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level rise is a pressing concer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2018, the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included the topic of ‘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 in its long-term program of work. Th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19491
임예준 (고려대학교)
2022
Korean
해수면 상승 ; 국가성 ; 존속요건 ; 국가 존속의 추정 ; 국제법위원회 ; Sea-level Rise ; Statehood ; Continuative Elements ; Presumption of State Continuity ; ILC
KCI등재
학술저널
263-300(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a-level rise is a pressing concer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2018, the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included the topic of ‘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 in its long-term program of work. The ...
Sea-level rise is a pressing concer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2018, the 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 included the topic of ‘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 in its long-term program of work. The syllabus for the topic suggested three issues as sub-topics to be examined concerning the legal implications of sea-level rise: the law of the sea, statehood, and the protection of persons affected by sea-level rise. In 2019, the ILC decided to include the topic in its program of work and established an open-ended Study Group. In 2021 the Study Group discussed the first sub-topic of the law of the sea, and in 2022, issues relating to statehood and the protection of persons affected by sea-level rise were discussed.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cussion of the ILC Study Group on the sub-topic of statehood,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uss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ILC in dealing with statehood. Statehood in relation to sea-level rise is an issue that deserves considerable caution. The consequences of sea-level rise for statehood are an existential matter of sovereign States and are related to the foundational aspect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discussion of the issue is prima facie limited in that there is no generally accepted notion of ‘State’ and in that the ‘continuative elements’ for statehood are not addressed in international law. Since there is no record of situations where the territory of a State has been completely submerged or rendered uninhabitable, discussion of the issue is challenging for the ILC in terms of its materials and methodology, to deal with a purely speculative scenario lacking State practice. Moreover, the nature of the issue means it is easier to trigger policy-oriented options than to deal with the legal dimension. This fundamentally raises the question of the role to be played by the ILC, which is established to promote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and its codific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assumptions of the discussion and explores the issues related to statehood based on the second issues paper presented by the Co-Chairs and the Report of the Study Group. It further explore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discussions on the sub-topic of statehood, focusing on the role of the ILC.
국문 초록 (Abstract)
해수면 상승은 국제공동체가 지대한 관심을 두는 주제이다. 2018년 유엔 국제법위원회(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이하 ‘ILC’)는 ‘국제법 관련 해수면 상승(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
해수면 상승은 국제공동체가 지대한 관심을 두는 주제이다. 2018년 유엔 국제법위원회(U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이하 ‘ILC’)는 ‘국제법 관련 해수면 상승(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을 장기작업주제로 채택하고, 해수면 상승의 법적 함의를 다루기 위해, 해양법, 국가성,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사람의 보호를 세부 주제로 제시하였다. 2019년 ILC는 ‘국제법 관련 해수면 상승’을 새로운 작업주제로 채택하고 스터디그룹을 구성하였다. 2021년에는 첫 번째 해양법 주제를 다뤘으며, 2022년에는 국가성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사람의 보호 두 개의 주제를 다루었다.
이 글은 2022년 ILC가 다룬 세부 주제 중 하나인 ‘국가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 주제에 대한 ILC 논의의 의의 및 한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수면 상승과 국가성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주제이다. 해수면 상승이 국가성에 미치는 영향은 그 자체로 주권국의 실존에 관한 중대한 문제이며, 국제법 주체에 관한 논의로서 국제법의 근간과도 연결된다. 그러나 이 주제는 ‘국가’에 대해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의 및 국제법상 국가의 ‘존속요건’에 대한 확인이 없는 상태에서 기존 법리 및 법적 체계 내에서 논의될 수 있는 영역의 한계가 있다. 또한, 국가실행이 없는 상태에서 추정적 시나리오를 다루어야 한다는 점은 ILC 논의의 재료와 방법론 측면에서 도전이 되고 있다. 나아가 쟁점의 성격상 법적 함의의 도출보다는 정책적 결론으로 빠지기 쉽다. 이는 국제법의 점진적 발전과 성문법전화를 위해 설립된 ILC의 역할에 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은 먼저 논의의 배경 및 전제를 조망하고, 공동의장이 제출한 두 번째 쟁점 보고서 및 스터디그룹 논의를 거쳐 채택된 보고서를 중심으로 해수면 상승과 국가성 관련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ILC가 국가성 쟁점을 다룰 수 있는 논의 범위가 어디까지이며, 어떠한 결과물을 도출해 낼 수 있을지, 향후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1 김민수, "해수면 상승이 해양경계와 섬에 미치는 법적 쟁점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 (28): 1-40, 2013
2 김성규 ; 박배근, "해수면 상승의 국제해양법적 쟁점 - 유엔 내 최근 논의의 현황과 과제 -" 법학연구소 56 (56): 621-654, 2021
3 최성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수몰된 섬 영토상 인공섬’의 법적 지위" 법학연구소 37 (37): 161-187, 2020
4 김민수, "해수면 상승과 국제법" 삼우사 2017
5 박기갑, "유엔 국제법위원회 작업주제 선정방식에 관한 소고" 대한국제법학회 58 (58): 301-329, 2013
6 오진희, "외교실무에서 본 국가의 국제법 주체성" (23) : 2006
7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이론과 사례" 박영사 2022
8 박찬호, "국제해양법상 인공섬, 시설 및 구조물 등의 지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62 (62): 159-187, 2021
9 임예준, "국제인권규약상 자결권의 의미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104) : 611-656, 2022
10 임예준, "국제법위원회 최종결과물 형태에 관한 연구" 국제법평론회 (50) : 103-134, 2018
1 김민수, "해수면 상승이 해양경계와 섬에 미치는 법적 쟁점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 (28): 1-40, 2013
2 김성규 ; 박배근, "해수면 상승의 국제해양법적 쟁점 - 유엔 내 최근 논의의 현황과 과제 -" 법학연구소 56 (56): 621-654, 2021
3 최성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수몰된 섬 영토상 인공섬’의 법적 지위" 법학연구소 37 (37): 161-187, 2020
4 김민수, "해수면 상승과 국제법" 삼우사 2017
5 박기갑, "유엔 국제법위원회 작업주제 선정방식에 관한 소고" 대한국제법학회 58 (58): 301-329, 2013
6 오진희, "외교실무에서 본 국가의 국제법 주체성" (23) : 2006
7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이론과 사례" 박영사 2022
8 박찬호, "국제해양법상 인공섬, 시설 및 구조물 등의 지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62 (62): 159-187, 2021
9 임예준, "국제인권규약상 자결권의 의미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104) : 611-656, 2022
10 임예준, "국제법위원회 최종결과물 형태에 관한 연구" 국제법평론회 (50) : 103-134, 2018
11 임예준, "국제법상 북한의 법적 지위에 대한 고찰" 안암법학회 (46) : 317-350, 2015
12 박배근, "국제법상 국가의 동일성과 계속성" 한국법학원 (90) : 250-274, 2006
13 박기갑, "국제법상 Lex ferenda" 대한국제법학회 63 (63): 117-156, 2018
14 박상섭, "국가·주권" 소화 2008
15 임예준, "‘국가실패’에 따른 법적 공백에 관한 고찰" 대한국제법학회 59 (59): 233-258, 2014
16 Rayfuse, Rosemary, "W(h)ither Tuvalu? International Law and Disappearing States" UNSW 2009
17 Stoutenburg, Jenny G., "Threatened Island N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8 United Nations, "The Work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United Nations 2012
19 Mbatia, Kelvin, "The Threat of a Rising Sea Levl : Saving Statehood through the Adoption of Uti Possidetis Juris" 5 (5): 2020
20 Craven, Matthew C. R., "The Problem of State Succession and the Identity of States under International Law" 9 : 1998
21 Talmon, Stefan, "The Constitutive Versus the Declaratory Theory of Recognition: Tertium Non Datur?" 75 : 2004
22 IPCC, "Summary for Policymakers,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3 von Paepcke, Frederik, "Statehood in Times of Climate Change: Impacts of Sea Level Rise on the Concept of State" European University Studies 2014
24 Raič, David, "Statehood and the Law of Self-Determination" Kluwer Law International 2002
25 Schachter, Oscar, "State Succession: The Once and Future Law" 33 : 1993
26 Kohen, Marcelo G., "State Practice Regarding State Immunities" Brill 2006
27 Rim, Yejoon, "State Continuity in the Absence of Government: Underlying Rationale in International Law" 32 (32): 2021
28 Wong, Derek, "Sovereignty Sunk: The Position of Sinking States at International Law" 13 : 2013
29 UN, "Second issues paper by Patricia Galvão Teles and Juan José Ruda Santolaria, Co-Chairs of the Study Group on 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 2022
30 UN, "Report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2022
31 UN, "Report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2021
32 UN, "Report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2018
33 Rim, Yejoon, "Reflections on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Form of Its Work" 10 : 2020
34 Park, Ki Gab, "Recueil des cours de l'Academie de Droit International de la Haye, Tome 368" Martinus NijhoffPublishers 2014
35 Talmon, Stefan, "Recognition of Governments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6 Higgins, Rosalyn, "Problems and Process : International Law and How We Use It" Clarendon Press 1994
37 Brownlie, Ian,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8 Park, Ki-Gab, "Peremptory Norms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Jus Cog ens)" Brill Nijhoff 2021
39 Portmann, Roland, "Legal Personality in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0 ILA, "International Law and Sea Level Rise" 2018
41 ILA, "International Law and Sea Level Rise" Lisbon Conference, Interim Report 2022
42 Rayfuse, Rosemary, "International Law and Disappearing States-Maritime Zones and the Criteria for Statehood-" 41 (41): 2011
43 Oppenheim, Lassa, "International Law A Treatise, Volume I: Peace" Longmans 1955
44 Warbrick, Coll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5 Marek, Krystyna, "Identity and Continuity of States in Public International Law" Librairie Droz 1968
46 "ILA Aspects of the Law of State Succession" Rio De Janeiro Conference, Draft Final Report 2008
47 UN, "First issues paper by Bogdan Aurescu and Nilufer Oral, Co-Chairs of the Study Group on sea-level rise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law" 2020
48 Doehring, K., "Encyclopedia of Public International Law Vol.IV" 1992
49 Stoutenburg, Jenny Grote, "Disappearing Island States in International Law" Brill 2015
50 Grant, Thomas D., "Defining Statehood : The Montevideo Convention and Its Discontents" 37 : 1999
51 Crawford, James, "Creation of States in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2 Kohen, Marcelo G., "Cours euro-mediterraneens Bancaja de droit international, Vol.VI" 2002
53 McAdam, Jane, "Climate Change and Displacement: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Hart Publishing 2010
54 Baty, Thomas, "Can Anarchy Be a State?" 28 : 1933
55 박기갑, "2021년 제72차 회기 유엔 국제법위원회 작업현황과 제76차 유엔총회 제6위원회 논의 결과" 국제법평론회 (61) : 133-210, 2022
56 박기갑 ; 민혜영, "2020년 유엔 국제법위원회의 활동‒제72차 회기 연기 결정 관련 ‘silence procedure’와 ‘국제법 관련 해수면 상승’ 주제 제1차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법평론회 (58) : 139-172, 2021
57 박기갑, "2019년 제71차 회기 유엔 국제법위원회 작업현황과 제74차 유엔총회 제6위원회 논의 결과" 국제법평론회 (55) : 61-212, 2020
58 박기갑, "2018년 제70차 회기 유엔 국제법위원회 작업현황과 제73차 유엔총회 제6위원회 논의결과" 국제법평론회 (52) : 101-205, 2019
한-미 디지털무역협정에 포함될 주요 요소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