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적 영성론과 국학의 생명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5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본의 국학(国学) 사상을 집대성한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를 출발점으로, 그의 제자인 핫토리 나카쓰네(服部中庸)와 히라타 아쓰타네(平田篤胤)의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국학의 생명관의 계보를 검 토한 것이다. 일본 신화에서 생명론의 직접적인 소재가 된 것은 ‘무스비(産霊)’라고 하는 생성의 신령, 그리고 그와 연동하여 죽음론의 소재가 된 것은 ‘요미(黄泉)’라고 하는 사자들의 나라였다. 고대국가의 기원과 천황 지배의 정통성을 주제로 하는 『고사기(古事記)』신화를 확대해석하여, 노리나가는 그 주석서 『고사기전( 古事記伝)』에서 세계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하는 신화를 찾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고사기전』이 만들어 낸 코스몰로지는 나카쓰네의 『삼대고(三大考)』에서 서구의 지동설과 결합하여, 신화 속의 세계가 천체로서 의 태양·지구·달의 생성으로 연결된다는 독특한 우주론으로 발전했다. 이처럼 국학자들에 의해 창출된 새로운 신화적 세계상은 아쓰타네의 『다마노미하시라(霊能真柱)』로 계승되면서, 사후세계와 영혼의 행방이라는 또 다른 논의로 전개되었다. 근대의 일본적 영성론은 이와 같은 근세 국학의 일본주의에 철저히 대항하는 원리로서 주장된 것이다. 그것은 신도적 영성론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 신도 비판의 흐름에 편승하여 영향력을 가 지게 되었고, 따라서 국학 및 신도에 대해 정당한 평가가 저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무엇보다 근세 사상사의 흐름을 이성의 추구와 영성의 추구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볼 때, 노리나가로부터 아쓰타네로 이어지는 국학을 일본사상사로 자리매김하면서 이성주의는 근대에 흡수된 반면에 영성주의는 전면 부정되었다. 이 글은 전자 만을 들어 일본 비판을 논해왔던 종래의 국학 연구에 대해, 후자에 대한 재조명의 가능성을 시도한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일본의 국학(国学) 사상을 집대성한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를 출발점으로, 그의 제자인 핫토리 나카쓰네(服部中庸)와 히라타 아쓰타네(平田篤胤)의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하...

      이 글은 일본의 국학(国学) 사상을 집대성한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를 출발점으로, 그의 제자인 핫토리 나카쓰네(服部中庸)와 히라타 아쓰타네(平田篤胤)의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국학의 생명관의 계보를 검 토한 것이다. 일본 신화에서 생명론의 직접적인 소재가 된 것은 ‘무스비(産霊)’라고 하는 생성의 신령, 그리고 그와 연동하여 죽음론의 소재가 된 것은 ‘요미(黄泉)’라고 하는 사자들의 나라였다. 고대국가의 기원과 천황 지배의 정통성을 주제로 하는 『고사기(古事記)』신화를 확대해석하여, 노리나가는 그 주석서 『고사기전( 古事記伝)』에서 세계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하는 신화를 찾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고사기전』이 만들어 낸 코스몰로지는 나카쓰네의 『삼대고(三大考)』에서 서구의 지동설과 결합하여, 신화 속의 세계가 천체로서 의 태양·지구·달의 생성으로 연결된다는 독특한 우주론으로 발전했다. 이처럼 국학자들에 의해 창출된 새로운 신화적 세계상은 아쓰타네의 『다마노미하시라(霊能真柱)』로 계승되면서, 사후세계와 영혼의 행방이라는 또 다른 논의로 전개되었다. 근대의 일본적 영성론은 이와 같은 근세 국학의 일본주의에 철저히 대항하는 원리로서 주장된 것이다. 그것은 신도적 영성론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 신도 비판의 흐름에 편승하여 영향력을 가 지게 되었고, 따라서 국학 및 신도에 대해 정당한 평가가 저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무엇보다 근세 사상사의 흐름을 이성의 추구와 영성의 추구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볼 때, 노리나가로부터 아쓰타네로 이어지는 국학을 일본사상사로 자리매김하면서 이성주의는 근대에 흡수된 반면에 영성주의는 전면 부정되었다. 이 글은 전자 만을 들어 일본 비판을 논해왔던 종래의 국학 연구에 대해, 후자에 대한 재조명의 가능성을 시도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Oneuri, which is an animation work that newly interpreted the issues with nature and life based on the original folk myth of Jeju Island called “Woncheongangbonpuri."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narrative features and current values of the original “Woncheongangbonpuri," which had such narrative features as the narrative of ego search, the narrative of mutual survival, and fantasy of space. Those narrative elements still generate valid meanings in modern society. Oneuri accepts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original work and, at the same time, differs from it in terms of the personality of Woncheongang and the goals and results of exploration. The animation also shows partial changes to the appearance order of supporters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s. While Woncheongang is the origin of time where the four seasons are present as the world of gods in the myth, it is a fundamental world where man is not separated from nature in the animation. As the character of Woncheongang changes, the exploration goal of Oneuri moves to the restoration of the lost fundamental hometown. The exploration processes and problem solving methods of the animation also partially changed to emphasize mutual relations and altruistic views of life. Those changes brought a completely different end for the animation from the myth. In the animation, the problems of the world are resolved by the chain reaction of the characters' acts with no gods and oracles. It also presented an ideal world where man and nature complemented each other in symmetry through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the restored Woncheongang. The man-nature relationships and the altruistic views of life in Oneuri are mythical alternatives to overturn the man-, science-, and reason-centric modern thinking and restore the symmetry between man and nature. The circulation and balance of nature in the animation are the mythical alternatives to restore the nature and life that have been destroyed by the greed of man and the clues for an ideal world that man of the present time should reach.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Oneuri, which is an animation work that newly interpreted the issues with nature and life based on the original folk myth of Jeju Island called “Woncheongangbonpuri."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narrati...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Oneuri, which is an animation work that newly interpreted the issues with nature and life based on the original folk myth of Jeju Island called “Woncheongangbonpuri."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narrative features and current values of the original “Woncheongangbonpuri," which had such narrative features as the narrative of ego search, the narrative of mutual survival, and fantasy of space. Those narrative elements still generate valid meanings in modern society. Oneuri accepts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original work and, at the same time, differs from it in terms of the personality of Woncheongang and the goals and results of exploration. The animation also shows partial changes to the appearance order of supporters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s. While Woncheongang is the origin of time where the four seasons are present as the world of gods in the myth, it is a fundamental world where man is not separated from nature in the animation. As the character of Woncheongang changes, the exploration goal of Oneuri moves to the restoration of the lost fundamental hometown. The exploration processes and problem solving methods of the animation also partially changed to emphasize mutual relations and altruistic views of life. Those changes brought a completely different end for the animation from the myth. In the animation, the problems of the world are resolved by the chain reaction of the characters' acts with no gods and oracles. It also presented an ideal world where man and nature complemented each other in symmetry through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the restored Woncheongang. The man-nature relationships and the altruistic views of life in Oneuri are mythical alternatives to overturn the man-, science-, and reason-centric modern thinking and restore the symmetry between man and nature. The circulation and balance of nature in the animation are the mythical alternatives to restore the nature and life that have been destroyed by the greed of man and the clues for an ideal world that man of the present time should rea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세계의 기원- 『고사기전』에 의한 창세신화
      • III. 세계의 가시화- 『삼대고』의 코스몰로지
      • IV. 불가시의 세계- 『다마노미하시란』의 유명론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세계의 기원- 『고사기전』에 의한 창세신화
      • III. 세계의 가시화- 『삼대고』의 코스몰로지
      • IV. 불가시의 세계- 『다마노미하시란』의 유명론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야마구치 가즈오, "일본의 국학자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사생관" 지식 과교양 2011

      2 가쓰라지마 노부히로, "동아시아 자타인식의 사 상사-일본 내셔널리즘 생성과 동아시아" 논형 2009

      3 고야스 노부쿠니, "귀신론" 역사비평사 2006

      4 박규태, "국학 과 일본주의-일본 보수주의의 원류" 동북아역사재단 2011

      5 久松眞一他, "鈴木大拙全集 8卷" 岩波書店 1971

      6 一條兼良, "通図書館善^體日本劃藤疏, 日本劃己抄" 八木書店 1977

      7 山下久夫, "越境する古事記伝" 森話社 2012

      8 安蘇谷正彦, "神道の生死觀一神道思想と「死」の問題" ペリカン社 1996

      9 鎌田東二, "神道のスピリチュアリティ" 作品社 2003

      10 大野晋, "本居宣長全集" 筑摩書房 1968-1993,

      1 야마구치 가즈오, "일본의 국학자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사생관" 지식 과교양 2011

      2 가쓰라지마 노부히로, "동아시아 자타인식의 사 상사-일본 내셔널리즘 생성과 동아시아" 논형 2009

      3 고야스 노부쿠니, "귀신론" 역사비평사 2006

      4 박규태, "국학 과 일본주의-일본 보수주의의 원류" 동북아역사재단 2011

      5 久松眞一他, "鈴木大拙全集 8卷" 岩波書店 1971

      6 一條兼良, "通図書館善^體日本劃藤疏, 日本劃己抄" 八木書店 1977

      7 山下久夫, "越境する古事記伝" 森話社 2012

      8 安蘇谷正彦, "神道の生死觀一神道思想と「死」の問題" ペリカン社 1996

      9 鎌田東二, "神道のスピリチュアリティ" 作品社 2003

      10 大野晋, "本居宣長全集" 筑摩書房 1968-1993,

      11 相良享, "日本の名著24平田篤胤" 中央公論社 1972

      12 折ロ信夫全集刊行會, "新版折ロ信夫全集 20卷" 中央公論社 1995

      13 三木正太郎, "平田篤胤の研究" 神道史學會 1969

      14 田原嗣郎他, "平田篤胤-伴信友‘大國隆正" 岩波書店 50 : 1973

      15 東より子, "宣長神學の構造一仮構された「神代」" ぺりかん社 1999

      16 金澤英之, "宣長と『三大考』一近世日本の神話的世界像" 笠間書院 2005

      17 鎌田東二, "宗教と靈生" 角川書店 1995

      18 神野志隆光, "古事記と日本書紀" 講談社 1999

      19 鎌田東二, "シリ一ズ思想の身体, 靈の巻" 春秋社 2007

      20 裴寬紋, "「皇國」の物語のための「外國」-『古事記伝』が作った「古事記」」" 岩波書店 (991) : 2006

      21 石川公彌子, "〈弱さ〉と〈抵抗〉の近代國學" 講談社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