드위원회, "2011 국가브랜드지수 조사결과" 2012

      36 이명박 대통령, "2010년 신년 국정연설"

      37 국가브랜드위원회, "2010 국가브랜드지수 조사결과" 2010

      38 국가브랜드위원회, "2009 국가브랜드지수 조사결과" 2009

      39 산업정책연구원, "2007~2011 IPS 국가브랜드 가치 평가" 산업정책연구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