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 활동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가 존재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흡한 틈새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활동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84844
대전 :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大學院, 2004
학위논문(석사) --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 2004. 2
2004
한국어
338.13 판사항(4)
대전
viii, 79p. : 삽도 ; 26cm .
참고문헌: p. 60-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원봉사 활동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가 존재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흡한 틈새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활동임...
자원봉사 활동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가 존재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흡한 틈새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활동임은 이미 인식되고 있다. 실예로 1997년 IMF 경제 파탄 시 준비 없는 나라의 경제 한계를 온 국민이 헌신적으로 하나가 되어 어려움을 헤쳐 나갔으며,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 때에도 국민 모두가 동참하여 자원봉사 활동으로 그 무한한 힘을 보여 주었고, 올 2003년에도 태풍 '매미'의 수해복구 과정에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렇게 확산된 자원봉사 활동인구는 2002년 12월 갤럽조사결과에 의하면, 현재 국민의 70%가 자원봉사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고 79.9%는 기회가 주어지면 참여하겠다고 하였다.
확산된 국민 자원봉사 활동과 발맞추어 정부에서는 자원 봉사 정책을 추진하였고, 몇 개의 중앙부처로 하여금 봉사센터를 운영하게 하였다. 그 중 행정자치부에서는 시도별 자원봉사 센터 설립 운영을 독려하여, 현재 전국 222개소에 봉사자 1,343,693명이 등록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행정자치부의 자원봉사 활성화 추진 시책방향을 보면 참여 복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원봉사센터 내실화를 통한 자원봉사 활성화의 해로 잡고 ① 자원봉사 인프라의 구축확대, ② 자원봉사 활동의 지원강화, ③ 자원봉사 관리의 전문화·체계화를 추진하겠다고 하였다.
이런 중앙정부의 자원봉사 시책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가 정한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시각과 활성화 추진계획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현재 대전광역시는 시와 5개 구청에 각기 자원봉사 센터와 협의회를 두고 자원봉사자 24,795명(남 10,755명, 여 14,040명)을 관리하고 있다. 1996년 대전광역시가 자원봉사 센터를 설립할 당시 자원봉사 활동의 제도화는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적 시급한 과제임을 제시한 바 있다. 그 당시 자원봉사 활동의 활성화 방안으로 시민들이 자신의 동기나 요구에 맞는 다양한 봉사 활동을 펼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와 관련되는 참여 의식을 고취시킨다는 취지로 기관과 시설의 연계된 수요처 개발을 할 것임을 홍보하였다. 또한 당시 자원 봉사자들의 참여동기를 보면 자기발전이나 자아실현, 또는 여가시간을 보람 있게 보내기 위해서였다.
8년 간 운영되어온 대전광역시청과 구청 봉사센터의 실태는 설립초기의 형태나 운영 취지 면에서 개선된 사항은 미비하였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운영도 적었다. 조사결과 100% 직영형태인 현 모형에서 지역실정에 맞는 운영 모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포털시스템 구축이 시급한데 포털시스템은 봉사자와 수요처의 현상파악과 연계에 도움이 되어 사회적인 자원봉사 활동의 홍보와 봉사인구의 저변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청과 각 구의 봉사센터간 네트워크가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센터의 특별화에 적용되어 봉사활동의 중복 활동을 막을 수 있고,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연계시킬 수 있다.
봉사센터 관리공무원의 전문성과 잦은 이동도 봉사센터의 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봉사자들이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가치는 자신의 봉사활동참여로 사회에 기여하면 좋겠다는 욕구를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자원봉사 활동의 저변확대를 위해 수시로 봉사활동 욕구나 활동가능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