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olidarity for Aesthe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2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끊임없이 밀려들어오는 타문화와 타예술에 대한 미학적 담론이 어떠해야 되는가에 대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작성되었다. 미에 대한 감각이 우리에게 본유적일지 모르지만 예술의 감상은 인식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댄토의 주장을 고려하면, 우리의 인식이 우리의 인식 체계에 의해 결정되기에 타문화와 타예술에 대한 이해는 결국 다른 인식 체계에 대한 수용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제 여러 다른 인식 체계가 가능하다면, 사실은 세계에 객관적으로 성립하는 사태가 아니라, 그것을 한 개념 체계에 따라 “사실”로서 받아들이는 것이 합리적일 때 사실로 확립되는 것이다. 필자는 다른 인식 체계의 수용에 있어 그 수용의 기준이 무엇이냐는 논의에 있어, 다른 인식 체계를 판정할 수 있는 절대적으로 객관적 기준은 없다는 반실재론자의 입장을 취한다. 신의 관점을 부정하는 이러한 입장은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에서도 주장되나, 퍼트남은 진리는 한계 개념으로서 “이상적인” 합리적 수용성이라는 주장을 함으로써 그 이상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신의 관점을 은연중에 전제하는 둣이 보인다. 댄토는 “역사-이후”의 시대에서 예술에 대한 담론은 어떠한 것이라도 허용된다는 다원론적 입장을 취하여, 퍼트남의 입장을 벗어나나 실재론자들이 걱정인 지역주의와 상대주의의 문제가 대두된다. 이 문제에 대해 필자는 “실용주의”를 주장하는 로티처럼, 우리가 상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우리”라는 개념의 폭을 넓혀 인식의 연대를 이루는 것이라는 입장에 선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한에서만 다른 개념 체계를 수용할 수 있고, 다른 문화와 다른 예술을 이해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인식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끊임없이 밀려들어오는 타문화와 타예술에 대한 미학적 담론이 어떠해야 되는가에 대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작성되었다. 미에 대한 감각이...

      이 논문은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끊임없이 밀려들어오는 타문화와 타예술에 대한 미학적 담론이 어떠해야 되는가에 대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작성되었다. 미에 대한 감각이 우리에게 본유적일지 모르지만 예술의 감상은 인식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댄토의 주장을 고려하면, 우리의 인식이 우리의 인식 체계에 의해 결정되기에 타문화와 타예술에 대한 이해는 결국 다른 인식 체계에 대한 수용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제 여러 다른 인식 체계가 가능하다면, 사실은 세계에 객관적으로 성립하는 사태가 아니라, 그것을 한 개념 체계에 따라 “사실”로서 받아들이는 것이 합리적일 때 사실로 확립되는 것이다. 필자는 다른 인식 체계의 수용에 있어 그 수용의 기준이 무엇이냐는 논의에 있어, 다른 인식 체계를 판정할 수 있는 절대적으로 객관적 기준은 없다는 반실재론자의 입장을 취한다. 신의 관점을 부정하는 이러한 입장은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에서도 주장되나, 퍼트남은 진리는 한계 개념으로서 “이상적인” 합리적 수용성이라는 주장을 함으로써 그 이상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신의 관점을 은연중에 전제하는 둣이 보인다. 댄토는 “역사-이후”의 시대에서 예술에 대한 담론은 어떠한 것이라도 허용된다는 다원론적 입장을 취하여, 퍼트남의 입장을 벗어나나 실재론자들이 걱정인 지역주의와 상대주의의 문제가 대두된다. 이 문제에 대해 필자는 “실용주의”를 주장하는 로티처럼, 우리가 상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우리”라는 개념의 폭을 넓혀 인식의 연대를 이루는 것이라는 입장에 선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한에서만 다른 개념 체계를 수용할 수 있고, 다른 문화와 다른 예술을 이해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인식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anto,Arthur,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 Danto, Arthur, "The Artworld" Journal of Philosophy 571-, 1964

      3 Rorty, Richard, "Solidarity or Objectivity?, in Post-Analytic Philosophy" Columbia Univ. Press 1985

      4 Hilary Putnam, "Reason, in Truth an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5 Clement Greenberg, "Modernist Painting" Art and Literature 1965

      6 Rorty, Richard,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 Danto,Arthur,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 Danto, Arthur, "The Artworld" Journal of Philosophy 571-, 1964

      3 Rorty, Richard, "Solidarity or Objectivity?, in Post-Analytic Philosophy" Columbia Univ. Press 1985

      4 Hilary Putnam, "Reason, in Truth an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5 Clement Greenberg, "Modernist Painting" Art and Literature 1965

      6 Rorty, Richard,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미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1.02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