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6145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2022. 8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6.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landscape image and text

      • 형태사항

        xiv, 130장(일부접지) : 삽화(주로천연색)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최철용, 마진주
        참고문헌: 장 122-124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9187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ur surroundings, there are landscapes of the unlimited sky and forests. These daily landscapes continues to change every hour, depending on the time, location, weather, and other factors. The various landscapes evokes invisible, complex emotions a...

      In our surroundings, there are landscapes of the unlimited sky and forests. These daily landscapes continues to change every hour, depending on the time, location, weather, and other factors. The various landscapes evokes invisible, complex emotions and interacts and communicates with our inner selves. A landscape is a section of animals, humans, buildings, land, and nature seen from a single viewpoint, and is also known as scenary.
      Studies using landscap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art are frequent, but it is limited to textile art in the field of fashion. The visual influence of the landscape evokes invisible, subjective emotions of an individual and it also evokes thoughts in texts. As for studies on text, there are no studies combining the landscape and text, whereas there are many preceding studies on humanities, philosophy, speech, and fashion. Thus, this study aims to use landscape images and texts and incorporate their complementary and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s into fashion design works.
      The following points are the results of theoretical contemplation of landscape images and texts.
      First, the landscape image as a picture can be broken down into time and space. The time component can be related to factors such as day, night, and seasons. The space component can be broken down into whole and partial expression of the landscape through component factors.
      Second, a text consists of phrases, clauses, and sentences. It may develop into typography, where symbolic/additional meanings are granted through visual/formative expressions.
      Third, landscape images and text may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when the contexts of their expression and meaning are similar/identical. Through this relationship, the range of interpretation can be limited, the inference of the symbols and meanings can be induced, and the deliverance of the message can be reinforced. That is, the landscape image and text play explanatory functions on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xt of the image and text is different, they have a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 This expands the limits of inference, leading to expansion and conflict in various areas of symbols and meanings.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points, the modern fashion examples reflecting landscape images and text were sorted and analyzed in terms of meaning and composi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meaning of modern fashion examples using landscape images, it is possible to infer the perspective and meaning of landscape that the brand wants to express. As for composition, when the landscape image is expressed on the entire outfit, it is possible to intentionally connect the image of each item. The illusion effect appears, such as focusing the visual connectivity of readable images. On the other hand, in partial outfit expression, the connection of items is not possible, but the image can receive more attention.
      The modern fashion examples using text were also sorted into meaning and composition to be studied. As for meaning, it can be seen that the symbols and ideologies of the collection were directly borrowed from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the text. As for composition, when the text is expressed as a whole, it focuses on the role of a formative image rather than the meaning implied through the patterned text. On the other hand, in partial expression of the text, the text and the margin coexist, and the focus is on message delivery and representation of the text.
      Modern fashion examples combining images and text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complementary and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the image and text represents(image) and describes(text) the context and meaning, thus leading to objective interpretation. In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s, various meanings and contexts are manifested through contradiction/non-connection/conflict between the image and text, thus leading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case analysis, a fashion design study of 8-piece outfit that combines the whole expression of the landscape image with the text in typography was conducted.
      First, in fashion design planning, the theme was combining landscape images and text. Based on this theme, the researcher used landscape images taken with mobile phone as textiles. As for the text, an English typography was used. The meaning of the landscape image of this work is nature and streets of the city, dyed with various colors of the certain hours. The composition of expressed wholly on the outfit. The text of the English typography contains words that are relevant to the landscape image, and also words that are irrelevant, and the composition was expressed partially on the outfit. Thus, the relationship of the landscape image and text in this work is both complementary and mutually expandable.
      Second, in fashion design designing, the silhouette was exaggerated with oversize, with clear expression of the straight line, curved line, and diagonal lines. To maintain visual balance of the exaggerations, the size of the top and bottom were designed in contrast. The top has oversized bodice with design points of large collars. There are various lengths, from cropped length to length that covers the ankles. The focus of the bottom was put on the silhouette of the straight line, curved line, and diagonal lines, and there are various lengths from short to maxi. The design points are the changes in the crotch length and cuffs at the bottom hems.
      A total of 17 pieces of clothes were made, including 2 coats, 6 jackets, 2 blouses, 1 one-piece dress, and 6 pants.
      Polyester material was used, depending on glossiness.
      The colors of the pieces consists of colors extracted from the landscapes. The main colors are ones that can be seen often in everyday life, such as blue of the sky, orange of the certain hours, and green of natural objects. The point colors are pink and violet, which can only be seen for a short time of the day.
      As for the expression technique,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was used for landscape images, and the text was expressed with embroidery.
      As for the details, different typography was embroided on the back of all top outfits to give a sense of unity, and additional embroidery was placed in various positions.
      Third, in the fashion design work production stage, the above development process, pattern making, and fitt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and the works were made after several modif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creative fashion design research method by attempting to combine landscape image and text, and a combination of digital and analog techniques in expression. Hopefu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field of creative fashion design research, and to setting the direction for relevant follow-up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는 제한 없는 하늘과 숲이 어우러지는 풍경이 있다. 이러한 일상적인 풍경은 시간, 장소, 날씨와 같은 요인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한다. 이에 따라 풍경은 보이지 ...

      우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는 제한 없는 하늘과 숲이 어우러지는 풍경이 있다. 이러한 일상적인 풍경은 시간, 장소, 날씨와 같은 요인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한다. 이에 따라 풍경은 보이지 않는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나 인간의 내면과 상호작용하며 교감을 일으킨다. 랜드스케이프(Landscape)는 동물, 인물, 건물, 대지와 자연의 한 단면으로 경관을 뜻하며, 풍경이라고도 한다.
      랜드스케이프를 활용한 건축, 환경, 미술 등의 연구 사례는 빈번하나, 패션과 관련해서는 섬유 예술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랜드스케이프라는 시각적인 영향과 더불어 보이지 않는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은 텍스트로도 사유를 불러일으키는데 텍스트와 관련한 연구는 인문, 철학, 회화, 패션 등의 선행연구는 빈번한 반면에 랜드스케이프와 텍스트의 결합과 관련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해 이들의 상호보완적이고 상호확장적인 관계성을 패션디자인 작품에 접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 관련 이론적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으로서의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는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성은 낮과 밤, 계절의 요인과 연관 지을 수 있으며, 공간성은 구성적인 요인을 통해 랜드스케이프의 전체적인 표현과 부분적인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텍스트는 구, 절, 문장, 단어로 살펴볼 수 있으며, 시각적/조형적 표현을 통해 상징적/부가적 의미가 부여되는 타이포그래피로 발전되기도 한다.
      셋째,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는 이들이 표현하고 의미하는 맥락이 유사/동일할 때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석의 영역이 제한되거나, 상징 및 의미의 유추를 유도시키고, 나아가 메시지 전달이 강화될 수 있다. 즉,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는 설명적 기능을 서로에게 수행한다. 반면,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맥락이 상이할 때 상호확장적인 관계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각자의 맥락의 유추가 자유로워 다양한 상징 및 의미의 영역으로 확장 및 충돌이 나타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가 반영된 현대 패션 사례를 의미와 구성 측면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의 의미 측면에서는 해당 브랜드가 표현하고자 하는 랜드스케이프의 관점 및 의미 유추가 가능하다. 구성의 경우,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전체 착장에 표현할 때에는 아이템별로 이미지의 의도적인 연결이 가능하고, 읽어낼 수 있는 이미지의 시각적 연결성을 집중시키는 등 일루전(Illusion) 효과가 나타난다. 반면, 부분적으로 착장 표현 시, 실루엣과 디테일의 해체를 통한 아이템 간의 경계선으로 이미지의 주목성을 높일 수 있다.
      텍스트를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 역시 의미와 구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미는 해당 컬렉션의 상징 및 사상을 텍스트가 지닌 사전적 의미를 통해 직접적으로 차용하고자 한 것을 볼 수 있다. 구성은 텍스트를 전체적으로 표현할 경우 패턴화된 텍스트를 통해 내포된 의미보다는 조형적인 이미지의 역할에 중점을 지니게 된다. 반면, 텍스트의 부분적 표현에서는 텍스트와 여백이 공존하며, 텍스트가 지닌 메시지 전달 및 표상에 집중된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결합한 현대 패션 사례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와 상호확장적인 관계로 분류해 분석하였다. 상호보완적인 관계의 경우, 이미지와 텍스트는 맥락 및 의미하는 바를 표상하고(이미지), 서술하는(텍스트)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객관적인 해석을 유도한다. 상호확장적인 관계의 경우, 이미지와 텍스트의 모순/비연계/충돌 등을 통해 다양한 의미 및 맥락이 발현되어 주관적인 해석을 유도한다.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 및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의 전체적 표현과 타이포그래피로 작업한 텍스트를 결합한 8착장의 패션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패션디자인 기획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휴대폰으로 촬영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텍스타일로 활용하고, 텍스트는 영문의 타이포그래피로 작업하였다. 본 작품의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의 의미는 특정 시간대의 다양한 색감으로 물든 자연과 도시 속 도로의 모습이다. 구성은 전체적으로 착장에 표현하였다. 텍스트의 의미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연관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영문을 타이포그래피로 작업하고, 구성은 착장에 부분적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는 상호보완적이고 상호확장적인 관계성을 적용하였다.
      둘째, 패션디자인 설계에서 실루엣은 직선, 곡선, 사선의 표현과 오버사이즈로 연출하고, 과장된 것들과의 시각적 밸런스를 위해 상의와 하의는 사이즈 대비를 주었다. 상의는 오버사이즈의 몸판과 빅 칼라로 디자인 포인트를 주었고, 크롭부터 발목을 덮는 길이까지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하의는 직선, 곡선, 사선의 실루엣에 중점을 두고, 숏부터 맥시까지 다양한 길이로 구성하였다. 또한 밑위의 길이 변화와 밑단 커프스를 통해 디자인 포인트를 주었다.
      아이템은 코트 2벌, 재킷 6벌, 블라우스 2벌, 원피스 1벌, 팬츠 6벌로 총 17벌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소재는 광택의 유무에 따른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였다.
      컬러는 랜드스케이프에서 추출한 색감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컬러는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색감으로 하늘을 통해 보여지는 블루와 특정 시간대의 오렌지, 자연물의 그린 계열로 구성하였다. 포인트 컬러는 일정 시간 동안만 보여지는 핑크와 바이올렛을 사용하였다.
      표현 기법으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기법을 활용하고, 텍스트는 자수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디테일의 경우, 모든 착장의 상의 뒤판에 서로 다른 타이포그래피를 자수로 놓아 통일감을 주고, 다양한 위치에 추가적으로 자수를 놓았다.
      셋째,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 단계에서는 위의 전개 과정 및 패턴 메이킹과 가봉의 여러 차례 수정을 통해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디자인 연구를 통해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 그리고 표현 면에서 디지털과 아날로그 기법의 융합을 시도함으로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연구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창의적 패션디자인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목차 Ⅴ
      • 표 목차 Ⅶ
      • 그림 목차 Ⅷ
      • 국문초록 Ⅰ
      • 목차 Ⅴ
      • 표 목차 Ⅶ
      • 그림 목차 Ⅷ
      • I.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Ⅱ. 이론적 고찰 7
      • 1. 랜드스케이프 이미지 7
      • 1) 개념 7
      • 2) 사진으로서의 랜드스케이프 이미지 10
      • 2. 텍스트 18
      • 1) 개념 18
      • 2) 타이포그래피 19
      • 3.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 22
      • III.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가 반영된 현대 패션 사례 분석 25
      • 1.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 25
      • 1) 의미 26
      • 2) 구성 28
      • 2. 텍스트를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 33
      • 1) 의미 34
      • 2) 구성 36
      • 3.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을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 42
      • 1) 상호보완적 43
      • 2) 상호확장적 45
      • IV. 디자인 연구 및 제작 47
      • 1. 패션디자인 기획 47
      • 2. 패션디자인 설계 57
      • 3.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 및 해설 70
      • 4. 전시 116
      • 컬렉션 펼침면 117
      • V. 결 론 118
      • 참고문헌 122
      • Abstract 1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